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13년 체제?

'2013년 체제'가 백낙청 선생 등에 의해서 제기되면서 세간에 일부에 의해(주로 창비 그룹) 분석적 개념으로 사용되는 모양이다. '1987년 체제'가 광범위한 대중운동을 통해 6. 29선언 등 제한적으로 제도 정치에 그 성과가 반영되어 일정한 체제의 변형을 가져왔다면, '1997년 체제'는 세계적 경제위기의 한 측면이 남한에 반영되면서 새로운 '빈곤'이 구조화되는 강화된 초과착취의 체제로의 변형을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내가 보기에는 둘 다 그 해 말에 있었던 대선의 결과와는 별 상관 없이 체제적 변형의 의미를 보존했을 것이라고 보인다. 이는 역사의 전개를 보는 관점의 차이와 관련되는 것 같다. 사실상 '체제'론은 본래부터 사회적 변형의 우선성을 전제하는 것인데, '2013년 체제'는 이러한 맥락을 소거한 채 정치적으로 체제론을 먼저 구성하려는 목적의식적 개념으로 제기된 듯 하다. 이러한 개념은 일정하게 선거/의회라는 계기를 통해서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향을 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사회운동과 대중운동에 맹목적일 수 밖에 없고, 한편 백낙청 선생의 경우 분난체제론에서 도출된 '평화구축' 및 '남북연합' 등의 분단극복 지상론을 기본 입장으로 갖는다는 점에서 민중의 내부적 정치성의 전개과 출발부터 접점을 가질 수 없는 상층의 논의로 머물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사회적으로 거대한 변형을 일으킬 만한 1987년의 사회운동 또는 1997년의 강제적 구조조정이 없다면 '2013년 체제'는 체제로서의 분석개념의 지위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그 개념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더욱 '2013년 체제'의 불가능성을 높혀주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