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날, 동강을 뒤로하고 아라리의 고향 정선으로(2006년 11월 9일)

 

평창 땅의 오대산에서 시작되는 오대천과 정선 땅을 흐르는 조양강을 모아 흐르는 동강의 신비로움은 그 이름만큼이나 세상 밖으로 온전히 다 나온 건 아닌 듯하다. 여느 때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였지만 그 내면의 깊이까진 맛 볼 수 없었으니 말이다. 더구나 강줄기를 따라가는 이야기는 드문드문 이름난 곳들에만 남아 있어 강을 온전히 이어주고 있지 않다. 아마도 돌고 도는 여울은 이어졌으되 길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동강과 만나는 길은 네 곳이다. 영월쪽 거운리에서 절운재를 넘어 강을 거슬러 오르며 만나는 길과 정선쪽 광하리에서 뼝대를 따라 강과 함께 나란히 걷는 길, 그리고 평창쪽 한탄리에서 장리천을 따라가는 길, 마지막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정선쪽 예미리에서 구러기재를 넘어 고림물굴이니, 양치동굴이니 벌말굴을 구경하며 휘 돌아가는 강줄기와 만나는 길이 그것이다. 동강과 만난다는 설레임만 가득하다면야 어느 길에 됐건 그리 중요치 않다. 다만 봄만 되면 수난을 겪는 동강할미꽃과 이제는 보기 힘든 어름치, 다묵장어, 묵잡나루 등을 떠올리며 다가서면 될 것이다.

 

가수리는 여울이 아름답다는 가탄과 물이 아름답다는 수미라는 마을 지명에서 따왔다. 마을 사람들의 후하기로 소문난 돈이치와 일조시간이 길어 살기 좋다는 기일, 골이 깊은 기곡, 샘물이 많아 물 걱정 없는 수동, 몇 고개를 넘어야 만날 수 있는 점재를 품고 있는 운치리는 동강 강물로 인해 물안개가 늘 산마루를 떠돌기 때문이다. 마을의 높은 세 봉우리로 하루에도 달이 세 번 뜨고 진다는 연포마을. 칠족령 산길을 낸 개 이름 ‘문희' 마을. 센 물살과 바위 덕에 먹이를 찾기 위해 황새들이 몰려들었던 황새여울. 어라연과 만지나루사이 뗏군들이 가장 두려워하던 된꼬까리.

 

“저긴 용수골이래요. 저 저기 뭐 용눈이 두 개가 있대요. 고 용눈에서 물이 요렇게 나온대요. 그래서 거 물구뎅이 두 개라서 용수골이라 해요. 가물믄은 저 저 백은 사람이 와서 개를 잡어서 그 밖에서 인제 도랑에서 낄애 먹고 대가릴 짤라 놓으면 대번 아주 그 이튿날 사흘만이면 고만 아주 하 진흙물이 고만 막 휘둘러가지우서 이 밖으로 시냇물이 나온대요. 그래니까 그 안에 뭐 큰 짐승이 미신 있죠”

 

“금오곡이라는데가 저 있어. 거는 엣날에 대왕쥐가 있다고해서 금오곡이라고 한데나. 뭐. 그런데 대왕쥐가 있나. 요만한 게 큰 긴데. 읍고 말고지. 시방은 안 그렇지만 엣날에 지관쟁이들이 거다가 거 어데다가 묘를 쓰민 장사가 난다고 그랬지. 그래 금오곡이여. 장사가 칼을 휘두르고 칼춤을 추고 이래가지고 금오곡이라고 하지. 뭐시기 한매디로 거기가 묘자리가 좋다는 거여”

 

굽이굽이 돌아가는 강줄기를 따라 옛이야기들도 굽이굽이다.

 

눈을 뜨니 코앞에 느티나무 하나가 가득하다. 굳이 동강 12경을 들먹이지 않아도 될 지경이다. 밤사이 비가 왔는지 강물이 불었지만 되레 그 때문에 단풍이 짙게 든 느티나무 너머 푸른빛의 물이 장관이 아닐 수 없다. 당초 오늘은 걷지 않기로 해 늦게 일어나 걸을 수 있는 시간이 모자랄 수 있지만 그래도 오래 머물 수 없다.

 

 

 

 

 

 

 

 

 

 

 

 

 

 

 

 

 

 

 

정선까지 대략 30리 길이라며, 동강을 걷는 사람들을 많이 재워주기도 했다며, 이른 점심을 우리 덕에 맛나게 먹을 수 있다며, 맑은 웃음을 보여주시던 하귤하 동강매점 할머니와 헤어지고 나니 12시가 가까워온다. 서둘러 길을 나서는데 마른하늘에 빗방울이 하나 둘 떨어진다. 여우비다. 문이 잠겨 있기는 하나 처마가 있어 비를 피할 수 있는 노인회관를 만날 수 있어 다행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우야 여우야 머하니”

 

한참을 그렇게 처마 밑에서 쉬니 애당초 마른하늘이었기에 금새 비가 그치고 맑은 하늘과 따사로운 햇살이 열린다. 다시 출발이다.

 

닷새 만에 다시 국도와 만난다. 덕분에 오가는 차도 많아진다. 또 42번 국도로 이어지는 광하교에 이르니 곧 오르막이이고, 오르막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도 않고 있어서인지, 닷새 동안 무리해서 걸은 탓인지, 몸도 무겁고, 마음도 무겁다. 해서 오르막을 오르는 동안 내내 서로 말 한마디 없다. 콧노래라도 부르며 올라야 지루하지 않을 텐데 덕분에 오르막이 더 길게만 느껴진다. 안되겠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쉬었다 가야지.

 

420m 높이의 솔치재 정상에 오르니 2시가 넘었다. 애초 일정대로라면 집에 있어야 할 시간인데 아직 정선읍내에도 이르지 못했으니 큰일이다. 그래도, 여기서부터는 내리막길이겠거니 싶으니 좀 낫다. 하지만 갓길도 없는데다가 조금 걷고 마주치고, 또 조금 걷고 마주치게 되는 차량행렬과 차에 받혀 죽어 있는 동물들로 자꾸만 처진다.

 

결국 정선읍내에는 3시가 다 돼서야 도착했다. 무거운 몸을 이끌고 서울행 시외버스에 오르니 배고픔도 잠시고 곧 잠이 쏟아진다. 창 밖 동강에 다섯 날 동안 함께 했던 빨간 낙엽이 진다. 안녕. 동강아.

 

* 열여섯 번째 여행에서 걸은 길

- 첫째 날 : 단양 매포 평동에서 가곡 향산까지 7시간 동안 약 20km를 걷다.

- 둘째 날 : 단양 가곡 향산에서 영월읍까지 9시간 동안 약 28km를 걷다.

- 셋째 날부터 다섯째 날까지 : 동강이와 함께 한 길, 영월읍에서 정선읍까지 약 52km.

 

* 가고, 오고

단양 평동으로 가는 길은 기차편도 그렇고 버스편도 마찬가지로 단양 쪽 보다는 제천 쪽이 더 수월하다. 또 단양에서 평동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제천에서 평동으로 이동하는 것이 쉽다. 정선에서 서울로 가는 시외버스는 대략 한 시간 간격으로 다니나 안흥 등 평창 내 여러 곳을 경유한다. 기차편은 하루 세 차례 운행하는 증산-아우라지 간 꼬마열차를 이용해 증산으로 나간 후 청량리행 열차로 옮겨야 하므로 시간을 맞추기도 어렵거니와 시간도 많이 걸린다. 시간을 절약할 요량이라면 시외버스를 이용하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색다른 경험을 할 생각이라면 기차를 이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낫다.

 

* 잠잘 곳

동강에는 생각보다 숙박시설과 음식점이 꽤 있는 편이다. 다만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음식점은 문을 열지 않으니 전날 묵었던 곳에서 반드시 도시락을 싸달라고 해야 하며, 숙박시설은 하루 전날 꼭 예약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그 외 지역은 최근 우후죽순 들어선 펜션에서부터 마을 민박에 이르기까지 숙박시설이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 다만 음식점은 변변치 않으니 식당이 나오면 바로 그때가 밥 먹을 때다, 하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6/05 11:25 2010/06/05 11:25
셋째 날, 눈이 부시게 푸른 동강, 그 안에서 길을 잃다(2006년11월 7일)
 
일기예보를 통해 추워질 거란 이야기를 들었어도, 또 어제 내린 비로 추워질 거라 예상했어도, 갑자기 마주친 추위엔 어찌할 도리가 없다. 나름대로 옷을 준비해오기는 했지만 어째 걱정이 앞선다. 해서 나름 햇살이 퍼진 이후에 출발하기로 하고 오랜만에 늦잠에 읍내 구경까지 해본다.
 
읍내를 가로지르는 강변길을 따라 10여분 만에 고갯길과 마주한다. 하지만 조금만 가면 동강과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숨이 차지는 않는다. 또 여기저기 동강이 지척임을 알려주는 표지판들이 서 있고 동강의 물줄기임을 보여주는 강이 어제, 그제 우리와 함께 하고 있으니 콧노래까지는 아니어도 발걸음은 가볍기만 하다.
 
   <거운리 입구에서 본 동강, 하늘 빛을 띠고 있다>
한적하기만 한 시골길을 세 시간 가량 걸으니 어라연으로 이어지는, 동강의 끝 지점이라고들 이야기하는 거운리다. 하지만 널리 알려진 이름과는 달리 마을이 참 썰렁하다. 아마도 철지난 탓이리라. 아무튼 여기서부터 강을 따라 걷기로 했으니 어라연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겠는데, 강을 건네줄 분의 바뀐 전화번호를 알 수 없어 시작부터 난관이다. 간단히 요기라도 해야 할 시간이고, 혹 어라연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을까 해서 슈퍼에 들어서는데, 다들 절운재를 넘어 문산으로 가야한다고 한다. 
 
"거그는 강 건널 수 없는디. 전화번호라꼬? 읎어. 저그 절운재 넘어 문산으로 가소"





 
 
 
 
 
 
 
절운재에 올라와서 보니 높이가 겨우 457m이라는데, 어째 지리산을 넘어온 것 마냥 무척 힘이 부친다. 점심을 건너 뛴 것도 한 몫 했으리라. 그래도 처음 보는 머루나무 구경에, 또 한없이 펼쳐진 배추밭 구경에 지루하지만은 않다.
 
절운재를 넘어 문산나루터에 당도하니 나루터라는 옛 정취를 느낄 수는 없으나 그래도 강 이쪽저쪽에 자리 잡은 자그만 마을이며, 강줄기를 따라 이어지는 하얀 자갈들과 울긋불긋한 산줄기들이 있어 예쁘기만 하다.
 
동강에 와서 어라연을 구경하지는 못했지만 여서부턴 강을 따라 걸을 수 있기에 아쉽지는 않다. 다만 제대로 된 동강 걷기 정보를 찾을 수가 없었기에 부실하기만 한 지도와 먼저 걸었던 이들이 남긴 기록들에 의지해야 한다는 것이 걱정이다.

 
                                                                                 <저 오르막을 오를 때까진 콧노래가 나왔지만 ....
                                                                                                              결국 깜깜해지고 나서야 겨우 내려올 수 있었다>
강 건너 문산마을을 이어주는 문산교 아래서부터는 지번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길을 따라 가야 한다. 벌써 세시가 훌쩍 넘은 시간이기에 서둘러, 차 한 대 지나기 채 어려운, 흙 길과 아스팔트길이 번갈아 이어지는 옛길에 접어든다. 고갯길을 넘어 두 번째 인가와 만날 때까지는 오랜만에 걷는 흙 길에, 하루 종일 있어도 사람 하나 만날 수 있을까, 할 만한 길을 걷는 맛에 별 걱정이 없다. 그리고 길이 끊긴 걸 모르고 무심코 접어든 강변 자갈밭을 한참을 걸을 때만 해도 강 구경에 아무생각이 없다. 그러다. 

 
멀리 절벽이 보이는 게 어째 심상치 않다 싶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절벽 가까이에 다가가니, 길은 자갈밭에 들어설 때부터 없었으니 그렇다 쳐도, 절벽이야 멀리서부터 봐왔으니 그렇다 쳐도, 이런, 어제 내린 비 때문인지 물이 자갈밭을 끊어 놓은 게 아닌가. 이를 어째나. 물은 그리 깊어 보이지는 않지만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선뜻 신발을 벗어 들기는 어렵고, 그렇다고 길이 끊긴 데라고 생각되는 곳까지 되돌아가려니 꽤 많이 온 듯하고, 어찌해야 하나. 

결국 30분 넘게 다시 자갈밭을 되돌아 산 쪽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 가본다. 혹 절벽을 돌아가는 길이 아닐까 해서. 하지만 어째 길이 돌아가기는커녕 산으로만 이어진 것이 걱정스럽다. 해서 문산교부터 여기까지 오는 도중 유일하게 만나게 된, 이곳에서 오랜 옛날부터 살고 계셨던 것처럼 보이는 할아버지께 길을 여쭌다. 

“진탄나루로 간다꼬? 거는 여그 뒤 산을 넘어가야 헌데”
 
어허, 엎친 데 덮진 격이다. 혹 산을 타게 될지 몰라 등산화에 스틱까지 준비하기는 했어도 이렇게 늦은 시간에 산을 올라야 할 줄이야. 할아버지 말씀이라면 저 위 밭 너머로 산을 넘어야 하는데. 해는 벌써 지기 시작했고, 산을 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알 수가 없으니 섣불리 산에 들어갈 수 없다. 하지만 어쩌랴. 이미 발길은 밭 꼭대기에까지 이르고 있으니. 이젠 산길을 찾는 수밖에. 
 
할아버지의 말과는 달리 산 중턱에 자리 잡은 밭 여기저기를 아무리 찾아봐도 산을 돌아가는 길을 찾을 수가 없다. 게다가 밭에 접어들면서 지기 시작한 해는 이젠 햇살을 찾아볼 수 없고 이미 날은 완연히 어둑어둑하다. 아무래도 지금 길을 찾는다 해도 산을 넘기는 틀린 것 같다. 지금이라도 서둘러 문산나루로 가야 할 듯하다. 
 
멀리 문산교 가로등이 보이는 곳에 다다르니 길은 아직 멀기는 해도 그래도 조금은 안심이다. 하지만 문산마을에 하루 쉬어갈 수 있을 곳이 있을는지 걱정이다. 영월읍내에서부터 이곳까지 오는 동안 몇 곳 민박할 만한 동네를 지나오기는 했어도 다들 여름철 장사 이후로는 문을 걸어 잠그고 있었기 때문이다. 해서 문산교 넘어 마을 입구에 당도하자마자 보이는 민박집 전화번호를 확인하고는 전화를 돌려본다. 헌데 핸드폰 저쪽에서 이제 막 사람 목소리가 들리려 하는 순간, 우리 앞에 차 한 대가 미끄러지며 선다.

 
“타세요. 민박할 곳 찾으시죠? 저희 집도 민박하거든요”

어쩌지. 에라 모르겠다. 일단 차에 오르고 본다. 

차는 우리가 탔던 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이내 멈춰 섰는데, 이런. ‘너무 좋은 데 아냐.’ 맨 눈으로만 언제 한 번 저런데서 자봐야지 했던 흰색으로 깔끔하게 마무리된 펜션 하나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 아닌가. 은근 숙박비가 걱정이다. 하지만 차까지 얻어 타고 왔으니, 어쩔 수 없다. 될 대로 되라지. 
 
추운 몸을 녹이라며 약간의 알콜을 가미한 따뜻한 녹차에 이어, 배고플 땐 그저 이게 최고라며 커다란 냄비에 한가득 라면을 끓여오는 모습에서, 이 사람 범상치 않다 싶었는데. 웬걸, 아니나 다를까. 낮에 우리가 절운재를 걸어 넘는 걸 봤었고, 또 다리에서 우리를 다시 만난 건 거부할 수 없는 일이었다며. 또 언젠가는 걸어서 여행하는 사람들과 밤새 이야기 하고 싶었다며. 안방까지 내주며. 오늘 하루는 아무 걱정 없이 푹 쉬라 하는데. 어쩜.
 
덕분에 몸은 피곤했지만 꽤 오랜 시간 동안 여행이며, 동강에 대해 많은 얘기들을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애정과 그 애정을 풀어 가는 자신만의 방법, 믿음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들을 동강의 별을 보며 함께 했으니. 어찌 편안히 쉬어가지 않았다 할 수 있을까. 창밖으로 동강을 밝게 비추는 별들을 다시 헤아리니 어느새 꿈나라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2/10 11:06 2010/02/10 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