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든 처음이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결국 아무리 먼 길도 한 걸음을 내딛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이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장 지오느가 쓴 <나무를 심은 사람>에 등장하는 엘제아르 부피에처럼 도토리나무를, 자작나무를, 떡갈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은 환경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아주 소중한 실천이 될 수 있겠습니다. 뭐, 나무가 잡아두는 이산화탄소야 나무가 살아있을 때나 유효한 것이니 별 소용이 없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무를 심는 행위가 단순히 숲을 가꾸고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 사라지고 파괴된 공동체를 복원시키는 일이라면. 지배와 착취라는 인관-자연 관계를 새롭게 바꾸는 일이라면 말입니다. 한 무더기 도토리에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정성껏 골라 땅에 쇠막대기로 구멍을 파고, 심고, 덮는 일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하지만 <환경과 경제의 작은 역사>라는 책을 쓴 존 벨라미 포스터가 도토리를 심는 있는 부피에를 본다면 무슨 얘기를 할까요. 사적이윤 추구와 맞물려 있는 경제체제를 재조직화하지 않는다면.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이 됐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절전형광등과 같은 에너지 절감 기술이 됐던. 자연과 인간 사이에 결코 평화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며, 아마도 따끔한 충고를 할 겁니다. 지속가능하고 생태적인 경제를 가능케 하기 위해선 사회적 토대로서 생산을 사회화해야 한다는 말이겠지요.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고르디우스 매듭’을 말끔히 잘라냄으로써 문제를 풀었다는 알렉산더 이야기도 되새겨볼만 합니다. 더구나 환경위기가 언급된 지도 벌써 반세기가 넘었고, 태평양 섬나라들이 국민들을 이주시킬 곳을 찾고 있는데도 마땅한 대책들이 나오지 않는 상황인 걸 보면 말입니다.
 
All or Noting. 어떤 문제가 됐건 그 해결책을 찾는 데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전부가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일 겁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제쳐놓는다면 결국 현실에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셈이니까요. 물론 찾아낸 해결책이 미봉책으로 그칠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더욱 꼬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 되레 문제가 드러나지 않게 가리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 위기만 놓고 보자면 말입니다. ‘천 리길도 한 걸음부터’ 뗀 사람도 찾기 힘들뿐더러, ‘고르디우스 매듭’ 앞에서 여전히 머리만 굴리고 사람들만 있는 것 같으니 말입니다. 머뭇거리고 주저하는 사이, 인간으로 인해 시작된 재앙이 결국 파국으로 끝나게 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기만 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6/20 14:23 2012/06/20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