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날, 지나온 흔적도 남기지 않아야..... 월둔마을에서 아침가리로(2008년 6월 19일)
 
밤새 또 가니, 못 가니 하다, 오랜만에 김밥 싸고 계란 삶고 벼락 준비에 정신없다. 그러다 혹여나 하는 마음에 버스 편 확인하다 울고불고 아주 난리도 아니다. 두도령을 넘어 달둔마을까지 왔던 게 작년 5월이니 그새 1년이 지났고, 그 동안 아주 잠깐이라도 걷기를 했었다면 이러진 않았을 거다. 농사짓겠다, 아이들과 함께 지내겠다, 마음먹고 춘천으로 오기까지 남들 눈엔 번갯불에 콩 볶아 먹을 시간이었겠지만 그만큼 긴 시간이었던 거고 몸도 마음도 알게 모르게 물갈이 중이었나 보다.
 
같은 강원도면서도 버스를 세 번이나 갈아타고 세 시간이나 걸려야 달둔마을에 올 수 있으니 그만큼 외지긴 외진 듯하다. 그래도 군내버스 한 칸 가득 맑은 목소리를 가진 아이들의 모둠 노래자랑에 지루하지 않다. 또 차창 너머로 굽이굽이 돌아가는 계곡이며 푸른 나무들이 눈을 즐겁게 해 덩달아 콧노래다. 올망졸망 아이들을 내려놓은 차는 그새 달둔마을에 다다라 잠시 멈춘 후 굽이굽이 구룡령 넘어 바다로 향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정감록에 나온다는 삼둔사가리 가운데 삼둔 중 하나인 월둔마을에서 시작해 사가리 중 하나인 아침가리로 이어지는 이름 없는 이 숲길은 지나온 흔적마저 남기지 않아야 한다. 때론 거친 길을 질주하고픈 욕망도 어쩌면 저 끊어진 다리 위에 멈춰 세워야 할 것이고, 하룻밤 별을 헤며 세상사를 나누고 싶다 해도 길 위에 멈춰서는 안 될 것이다. 사람 사는 곳이라곤 월둔마을과 조경분교 근처 젊디젊은 부부 한 쌍 외엔 찾아볼 수 없는 곳이니, 부디 이 한 곳만이라도 조용히 그렇게 남겨둬야 마땅하지 않은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룡덕봉 바로 아래 명지가리까지는 그래도 뒷산 산책하듯 오른다. 지천에 널린 야생화 구경에 문득문득 나뭇잎 사이로 보이는 파란 하늘과 눈부신 햇빛이 발걸음을 가볍게 하기에. 또 조경동까지 이어진 긴 내리막길은 내내 이름 모를 새소리와 계곡 물 소리에 지친 몸과 마음이 맑아지기에. 헌데 다 내려왔나 싶은 그 순간, 길은 다시 끝없는 오르막으로 구절양장 돌고 도는데, 지금까지 걸어왔던 길은 맛보기다. 마치 꿈속을 걷는 듯한데, 그러다, 어느 순간 아찔 하기만한 아스팔트 내리막길에 이르면 천근만근, 무거운 몸, 누일 곳을 찾는다.

 
장마가 시작된다는 말에 당일치기로 다녀올 것인지, 미뤄뒀던 남은 길을 모두 걸을 것인지 선뜻 결정하지 못했더니 해는 지는데, 차 시간은 간당간당한데, 어찌할지 몰라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외지긴 외진 데라 그런지 버스마저 일찍 끊기고 오가는 차는 찾아볼래야 볼 수가 없다. 일기예보로는 주말에나 되어야 장맛비가 내린다고 하니 하루 정도 여유가 있긴 한데, 몸이 너무나 무겁다.
 
하룻밤 묵어가는데 이틀 치 방값을 내라는 그럴듯한 펜션을 뒤로하고 때마침 읍내로 나가는 듯한 택시를 집어타고 현리로 나오니 이런, 홍천이고 인제고 버스 끊긴지가 이미 오래다. 사실 어제 밤 느닷없이 준비를 한 탓도 있었지만 혹여 하는 마음에 차 시간을 확인했기에 망정이지 갑자기 바뀌어버린 버스 시간에 하루를 그냥 길에서 보내거나 아예 떠날 생각도 못할 뻔 했었는데 결국엔 예상치도 못한 현리에서 오도 가도 못하고 꼼짝없이 하룻밤을 보내야 할 상황이다. 
 
허탈한 마음을 뒤로하고 어찌어찌 잠잘 만한 곳을 찾아 발걸음을 옮기지만 가뜩이나 찜찜한 마음인데다 제법 괜찮다고 보여 들어간 첫 번째 모텔에서 방이 없단 얘기를 듣자 차라리 다시 택시를 타고 방동리로 돌아가자며 터미널로 나온다. 헌데, 천운인지 다행인지 진동리까지 운행하는 통학버스 한 대가 이번엔 교복 입은 학생들을 한차 가득 싣고 기다리고 있는 게 아닌가. 망설일 이유가 없다. 다시 돌아가는 수밖에.  
 
다음부턴 50원을 더 내야 한다는 말을 남기고 떠난 버스 뒤로 어둠이 조금씩 내려앉는다. 정류장 바로 앞 민박집에 1만원을 깎아 방을 정하고는 라면으로 허기진 배를 채우고 나니 그제서야 방동계곡의 물소리가 들린다. 아주 잠깐 물소리를 듣기 위해 방을 나온 것 빼곤 숟가락을 놓자마자 곯아떨어지는데, 몸 피곤한 것과 달리 밤새 가위에 눌려 버둥버둥 대느라 제대로 잠을 못 이룬다.   
 
둘째 날, 천근만근 지친 몸을 이끌고 현리로(2008년 6월 20일)
 
이렇게 몸을 일으키기가 힘들다니, 어젠 정말 무리했나보다. 어찌어찌 눈을 떠 겨우 얼굴에 물만 묻히고는 썬 크림만 잔뜩 바른다. 뭐에 홀렸는지 모자는 잃어버리고 여덟시도 채 안됐는데 햇빛은 장난 아니고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더구나 아침도 거른 채 걸으려니 이거야 걷기도 전에 죽을 맛이다. 그래도 어쩌겠나. 대충 머리에 수건만 두르고는 해가 머리위에 뜨기 전에 현리에 도착하길 빌며 길을 나선다. 현리까지야 두 시간이면 충분할 테고 어제 택시며 버스로 왔다 갔다 하면서 눈여겨보니 군데군데 민박집이며 밥집이 있는 듯 해 일단 아침은 건너뛴다. 하기사 어제 아침도 라면, 저녁도 라면으로 때웠기에 오늘 아침까지 라면을 먹긴 좀 그렇긴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어제 저녁엔 그리도 많아 보이던 가게들이 어째 조롱고개를 넘기 전까지 한군데도 보이지 않는 걸까. 도중에 제법 큰 슈퍼가 한 군데 있긴 했는데 조금만 가면 뭐가 나오려니 하며  참고 걸었는데 시간 반이 넘게 걸어도 당체 요기할 만한 곳이 나오지 않는다. 지친 몸도 몸이지만 뭐라도 채워야 할 텐데. ‘도채동 옛길’로 빠져 길을 걸어보기도 하지만 당체 힘이 나질 않는다. 
 
결국 현리 가까이에 당도해서야 아침 먹을 곳이 나타난다. 오가는 이들이라면 무조건 불러들이고는 이른 아침부터 해장술을 기울이는 나이 드신 농부님들 이야기를 반찬삼아 꿀맛 같은 아침을 먹고는 다시 길을 나선다. 그래도 밥이 들어가서인지 힘이 조금 나는 것 같긴 한데 팔월 한낮에 뜨거운 햇빛이 벌써부터 등 뒤에 내리쬔다. 이거야 말로 땡볕에 뭔 고생인지. 
 
겨우겨우 기다시피 현리에 들어가니 이젠 이것저것 생각하기도 싫고 그저 집에 가고 싶은 마음뿐이다. 그렇지만 한 시간 가까이 더 기다려야 홍천으로 나가는 버스에 오를 수 있다. 한 바퀴 도는 데 20분이면 너무 많고 그렇다고 10분이면 너무 짧은 동네 산책도 잠깐이고 결국 터미널 의자에 기대 꾸벅꾸벅 잠에 빠진다. 그렇게 삼십분을 졸다 홍천행 시외버스를 타고 다시 졸고, 홍천에서 춘천으로 나가는 시외버스 타고 또 졸고, 무거운 눈꺼풀이 자꾸만 내려앉는다.
 
* 스물한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홍천군 내면 달둔마을에서 방동약수까지 약 30km. 걸은 9시간.
- 둘째 날 : 방동약수에서 인제군 현리까지 약 8km, 걸은 시간 2시간.
 
* 가고, 오고
춘천터미널에서 홍천을 가는 시외버스가 첫차 6시 5분을 시작으로 20여분 간격으로 있으나 홍천에서 내면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 시간이 6시 45분이고, 다시 내면에서 달둔마을을 거쳐 양양까지 운행하는 군내버스가 9시 05분이니 반드시 6시 5분 첫차를 타야 한다. 다만 첫차보단 6시 15분에 출발하는 버스가 고속도로로 달려 오히려 첫차보다 조금 빨리 도착하니 이 차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 듯하다. 하지만 둘 다 6시 45분 언저리에 도착하니 자칫하면 하루를 차 기다리며 보낼 수 있으니 마음을 편히 가져야한다. 또 현리에서 홍천으로 나오는 차편도 올 6월 1일부터 바뀌었으니 이 역시 전화로 꼭 확인해야 한다. 달둔마을이나 방동약수나 어느 쪽도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란 수월치가 않다. 반드시 확인, 또 확인해야 한다. 
 
* 잠잘 곳
월둔마을에서 명지가리를 거쳐 조경동, 조경령, 방동약수까진 숙박은커녕 매점하나 없다. 계곡물이 워낙 맑아 식수는 따로 준비하진 않더라도 반드시 먹거리만은 준비해야 한다. 방동약수 인근엔 민박이며 펜션이며 숙박할 곳은 꽤 있다. 하지만 여름 휴가철 외에는 밥 먹을 만한 곳이 딱히 없으니 하룻밤 묵어가는 곳에서 해결해야 한다. 방동약수에서 현리까진 두 시간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나 방동분교 앞 매점을 지나치게 되면 조롱고개를 넘기까지 아침을 해결할 만한 곳이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2/23 01:34 2010/12/23 01:34

“5월, 내면엔 나물이 지천이랑께”, 상원사에서 오대산 두도령을 넘어 달둔마을 앞머리까지(2007년 5월 26일)

 
당일치기가 가능할까? 새벽, 진부행 첫 차에 오를 때까지만 해도 반신반의한다. 오대산 상원사야 널리 알려진 만큼 쉬이 갈 수 있으나 오대산 넘어 명개리나 광원리쪽은 하루에 몇 번 다니지 않는 군내버스를 놓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물론 출발할 땐 ‘까짓 못 나오면 하루 더 있다 오지 머’라며 가벼이 생각하기는 했어도, 일요일 아침 어중간한 시간에 서울로 오게 되면 애꿎게 하루를 그냥 보낼 수 있기에 어찌해서든 서울로 나오는 버스들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연신 안절부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진부에서 월정사를 지나 상원사까지 운행하는 군내버스에 오르니 우통수(于筒水)에서부터 시작된 한강 물줄기가 전나무 숲 사이로 시원스레 흐르는데 걸으면서 느끼는 맛과는 또 다르다. 하지만 차를 이용하게 되면 월정사 전나무 숲길을 맛볼 수 없으니 필히 차를 두고서 두 발로 걸어야 한다.
 
상원사 앞은 어제가 초파일이어서인지, 5월이라는 계절 탓인지, 황사가 있다는 일기예보에도 불구하고 알록달록 등산복 차림의 등산객들로 가득이다. 우리야 산을 오르는 게 아니기에 크게 개의치 않다지만 오대산이라는 이름값에 사람도 산도 몸살이다.
 
버젓이 446번 지방도로라는 딱지를 갖고 있으나 일년 중 절반 이상 차량 통행을 허용하지 않는 비포장도로가 눈앞이다. 분단의 상처를 안고 생겨났지만 이제는 오대산의 너른 품안에 안겨 길과 숲이 하나가 된 이 길은 상원사에서 시작해 명개리까지 50리 길이니 넉넉잡아 6시간 정도면 충분하니 서붓서붓 걸으며 온 산을 오롯이 품을 수 있다.
 
북대사까지는 가파른 오르막길이다. 초입길이라 다행이지 중도에 이런 길을 만났다면 꽤 시간이 들었을테다. 출출한 배를 채우기도 해야겠지만 생각지도 못한 숨이 턱 밑까지 올라와 잠시 발길을 멈추고는 서울에부터 짊어지고 배낭을 풀어 헤친다. 비록 찬도 없는 김밥 세 줄이지만 진수성찬이 따로 없고 맛은 또 얼마나 꿀맛인가. 이렇게 길 한복판에 자리 잡고 앉아 한가로이 밥 먹을 수 있는 지방도로가 몇이나 될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높이가 1,310m로 비로봉(1,563m)과는 불과 250여m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두도령에 오르니 12시 40분이다. 상원사에서 10시 35분에 출발했으니 2시간이 걸렸는데, 북대사에서 15분 정도 김밥 먹으며 시간 보낸 걸 빼고 나면, 1시간 40분 걸린 셈이다. 오대산의 자랑인 전나무며, 소나무를 맘껏 볼 수 있어 시간이 언제 이렇게 된 줄 모른다.
 
가파른 오르막길에 이어 한참을 평지에서와 같은 길이 이어지더니 두도령을 지나면서부터는 내리막길이다. 또아리를 튼 뱀 마냥 구불구불 이어진 길을 따라 내려가니 이쪽 구비를 지날 땐 멀리 점봉산이니 한계령이 머리를 내밀고, 이쪽 구비를 돌아설 땐 시원스런 계곡물과 마주친다. 상원사를 출발해 세 시간이 넘게 걷고 있지만 딱 한 팀, 것도 달랑 세 명의 산 타는 사람만 만났으니 오대산을 전세 낸 거나 다름없고, 오랜만에 매연 속에서 벗어나 산길을 걸으니 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명개리쪽 국립공원관리사무소에 도착하니 네 시가 안됐다. 여기서 다시 56번 국도와 만나는 곳까지는 한 시간이 조금 안 걸렸고, 표지판을 보니 상원사까지 19.6km다. 구불구불 산길을 여섯 시간이나 걸었는데도 피곤하지 않은 걸 보니 울창한 나무들이 내뿜는 숲 내음 덕이리라.
 
당초 광원리까지 무리라 판단했지만서도 달둔마을 앞머리에 이르니 어느덧 여섯시고 아쉬운 마음이 가득이다. 명개리까지 거슬러 올랐던 군내버스가 저만치서 오는데, 막차는 아니지만 창촌에서 홍천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저 차에 올라야 한다. 아예 하루 머물면서 삼둔사가리 중 하나인 달둔마을 구경에 나설까도 싶지만 결국 떠나기 전 안절부절이 버스 안으로 몸을 디밀게 한다.
 
창촌에 도착하니 홍천으로 나가는 버스시간이 한참 남았다. 홍천에서 서울로 향하는 버스 시간을 확인하니 아무래도 이곳에서 간단하게나마 요기를 할 수밖에 없다. 해서 변변한 간판 하나 걸려 있지 않은, 이곳에 정착한지 이제 6년이 조금 넘었다는, 슈퍼인지 분식점인지 잘 구분이 안 되는 가게 집에 들어서는데, 나물향이 가득이다.
 
“5월, 내면엔 나물이 지천이랑께”
 
어머니 49재 음식을 준비할 때였다. 동그랑땡이니 적을 만드느라 돼지고기를 만졌는데 전에 없이 빨간 두드러기가 몸 여기저기에 생기는 게 아닌가. 첨엔 그냥 고기가 상했나 싶기도 했지만 그 후로도 두 번인가 돼지고기를 먹을 기회가, 아니 정확히 말하면 한 번은 입안에 넣었고 한 번은 만지기만 했는데도 예의 그 두드러기가 또 나타났다. 이를 어째, 별수 없어 이번엔 한의원엘 찾았더니, 체질이 바뀌었으니 고기를 끊던가, 약을 먹던가 하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쩝. 하지만 어쩌랴. 애당초 시골로 내려가 살게 되면 ‘공산품 고기는 그만 먹어야지’ 하고 맘먹고 있었던 차라. 아예 잘 됐다 싶어 이번 기회에 끊기로 했다. 그리고는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왔으나 이제껏 관심 밖에 머물러 있던 나물들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때맞춰 봄나물까지 쏟아져 나오고 있으니 맛을 들이기에는 제격인 듯싶었고, 된장에, 고추장에, 초장에, 들기름에, 이렇게 저렇게 맛을 내니 어느새 나물 맛에 흠뻑 빠지게 됐다. 그런데 여기 이 깊은 산골마을에 들어서 봄나물을 한가득 보니 어찌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이지 않을 수 있을까.
 
요기를 할 만 것이라고는 달랑 떡볶이가 전부지만 아주머니의 마을 자랑에 시간가는 줄 모른다. 덩달아 우리도 오랜만에 수다를 풀어내는데 어느새 홍천 나가는 버스에 시동 걸리는 소리가 들린다.
 
* 스무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오대산 상원사에서 홍천 내면 달둔마을 입구까지 약 24km. 걸은 7시간.
 
* 가고, 오고
동서울터미널에서 진부를 거쳐 강릉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첫차 6시 30분을 시작으로 30여분 간격으로 있으나 진부에서 상원사까지 운행하는 군내버스는 시간이 8시 30분, 9시 40분이니 6시 30분 첫차나 7시 10분에 출발하는 다음 차를 놓쳐서는 안 된다. 명개리나 달둔마을, 혹은 인근 광원리에서 서울로 오는 길은 창촌과 홍천을 거쳐야만 하는데 하루 몇 차례 운행하는 버스 시간 맞추기가 힘들어 다소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사전에 창촌터미널, 홍천터미널 등지에서 버스 시간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
 
* 잠잘 곳
상원사에서 명개리까지 50리 길에는 정말 아무 것도 없으니 단단히 준비해야 한다. 명개리에서 광원리까진 드문드문 민박집과 음식점이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며, 큰길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삼봉자연휴양림이 자리 잡고 있으니 이곳에서 하루 머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11/10 23:40 2010/11/10 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