첫째 날, 거진등대와 해맞이 공원을 둘러보다(2010년 5월 21일)

  

연휴에 길을 나서니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지만. 고속도로를 빠져 나오자마자 시작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차들에. 결국 새로 놓은 길을 두고 옛 국도를 이리저리 돌아보아도. 인제를 지나 원통에 들어서자 엉금엉금. 예정치도 않은 휴게소에 잠시 쉬어 보기도 하지만. 밀려드는 차들에 채 10분도 여유가 없고. 승객들도 승객들이지만. 한 번이라도 더 버스를 몰아야 하는 기사아저씨로서는 지체할 시간이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도 진부령과 미시령이 갈리는 길목에 이르니 조금씩 길이 뚫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미시령 터널을 지나니 평소 속도를 되찾는다. 하지만 이미 시간은 계획했던 것과는 어긋나고 있었고. 속초 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하니 한참 차가 밀릴 때 기사분이 겁을 준 것과는 다르긴 하지만. 역시나 30여분 이상 늦었다. 
 
시간이 늦긴 했지만 일단 요기는 하고 본다. 그리고는 곧장, 시내버스긴 하지만 고성군, 그것도 마차진까지 운행하는 버스를 기다리는데. 운 좋게도. 금방 버스에 오를 수 있다. 바다를 오른쪽으로 끼고 한없이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는 1-1번 버스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지난 번 여행 때 다음 여행의 출발지로는 조금 애매한 화진포에서 멈췄던 데에는. 짧은 겨울 해를 염두에 두지 않고 일정을 짰던 탓도 있었지만. 역시나 별 일도 아닌 것으로 대판 말싸움을 한 탓이 컸다. 무슨 이유였는지 지금도 가뭇가뭇한 걸 보니. 필시 웃기지도 않을 이유였을 테지만. 어쨌든. 그때 거진까지 갔었더라면 속초에서 직행버스를 탈 수도 있고. 홍천에서 시외버스를 탈 수도 있었을 것을.
 
그래도 저번엔 꽃을 볼 수 없었지만. 이번엔 빨갛게 봉오리가 올라온 해당화도 카메라에 담을 수 있고. 황량한 느낌이었던 화진포도 그세 봄옷을 갈아입고 마중하니 오히려 더 낫다. 또 바쁜 시간에 쫓겼다면 그냥 거진읍내로 허겁지겁 들어갔을 터이지만. 지금은 거진등대 해맞이 공원까지 덤으로 걸을 수 있으니. 전화위복이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채 세 시간도 안 되게 걸었지만. 오랜만에 참 걷기 좋은 날이 아닐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둘째 날, 관동별곡 8백리 길을 따라 왕곡마을 입구까지(2010년 5월 22일)
 
어제 읍내 뒷산에 있는 공원 구경을 하지 않고 왔다면. 아침부터 거길 기어오르느라 땀깨나 흘렸을 터인데. 느긋이 해변 길을 따라 거진항을 빠져나오니 발걸음이 무척 가볍다. 그리고 어제 거진에 들어오면서부터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관동별곡 8백리 길> 표지판이 제법 갈림길이며 마을 입구마다 서 있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 올레길 광풍에 성수기가 아닌 때에도 비행기 표를 구하기 쉽지 않다는 얘기가 들린다. 걷기를 좋아하는 우리들로서는 때 아닌 걷기 열풍에 한 동안은 많은 동지들이 생긴 것 같아 든든하기도 했는데. 지리산 둘레길도 그렇고. 제주도 올레길도 그렇고. 길을 이어준 사람들 생각, 마음이 지금 길을 걷는 사람들과 얼마나 맞닿아 있는지. 길과 길을 잇고 사람과 사람을 잇는, 그런 걷기를 얼마나 마음에 담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이것도 한때의 유행처럼 번지는 때잔차질이 애꿎은 4대강 삽질 망패막이로 전락하는 천덕꾸러기가 되는 것 마냥. 우려는 늘 현실이 되고 마는 것일까. 
 
정철이 걸었다던 <관동별곡 8백리 길>은 아직은 다 이어진 길은 아니다. 우선은 총석정과 삼일포가 더 북쪽에 있는 데다. 옛길을 복원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콘크리트와 시멘트가 발라져 있어. 그리고 무엇보다 바다를 바로 볼 수 없게 막아 선 철책들이. 천안함 사건만 보더라도 언제 걷어질까, 기약 할 수 없으니. 이대로 길을 잇는다손 치더라도 걷는 재미는 떨어질 수밖에 없겠다. 하지만 지금처럼 만이라도 따로 손대지 말고, 삽질하지 말고, 있는 길 살며시 이어 놓기만 해도 걷는 재미는 꽤나 있겠다.
 
거진을 출발해 두 시간을 조금 넘게 걸으니 곧 간성읍인데. 선거철은 선거철인가보다. 때맞은 장날을 맞아 여기저기서 맞춰 입은 형형색색의 사람들이 총출동이다. 1톤 트럭을 개조한 차마다 요란한 음악이 흘러나오고. 둘씩 셋씩 짝지은 운동원들은 가겟집마다 머리를 내민다. 이거야 장 구경을 한 건지 선거운동 구경을 한 건지.
 
어수선한 간성읍을 빠져나와 등나무 아래에서 쪽잠을 달게 자고 나니 시계 바늘이 두시를 향해 간다. 오후에는 가까이에 있는 왕곡마을을 둘러보고 되는 데로 걷다 어제 타고 올라온 1-1번 시내버스를 타는 것인데. 한낮 해를 피하고자 한참을 쉬었더니 일정이 조금 애매하다. 어제 밀리는 차를 보건데 아무래도 일찍 출발을 해야 할 것 같고. 그러려면 왕곡마을까지는 다소 무리인 듯. 그래도 어쩌겠나. 일단은 출발이다.
 
마냥 해안선을 따라, 모래사장을 따라, 철책선을 따라 걸었다면 꽤나 지루했을 텐데. 오늘 아침부터 이정표가 되 준 <8백리 길>을 따라 걸으니. 둔치를 걷기도 하고, 마을길을 걷기도 하고, 잠시 돌아가기도 하지만 작은 항구도 온전히 둘러볼 수 있으니. 어쩌다 마주치는 동네 개들만 아니라면 쉬엄쉬엄 동네 산보하듯 걷기에 참 좋다. 허나 왕곡마을에 이르러서는 급한 마음에, 또 오랜만에 걸어서인지 여기저기 몸이 쑤시는 덕에. 해가 아직 많이 남았지만 이번 걷기는 여기서 멈추기로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두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첫째 날 약 7km, 그리고 둘째 날 18km 합쳐서 25km쯤 걸었다.
 
* 가고, 오고
춘천에서 고성을 가는 방법은 두 가지다. 춘천에서 진부령을 넘어 곧바로 간성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거나 미시령을 넘어 속초로 간 후 다시 고성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타는 것. 앞에 것은 한 번에 간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하루에 단 두 번 있는 차 시간을 잘 맞춰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다. 뒤에 것은 비교적 차 시간은 여유가 있는데 비해 속초를 경유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앞에 방법이나 뒤에 방법이나 고성까지 가는 시간은 엇비슷하다.
 
* 잠잘 곳
거진읍내에는 민박과 여관이 꽤 있다. 하지만 연휴나 여름철에는 미리 예약을 해야 한다. 그러니 가진이나, 반암, 공현진과 같은 인근 작은 항구에도 민박집이 많으니 그곳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듯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07 15:24 2011/11/07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