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박현채 '민족민중론' 에 대한 부연 메모

지난 여름 박현채 선생의 '민족민중론'에 대한 논의를 중국어로 써서 기고를 해 두었는데, 그 문제의식과 단편적 내용은 앞에 간간히 소개한 바 있다. 여전히 여러모로 가설적이고, 번역 일로 인해 진척시킬 여러 고민거리들을 그냥 방치해 놓은 상황이다. 오늘 몇 가지 생각이 들어 간단히 메모해 둔다. 소 논문의 구상 정도에 불과하다.

 

박현채의 '민족민중론' 추기.

 

*민중과 정치성(정치적인 것)

내부적 정치성에 기초한 대중 사회운동의 전개되는 가운데, 일정한 정세 속에서 외부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당과 국가, 심지어 독립 또는 합병 등의 정치체의 주체와 공간에 대한 결정(이른바 국제적인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 과거적 기원을 갖는 '분단'이 미래적 목적으로서 개조되어 제시될 수도 있다.

 

*정치성의 한계와 민족민중론의 변증법
그러나 내부적 정치성의 전개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역사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즉 남북한의 분단을 초래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및 신 제국주의적 상황을 인식 및 극복하지 않고, 남한 내에서의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적 변혁이 가능한가? 다시 말해, 자본주의적 변혁은 자본주의적이지 않은 '인민'과 '민족'을 파괴하였는데, 분단은 그 결과 가운데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를 극복하는데 일차적으로 분단으로 왜곡된 '공간' 및 '주체'에 근거한 민중의 주체적 정치성의 전개에 기초할 수 밖에 없다. 여기에서 '기원'으로서의 전근대적 '민족'은 '민중'의 정치화의 과정을 거쳐 다시 미래의 '목적'으로서의 새로운 정치체 '민족'으로 표상된다. 이는 '정치성'의 전개를 해체에서 구성으로 완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민족'은 '민중'의 정치화의 과정에 그 기초를 부여하고 일정한 지향점을 제시한다.

 

*분단의 문제설정의 일반화
한반도나 양안의 분단이라는 특수성은 현대민족국가 체계의 일반적 특징이 결정(結晶)된 것이 아닐까. 강한 의미에서, 현대 민족국가에서 '분단'을 발견하지 않고는, 나아가 분단을 발견하여 내재화하지 않고서는 '민중'의 정치화는 지속적으로 출현되지만 구성되지 않고 불안한 상태에 머물게 된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적 세계 체계를 지탱하는 현대 민족국가 일반에 대해 "우리는 모두 '분단국가'이다"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분단'을 초래한 원인은 민족국가 내부의 '민중'의 주체와 이념 안에 이미 각인되어 있고, 이를 인식하고 미래지향적으로 극복하지 않는 정치성의 전개는 궁극적으로 과소결정된다. 이는 모든 현대 민족국가 내부에서 발견하고 발굴해야 하는 일반성을 갖는 비판적 지식생산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물론 그 구체적 양상은 매 국가와 사회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렇게 '분단'을 발견하는 일, 이른바 '분단'의 문제설정은 바로 '역사적인 것'으로의 우회를 의미한다. 근대 민족국간간체계의 형성은 이러한 체계 자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식 사상적 자원이 이미 민족국가 단위의 절대화/본질화를 통해 민족주의적으로 제거되어 온 역사였다. 따라서 이는 기존의 '역사'에 대해 '역사성'을 대립시키는 일종의 '해체'적 작업을 요구한다. 여기에서 탈식민주의적 방법론이 참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분단의 일반성이라는 문제설정 속에서 한반도의 분단 또는 양안의 분단은 바로 분단 내용의 개별적 특수성으로 변증법적으로 개별화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