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버지는 쌀가게 이름을 ‘충남상회’로 지었습니다. 분명 나고 자란 곳이 아니며, 혹여 놀러라도 가본 적이 있을까. 그런데 ‘충남’ 상회라니요. 하지만 아버지는 고향을 물어보던 사람들에게 꼬박꼬박 ‘논산’에서 올라왔다, 말하시곤 했습니다.
 
전두환이었던가요, 노태우였던가요. 아버진 반장에 이어 통장을 하겠다고 나섰습니다. 그러더니 어느 날엔 민주정의당 당원에도 가입을 하셨지요. 그리고는 중앙연수원에서 찍은 사진을 보란 듯이 가게에 딸린 쪼그만 방 한 쪽에 걸었습니다.
 
2.
‘일간베스트’라는 사이트에서는 특정 도를 ‘홍어’에 빗대 비하하고 있다지요. 차마 입에 담기도 힘든 말로 돌아가신 대통령을 조롱하고. 배설하듯 내뱉는 이런 말들은 ‘마케팅’에 이용됩니다. 말뜻도 모를 아이들도 심심치 않게 쓴다고도 합니다.
 
지금도 못마땅해 하는 사람들은 ‘광주사태’라 부르길 서슴지 않습니다. 총칼로 도려낸 누이의 젖가슴을 ‘폭도’라 하고, 후벼 판 동생의 가슴을 ‘빨갱이’로 칠하는 겁니다. 기념식은 열리지만 노래 한곡으로 반쪽이 되다 끝내 둘로 갈라졌습니다.
 
3.
빈곤과 착취의 땅이었습니다. 뼈 빠지게 일해도 가난을 벗어날 수 없는 세월이었지요. 봉건 왕조를 위해, 조국근대화를 위해 받친 숟가락이었던 겁니다. 씨 뿌리며 울고, 거두며 흘린 피눈물이 남도의 땅을 차고도 넘칩니다.
 
총칼로 권력을 찬탈한 자들은 ‘식민지’가 필요했습니다. 위태위태한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도 그러했고. 등 따습고 부른 배 두들기기 위해서도 그러했습니다. 역사가 이미 증명했듯 ‘착취’와 ‘수탈’이 또다시 자행된 겁니다.
 
4.
아직도 아버진 전라도가 고향이란 말을 내놓고 하진 못하십니다. 몇 년 전부터 다니시던 동창생들 모임도 소문내지 않고 다니시고, 동향 사람을 만나면 반가우실만도 한데. 무덤덤하기 이를 데 없고. 이력서에 본적 쓰지 않는 걸 어찌나 반기셨던지요.
 
가끔 술 한 잔 마시면 사투리가 나오기도 하지만, 아버진 여전히 완벽한 서울말만 쓰십니다. 우리끼리만 있는 집에서도 그러실 뿐만 아니라. 제사 때나 뵙는 작은 아버지들, 외삼촌들 모두 그렇지요.
 
5.
‘성공한 쿠데타’는 ‘예우’를 받지만 ‘실패한 혁명’에는 ‘모욕’ 뿐입니다. ‘성공한 쿠데타’는 ‘사투리’를 지키지만 ‘실패한 혁명’은 ‘말’과 ‘글’을 버릴 수밖에 없지요. ‘성공한 쿠데타’가 찍는 ‘줄투표’는 당당하지만 ‘실패한 혁명’의 ‘80%’는 ‘폐쇄’라 손가락질 받습니다.
 
‘호남상회’엔 ‘호남’사람들만 드나들고 ‘충남상회’엔 팔도 사람이 모입니다. ‘광주’는 가깝지만 멀고 ‘부산’은 멀지만 가깝습니다. ‘목포상회’는 ‘회칼’과 ‘용(龍)문신’으로 찍히지만 ‘부산상회’는 ‘근면’과 ‘성공’신화가 됩니다.
 
6.
‘충남상회’ 쌀가게 주인아저씨는 87년 6월 항쟁 뒤 첫 국회의원 선거 개표 날, 이상수씨가 당선됐다는 소식에 너무나 좋아했습니다. 김대중씨가 대통령선거에 이겼던 날엔 마치 집안사람이 대통령이 된 듯했구요.
 
‘충남상회’를 20년 넘게 하셨던 아저씨는 통일민주당에서 평화민주당으로 다시 돌고 돌아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바뀌었어도 늘 ‘민주당’이라 부릅니다. 딴 건 몰라도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때면 여전히 2번을 찍으십니다. 투표 전에 꼭 자식들에게 물어보긴 하지만 말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08/20 14:45 2014/08/20 14:45

또 ‘빨갱이’ 타령입니다. 물론 이번엔 직접적으로 ‘빨갱이’라 하지 않았지요. 다만 ‘운동권’ 출신, 그것도 ‘부총학생회장을 지낸 PD계열 인물’이라고만 했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곧이어 조.중.동을 위시해 앞 다퉈 옮기며 물 타기를 할 게 뻔하니까요. 아니, 이미 시작됐습니다. ‘주임검사’와 ‘운동권’으로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벌써 여기저기서 기사들이 올라오고 있으니요. 한쪽에선 ‘언쟁’이니 ‘감정싸움’이니 하며 국회 내 공방을 전달하는 척하면서. 또 한쪽에선 본격적으로 ‘운동권’ 검사에 대한 이력을 세세히 소개하면서 말입니다.

 

사실 새누리당이나 조.중.동.일베 등으로 대표되는 보수들이 이런 짓을 벌이는 게 한, 두 번도 아니라 새삼스럽지도 않지만. 문제는 건건이 다 통하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대응할 만한 가치도 없다는 얘긴 하나마나한 소리고. 전형적인 ‘물 타기’라고 길길이 날뛰며 목소리만 높이는 것도 역시 하나마나한 대응입니다. 그래봐야 ‘좌파’, ‘운동권’, ‘진보’라는 말이 ‘빨갱이’와 자동 연상되는 걸 바꿀 수도 없고. ‘빨갱이’ 소리만 들어도 움츠러들고 목소리가 작아지는 것도 바꿀 수 없으니까요. 또 엊그제 아침, 용어 혼란으로 생긴 문제를 가지고 호들갑을 떨며 “교육현장의 역사 왜곡을 바로잡겠다.”는 대통령의 생각도 바뀌는 게 아니까요.

 

김동춘 교수(성공회대 사회학과)는 한국전쟁이 우리 사회에 남긴 유산(遺産)으로 ‘전쟁이 사회 운영원리로 내재화되고 냉전적 정치경제 질서가 가장 철저하게 착근된 사회’라고 했습니다. 한마디로 우리 사회는 여전히 ‘전쟁’중이라는 건데요. 여기서 논의를 더 진전시켜 이런 질문을 던져본다면 말입니다. 예컨대 우리는 이 ‘전쟁’을 누구와의 ‘전쟁’으로 기억하고 있는지, 또 바라보고 있는 지를 묻는다면. 맞습니다.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이야말로 ‘빨갱이’면 다 통하는 우리 현실을 온전히 드러내 줍니다. 아직도 ‘빨갱이’와 ‘전쟁’을 하고 있는 마당이니요. ‘적’으로 간주된 이는 ‘사살’되거나 ‘포로’로써 무장해제를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또 힘없는 민중들은 정처 없이 ‘피난’을 떠날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북쪽이 대화를 제의하면서 남.북간 막혔던 통로가 열리는 가 싶었는데. ‘격’이 맞아야 대화를 할 수 있다는 남쪽 주장으로 분위기가 다시 가라앉았습니다. 6.15 행사는 반쪽행사로 끝났고, 북미 고위급회담도 ‘선(先)비핵화 조치’라는 압력에 막혀버렸습니다. 지난 ‘잃어버린 10년’을 돌이켜보면 한, 두 번 접촉으로 화해무드가 조성될 리가 없을 겁니다. 또 5.18 당시 ‘북한군이 침투’했다는 말을 공공연히 하는 마당에. 북쪽을 대화 상대자로 인정하는 것 또한 쉽진 않을 겁니다. 더구나 한반도는 여전히 ‘전쟁’상태인데다, 자국민마저 여차하면 ‘빨갱이’로 몰아세우는 판이니 말입니다.    

 

정연주 전 KBS사장은 <작은책>에서 행한 강연에는 37이라는 숫자를 반복해서 얘기했습니다. 지난 대선과 총선, 여론조사 결과 등등. 정 전 사장에 따르면 이 37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37은 우리 사회에서 흔들리지 않는 ‘뿌리 깊은’ 보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숫자인 겁니다. 진보는 ‘빨갱이’인 셈이고, ‘빨갱이’는 곧 ‘종북세력’이며, ‘좌파’와도 한 몸, ‘운동권’, ‘전교조’, ‘민주노총’은 물론 ‘민주당’까지도 관련 된다고 여기는 사람들인 겁니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 이후 지난 반세기 동안 ‘포로’로써 무장해제를 당한 사람들인 것이지요. 여기에 ‘피난’ 떠나는 사람들까지 합하면. 맞습니다. 결코 이기기 쉽지 않습니다.  

 

‘핵’을 앞세운 카드를 만지작, 만지작하는 북쪽을 두둔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습니다. 다른 것도 아니고 ‘핵’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파멸을 초래할 무기로 현 상황을 돌파하겠다는 생각은 결코 도움이 되질 않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한반도 평화는 물론이고 급격한 우경화의 길을 걷고 있는 일본과 미국에 견줄만한 군사력을 갖추기 위해 군비 증강에 나서고 있는 중국 등 동북아지역을 놓고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벼랑 끝에 내몰린 초등학교 학생에게 헤비급 권투선수가 나서 한판 붙자고 하는 건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고양이가 쥐를 몰 때도 도망갈 곳은 만들어놔야 한다는 말처럼. 마냥 몰아세워서는 일이 되질 않기 때문입니다. 

 

‘빨갱이’에 ‘빨’만 나와도 눈치를 봐야 하는 사회입니다. 아니 너도나도 손가락질이라 해야 살아남는 요상한 나라입니다. 그러니 정부를 향해 이제 그만 이 ‘전쟁’을 끝내자고 말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원칙을 지켜가면서 할 말은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행동도 해야 합니다.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라는 가치를 확고히 하면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당장 실현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고 북.미간 국교도 정상화해야 합니다. 한반도, 아니 동북아 평화공동체 구성을 위한 논의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고, 발전소를 포함한 모든 ‘핵’을 동북아에서 제거하는 일도 시작해야 합니다. 그것들이야말로 ‘빨갱이’ 콤플렉스에 빠진 우리 사회를, 여전히 ‘피난’을 떠날 수밖에 없는 우리 국민들을 ‘민주주의’의 장으로, ‘평화’의 장으로 건져내올 수 있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6/18 16:29 2013/06/18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