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심포항은 이제 겨우 대 여섯 살인 얼라가 혼자 걸어가긴 먼 곳이었지요. 그래서 얼라는 늘 막내 삼촌을 졸라야만 했습니다. 고사리 같은 손에 대나무 낚싯대를 꼭 쥔 채 말이지요.  막내 삼촌은 넓디넓은 논 한가운데서 피를 뽑다가도. 무릎까지 자란 풀 더미를 낫으로 베다가도 허허 웃으며 자전거에 올랐습니다.
 
외할아버지는 화포리 집 뒷산 대나무 숲에서 장끼 잡는 일에 꼭 여섯 살배기 얼라를 데리고 갔습니다. 대낮에도 짙은 녹음으로 햇빛을 보기 힘든 그 숲은 얼라에게 꽤나 무서운 곳이었지요.  그래서일까요. 지금은 고걸 어떻게 잡았는지 통 기억이 나질 않지만, 꿩 잡는 외할아버지와 떨어질 새라 연신 발뒤꿈치를 쫓아 숨이 턱에 닿도록 뛰었답니다.
 
2. 
처음부터 새만금 사업은 낙후된 지역을 살려낼 구세주로 떠받들어졌습니다. 그러니 경제성이니 식량안보니 하는 말들은 말장난에 불과했지요. 또 갯벌이니 그 안에 사는 뭇 생명들, 망둥이, 도요새, 피조개 등은 처음부터 관심대상이 될 수 없었습니다. 오로지 개발로 인한 ‘돈 잔치’만이 중요했던 겁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업 목적도 바뀌었습니다. 이미 들어간 돈이 있으니 여기서 멈추면 안 된다는 말도 나왔구요. 썩어가던 시화화가 해수와 만나자 살아났는데도 여긴 다르다고 강변했습니다. 결국 ‘세계 최대’라는 요란한 수식어만 남게 됐습니다. 바닷물은 들어올 수 없게 됐고 만경강, 동진강 물은 나갈 수 없게 된 겁니다.
 
3.
갯벌 가장자리에 장화를 신고 선 막내 삼촌은 밀물 때를 맞춰 낚싯대를 던졌습니다. 망둥이는 낚싯줄에 줄줄 올라왔습니다. 거의 매번, 던지는 족족 잡혔단 말입니다. 익숙한 솜씨로 머리와 꼬리를 잘라낸 막내 삼촌은 어린 조카에게 된장을 듬뿍 바른 마늘을 올려 내밀었습니다. 얼라는 무슨 맛인지도 모른 채 아직 꿈틀대고 있는 망둥이를 덥석 입에 넣었습니다.
 
잡아온 꿩을 할머니께 건네주고는 외할아버지는 썰물 때를 맞춰 수건을 챙겼습니다. 이번엔 할아버지가 외손주의 발뒤꿈치를 아니, 손을 꼭 잡고 미쳐 다 빠지지 못한 바닷물이 웅덩이를 만들고 있는 갯벌로 갔습니다. 그곳에서 처음 바닷물에 몸을 담근 아이는 또 놀란 눈입니다. 가만 누워 있으니 몸은 저절로 둥둥 뜨고, 발가락 사이로는 갯지렁이가 꾸물꾸물. 
 
4. 
새만금은 박정희와 전두환이 서남해안 간척 자원 조사를 한 이후 대통령 선거 때마다 난도질당할 처지로 떨어졌습니다. ‘역사의 반동이며 집권 여당인 민정당은 노태우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p.37)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까지 그야말로 ‘제가 대통령이 되면 새만금, 확실하게 밀겠습니다.’(p.174)가 반복되며 밀어붙였던 겁니다.
 
집으로 돌아오던 길, 막내 삼촌 등 뒤에서 새근새근 잠에 빠졌던 아이는. 미끈한 갯벌에 발이 푹푹 빠지면서도 외할아버지 등에 업히지 않았던 아이는 삼심년도 더 지난 지금 그 심포항과 화포리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막내 삼촌이 잡아줬던 망둥이, 외할아버지와 목간했던 갯벌에서 아직 살아있을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9/15 23:18 2014/09/15 23:18
1. 
아무래도 2MB이 대통령을 하고 있는 동안엔 심심치만은 않겠습니다. 만날 짜증나는 얘기만 들리다가도 ‘피식’ 헛웃음만 나오게 하는. 어이없는 짓거리들을 가끔 터뜨리니 말입니다. 최근엔 난데없는 ‘강도론’으로 집안싸움도 하고. 또 며칠 전에는 잠깐 9시 뉴스에도 나왔는데. 글쎄. ‘어감이 좋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노동관련 용어’이기 때문에 ‘비정규직’이란 용어를 퇴출시키겠다고 나선 적이 있었는데. 나, 참. 어찌나 어이가 없던지. 아마 여기저기서 ‘비정규직 문제’를 떠들어대는데. 막상 어찌 해야 하는지 답은 나오지 않고. 골머리는 썩는 마당에. 여기저기 언론사에 보도 자료까지 배포한 걸 보니. 참말로 기가 막힌 해결책을 만들 어 냈다고 자평하는 것 같던데. ‘비정규직’이란 말이 없어지면 ‘비정규직 문제’라는 것도 한 순간에 ‘펑’하고 함께 사라지리라 믿나 봅니다. 
 
2. 
혹 ‘아리울’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물을 의미하는 ‘아리(ari)’와 터전을 뜻하는 ‘울(ul)’을 결합한 순 우리말로 물의 도시를 상징한다고 하는데요. 생명의 근원인 물과 인간 문명의 상징인 도시의 만남이라. 어떤가요. 그래요. 정부가 2011년부터 2030년까지 20년간 21조원을 투입, 첨단 산업․관광레저․농업 등이 어우러진 세계적인 명품(名品) 복합도시를 만든다고 하는데. 이 도시가 들어서는 곳이 바로 ‘아리울(Ariul)’이랍니다. 꽤나 근사해 보이지요. 하지만요.  
 
‘전북 군산과 부안을 연결하는 방조제 33.6km를 축조해  4만 100ha의 해수면을 2만 8,300ha의 토지와 1만 1,300ha의 담수호로 만들려는 국책사업(<새만금, 네가 아프니 나도 아프다>, 풀꽃평화연구소 엮음, p16)'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죄 없는 광주의 시민들을 무차별 학살하고 권력을 장악한 살인마들이 ‘국토확장’과 ‘농지확보’라는 헛구호를 앞세워 민심을 되돌리고자 시작된 일이 끝내 ‘민주화’된 정권들마저 이를 넘지 못하고(‘정치야합과 탐욕이 빚은 새만금 비가(悲歌)’, 박병상) 갯벌과 그 갯벌과 하나로 이어져 있던 공동체를 무너뜨리고 만(‘새만금 갯벌이 살아야 우리가 산다’, 윤박경) 것에 다름 아닌 ‘새만금 간척사업’이 ‘아리울’이란 이름으로 변신을 꾀한 것이라면. 어떤가요. 아직도 근사해 보이는지요. 
 
3. 
‘아리울’은 외국인에게 '새만금'이란 발음이 어렵다는 불편이 나와 새로 만든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뭐, ‘새만금’이 얼마나 발음하기 어려운지는 알고 싶지도 않지만. 갯벌과 그 갯벌 속에 살아 숨 쉬던 생명들을 싹 죽여 가며 만든 다는 것이 고작 ‘물의 도시’라니. 참 우습지도 않네요. 그래서일까요. 단순한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세상에 나온 지 6년도 더 지난 책을 이제와 다 읽고서도 한참이나 내려놓지 못하고 있는 까닭이요. 그리구요. 아무래도 ‘비정규직’ 퇴출이란 발상이 그냥 나온 게 아니라는 생각이 자꾸만 드는 것이. 설마, 그렇게 하면 뭐가 뭔지 모를 거야, 뭐 그런 건 아니겠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2/17 16:29 2010/02/17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