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1. 
심포항은 이제 겨우 대 여섯 살인 얼라가 혼자 걸어가긴 먼 곳이었지요. 그래서 얼라는 늘 막내 삼촌을 졸라야만 했습니다. 고사리 같은 손에 대나무 낚싯대를 꼭 쥔 채 말이지요.  막내 삼촌은 넓디넓은 논 한가운데서 피를 뽑다가도. 무릎까지 자란 풀 더미를 낫으로 베다가도 허허 웃으며 자전거에 올랐습니다.
 
외할아버지는 화포리 집 뒷산 대나무 숲에서 장끼 잡는 일에 꼭 여섯 살배기 얼라를 데리고 갔습니다. 대낮에도 짙은 녹음으로 햇빛을 보기 힘든 그 숲은 얼라에게 꽤나 무서운 곳이었지요.  그래서일까요. 지금은 고걸 어떻게 잡았는지 통 기억이 나질 않지만, 꿩 잡는 외할아버지와 떨어질 새라 연신 발뒤꿈치를 쫓아 숨이 턱에 닿도록 뛰었답니다.
 
2. 
처음부터 새만금 사업은 낙후된 지역을 살려낼 구세주로 떠받들어졌습니다. 그러니 경제성이니 식량안보니 하는 말들은 말장난에 불과했지요. 또 갯벌이니 그 안에 사는 뭇 생명들, 망둥이, 도요새, 피조개 등은 처음부터 관심대상이 될 수 없었습니다. 오로지 개발로 인한 ‘돈 잔치’만이 중요했던 겁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업 목적도 바뀌었습니다. 이미 들어간 돈이 있으니 여기서 멈추면 안 된다는 말도 나왔구요. 썩어가던 시화화가 해수와 만나자 살아났는데도 여긴 다르다고 강변했습니다. 결국 ‘세계 최대’라는 요란한 수식어만 남게 됐습니다. 바닷물은 들어올 수 없게 됐고 만경강, 동진강 물은 나갈 수 없게 된 겁니다.
 
3.
갯벌 가장자리에 장화를 신고 선 막내 삼촌은 밀물 때를 맞춰 낚싯대를 던졌습니다. 망둥이는 낚싯줄에 줄줄 올라왔습니다. 거의 매번, 던지는 족족 잡혔단 말입니다. 익숙한 솜씨로 머리와 꼬리를 잘라낸 막내 삼촌은 어린 조카에게 된장을 듬뿍 바른 마늘을 올려 내밀었습니다. 얼라는 무슨 맛인지도 모른 채 아직 꿈틀대고 있는 망둥이를 덥석 입에 넣었습니다.
 
잡아온 꿩을 할머니께 건네주고는 외할아버지는 썰물 때를 맞춰 수건을 챙겼습니다. 이번엔 할아버지가 외손주의 발뒤꿈치를 아니, 손을 꼭 잡고 미쳐 다 빠지지 못한 바닷물이 웅덩이를 만들고 있는 갯벌로 갔습니다. 그곳에서 처음 바닷물에 몸을 담근 아이는 또 놀란 눈입니다. 가만 누워 있으니 몸은 저절로 둥둥 뜨고, 발가락 사이로는 갯지렁이가 꾸물꾸물. 
 
4. 
새만금은 박정희와 전두환이 서남해안 간척 자원 조사를 한 이후 대통령 선거 때마다 난도질당할 처지로 떨어졌습니다. ‘역사의 반동이며 집권 여당인 민정당은 노태우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p.37)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까지 그야말로 ‘제가 대통령이 되면 새만금, 확실하게 밀겠습니다.’(p.174)가 반복되며 밀어붙였던 겁니다.
 
집으로 돌아오던 길, 막내 삼촌 등 뒤에서 새근새근 잠에 빠졌던 아이는. 미끈한 갯벌에 발이 푹푹 빠지면서도 외할아버지 등에 업히지 않았던 아이는 삼심년도 더 지난 지금 그 심포항과 화포리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막내 삼촌이 잡아줬던 망둥이, 외할아버지와 목간했던 갯벌에서 아직 살아있을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9/15 23:18 2014/09/15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