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국회의원 되는 꿈...

국회의원이 되는 꿈을 꿨다. 시국이 그래서 그런가.ㅋㅋ 전혀 기대하지 않았는데 비례대표로 당선이 되어서 스스로도 믿기지 않아했던 것 같다. 나에게도 어떤 정치가적 욕망이 있었나보다. 암튼 어젯밤 이런 꿈을 꾸고 얼마 안 지나 손호철 선생님과 임영일 선생님의 글을 보게 되었고, 간단히 논평을 페북에 올려보았다.

 

먼저 꿈꾸기 전에는 이런 논평도 했다.

 

**

당권파에 대한 도덕적 비판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보수 언론이나 정당의 비판과도 다를 것이 없다. 궁극적으로 당권파는 남한 좌익 운동의 한 운동 문화를 보여준 것일텐데, 아마도 집단성을 개체성 보다 우위에 두는 논리가 핵심인 것 같다. '위기'는 적당한 변명 거리를 제공했다. 아래로부터의 주체화를 바탕으로 하는 민주와 해방의 원칙을 바탕으로 한 운동의 이념과 문화의 혁신이 전제되지 않는 한, '위기'적 상황에서 이러한 패권주의는 계속 반복되게 되어있다.

그런데 사실상 통합진보당 자체가 진보진영 안에서 MB에 의한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모종의 거짓 '위기'를 핑계 삼아 다양한 진보의 목소리 위에 군림하고 통합을 강요한 것 자체가 패권 아니었던가? 그것 자체가 집단성, 즉 '통합'과 '단결'을 아래로부터의 주체형성 위에 두었던 '집단 논리' 아니었던가?

진보좌익운동의 대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대안적 세력이 부재한 것이 현재 목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방 주체화와 사회 변혁을 정세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시금 민족문제와 민중운동을 결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민족' 없는 민중운동은 변혁적 전망을 끌어내기 어려울 것이다. 사회구성체논쟁이 다시 진지하게 재검토되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507084833&section=01&t1=n

통합진보당 사태에 대한 손호철 교수의 칼럼은 매우 흥미로운 분석을 하고 있다. 당권파 이정희 대표와 자유주의 세력 유시민의 밀월관계와 그 파탄이 갖는 의미에 대한 분석은 설득력이 있다.

그렇지만 내가 보기에 이러한 분석에 '민주주의'의 문제를 한반도와 남한의 좌익 전통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화하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나는 NL당권파의 패권주의가 잘못된 관행이든 무엇이든, 사실상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당권파를 중심으로 한... NL이 갖는 물질적 힘, 나아가 그 역사적 힘 때문이었다고 본다. 더 긴 안목에서 보면 이 힘은 민족적 역사가 부여한 힘이었고, 정세적 변화 속에서 긍정적으로 전유되어야 할 힘이었다. 이른바 PD는 이러한 힘의 타락에 대해 비판할 수 있었지만, 이를 새로운 힘으로 긍정적으로 전환시키지도 못했고, 대체할 수 도 없었다(어쩌면 이 실패는 필연적이었다). 결국 이러한 전환의 지체는 손호철 교수의 칼럼이 주목한 것처럼 유시민과 같은 외부세력에 의해 '극복'될수도 있는 상황까지 왔다. 이는 유시민의 좌익에 대한 기여인가? 아니면 좌익의 자유주의로의 포섭인가? 답은 결국 민주주의의 타자에 대한 사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손 교수는 이 지체의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거나, 그저 당권파의 도덕적 문제로 치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는 것 같다. 나는 우리 좌익 이론의 한계를 직시할 때가 왔다고 본다. 계급적이고 민중적인 보편적 분석으로는 우리 사회를 역사적으로 조건짓는 개별적 구조들에 맹목적일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이론은 저항을 추수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내가 보기에 어찌보면 그것은 실천적 이론이 아니다. 본래 이론은 보편적 명제를 특수한 사례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 특수성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통해서 보편성에 참여하는 것이고, 그런 과정에서만 비로소 대중의 정치적 저항의 힘이 구성적인 변혁의 힘으로 조직될 수 있다.

 

 

 **

http://www.redian.org/index.php/archive/2348

임영일 선생의 '하방'은 궁극적으로 아래로부터의 노동운동의 논리에서 나온 판단이지만, 그 의미는 이중적으로 노동운동을 넘어서는 것 같다.

... 본래 당 운동이나 민족운동(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은 노동운동 등의 민중운동의 결과적 총합일 수 밖에 없는데, 기층이 무너지는 과정을 극적으로 드러낸 노동운동으로부터 그 과정의 한계를 더욱 명확하게 판단한 것이다. 나는 어쩌면 당 운동은 곧 민족운동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변혁운동이다. 그런데 변혁운동은 민중 주체의 해방운동을 전제하지 않는다면 대중과 유리된 엘리트주의적 정당 내지는 대중을 기만하는 포퓰리즘적 정당 이상의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게다가 그러한 당은 그와 결합된 해방적 주체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무화시키고 변혁의 전망을 지속적으로 연기한다. 그런 의미에서 임영일 선생의 '하방'은 이미 노동을 넘어 민중운동 전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다른 차원도 있는 것 같다. 이론적 측면에서의 '하방'은 무엇인가? 나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기어코 재조직될 민중의 해방적 운동을 기다리면서, 한편으로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 다른 한편 기층의 해방적 민중운동이 당 운동 또는 민족운동과 같은 변혁의 역량으로 조직될 수 있도록 진정한 무기를 벼리는 이론적 '하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론에 있어서의 이 '하방'은 여러 운동이 하나의 사회 속에서 유기적 역량으로 아래로부터 조직되어 수렴될 수 있도록 매개해주는 개별특수적 '민족'적 심급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아닐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