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든 처음이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결국 아무리 먼 길도 한 걸음을 내딛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이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장 지오느가 쓴 <나무를 심은 사람>에 등장하는 엘제아르 부피에처럼 도토리나무를, 자작나무를, 떡갈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은 환경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아주 소중한 실천이 될 수 있겠습니다. 뭐, 나무가 잡아두는 이산화탄소야 나무가 살아있을 때나 유효한 것이니 별 소용이 없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무를 심는 행위가 단순히 숲을 가꾸고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 사라지고 파괴된 공동체를 복원시키는 일이라면. 지배와 착취라는 인관-자연 관계를 새롭게 바꾸는 일이라면 말입니다. 한 무더기 도토리에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정성껏 골라 땅에 쇠막대기로 구멍을 파고, 심고, 덮는 일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한다는 얘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하지만 <환경과 경제의 작은 역사>라는 책을 쓴 존 벨라미 포스터가 도토리를 심는 있는 부피에를 본다면 무슨 얘기를 할까요. 사적이윤 추구와 맞물려 있는 경제체제를 재조직화하지 않는다면.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이 됐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절전형광등과 같은 에너지 절감 기술이 됐던. 자연과 인간 사이에 결코 평화를 보장해주지 않는다며, 아마도 따끔한 충고를 할 겁니다. 지속가능하고 생태적인 경제를 가능케 하기 위해선 사회적 토대로서 생산을 사회화해야 한다는 말이겠지요.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고르디우스 매듭’을 말끔히 잘라냄으로써 문제를 풀었다는 알렉산더 이야기도 되새겨볼만 합니다. 더구나 환경위기가 언급된 지도 벌써 반세기가 넘었고, 태평양 섬나라들이 국민들을 이주시킬 곳을 찾고 있는데도 마땅한 대책들이 나오지 않는 상황인 걸 보면 말입니다.
 
All or Noting. 어떤 문제가 됐건 그 해결책을 찾는 데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전부가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일 겁니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제쳐놓는다면 결국 현실에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셈이니까요. 물론 찾아낸 해결책이 미봉책으로 그칠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더욱 꼬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 되레 문제가 드러나지 않게 가리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 위기만 놓고 보자면 말입니다. ‘천 리길도 한 걸음부터’ 뗀 사람도 찾기 힘들뿐더러, ‘고르디우스 매듭’ 앞에서 여전히 머리만 굴리고 사람들만 있는 것 같으니 말입니다. 머뭇거리고 주저하는 사이, 인간으로 인해 시작된 재앙이 결국 파국으로 끝나게 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기만 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6/20 14:23 2012/06/20 14:23
1. 
추기경이 기어이 일을 내고야 말았더군요. “주교단이 4대강 사업이 자연을 파괴하고 난개발의 위험을 보인다고 했지 반대한다는 소리는 안 했다”며 “위험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개발하라는 적극적인 의미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으니. 천주교 최고 의결기구인 주교회의가 지난 3월에 발표한 4대강 사업 반대 선언을 완전히 뒤엎은 겁니다. 게다가 정 추기경은 “4대강 문제는 토목 공사하는 사람들이 전문적으로 다룰 문제지 종교인들의 영역은 아니다”라고 했고, “4대강이 올바로 개발되느냐 안 되느냐는 결과를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허 참, 이 정도면 이거 주교회의가 제 일도 아닌 일에 나선 셈이고, 잘 알지도 못하는 일에 괜한 짓거리를 한 꼴인가요.  
 
2. 
자승 총무원장의 발걸음은 갈之자입니다. 애당초 4대강 반대에 앞장선 봉은사 명진 스님을 내쫓기 위해 ‘좌파’라는 딱지를 꺼내든 한나라당에는 입도 뻥긋 못하다가. 아니 G20을 앞두고 결국엔 쫓아냈지요. 그리고서는 예산안 날치기 때 템플스테이 지원 예산이 삭감되자 정부, 여당 의원들의 사찰 출입을 거부한다는 성명을 냈는데요. 일부에서 돈 갖고 장난치니까 이제와 뒷북친다는 말에 또 발끈. 불교계의 정부, 여당 규탄이 예산 삭감 때문이 아니라 4대강 강행을 위해 국민과 소통을 포기하고 서민예산을 모두 삭감한 데 따른 것이라 뒤늦게 해명하고 나섰는데요. 아무리 봐도 이건, 술에 취한 사람이 제 갈 길을 바로 가지 못하고 이쪽으로 한걸음 저쪽으로 한걸음, 꼭 그 모습 아닙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3.
오늘날 생태학적 위기는 지역적이면서 지구적이란 점에서 문제의 규모가 매우 크고 복잡합니다. 물론 이러한 것들로 인해 그 해결책을 마련하는 일도 쉽지 않구요. 그렇지만 계속되는 지구환경의 붕괴 또는 회복할 수 없을 정도의 파괴를 보면서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반면 위기의 극복을 과학기술에 의존한다는 건. 인류라는 종(種)이 무한한 물질문명을 추구함으로써 푸른 지구별을 망가뜨리고 있다는 점을 애써 외면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지요.
 
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 유대교, 자이나교 등등의 세계 종교들은 확실히, 자연관을 형성하고 자연 속에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시각들을 창조하는 수단이 되어 왔음(p.7)에 틀림없다는 점을 인정하다면. 생태 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중요할 것 역시 인정해야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환경 위기, 생태 위기를 반성적으로 지적하고 해석하는 목소리들 가운데 종교 전통들이 가지는 울림은 단연코 크고 넓기 때문이지요. 또한 이 종교철학들이 비록 물질문명과 함께 커왔으나 그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삶과 세계관을 형성해오기도 했으니까요.
 
민들레책방에서 펴낸, 메이 리블린 터커와 존 A. 그림이 엮은 <세계관과 생태학: 종교, 철학, 그리고 환경>은 다양한 종교적, 문화적 전통들, 세계관들을 두루 살펴보면서 자연에 대한, 인간에 대한, 지구에 대한 생태학적 윤리의 더욱 폭넓은 해석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런 전통 위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새로운 생태학적 시각-에코페미니즘, 과정철학, 근본 생태론, 생태 지리학-들에 대한 간략하지만 핵심을 짚어내는 열정 또한 보여줍니다. 다양한 전통적 세계 종교들이 가지고 있는 녹색의 시각을 소개하면서도. 근대 계몽주의의 심성을 넘어서야만 이 지구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중요한 원칙을, 아니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다시 한 번 고집스레 얘기하면서 말입니다.
 
4. 
지난해 5월, 조계종 중앙종회 의장, 대한 성공회 서울교구장, 원불교 중앙교구 교구장, 한국 기독교교회 협의회 회장,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이 “가장 선한 것은 강물입니다”라며 4대강 사업을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그리고 ‘자장 선하고 뭇 생명의 근원인 강의 마음을 생각해 4대강 사업을 중단하고 정말 어떤 방식이 이 강을 살리고 나라를 살리고 국민 모두를 살리는 길인지 다시 한 번 냉철하게 검토하고 연구해 줄 것을 제안’했지요. 하지만 2MB 정부는 지금까지 이 제안에 대해 검토, 연구는커녕 모르쇠, 막무가내, 밀어붙이기, 날치기로 응대했습니다. 누가 봐도 댐일 보(堡) 건설만 해도 벌써 공정률이 70%를 넘었고, 천문학적인 사업비가 들어가는 예산안을 재작년에 작년에도 날치기 처리를 했으니 말입니다. 그런데도 추기경은 주교회의 결정사항을 제 맘대로 해석하고, 아니 왜곡하고 나섰고. 총무원장은 한나라당과 2MB 정부에게 눈에 가시 같은 사람이었던 명진 스님을 내쳤으니. 아무래도 이 책, <세계관과 생태학>은 누구보다 먼저 추기경과 총무원장이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 그래야 자승 스님의 갈之자 걸음도, 정진석 신부의 교언영색(巧言令色)도 바로잡힐 것 아니겠습니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2/05 14:09 2011/02/05 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