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박현채

전리군 선생은 그 수많은 역경 속에서 늘 노신을 참조점으로 삼아 살아왔다고 했다. 늘 노신으로 돌아가 당면한 과제를 사유할 근거를 찾아 재전유했던 것이다. 나에게는 박현채가 그렇게 되어가고 있다. 사유가 막히는 지점에서 나는 늘 박현채 전집을 뒤적이게 된다. 오늘 '분단'의 문제를 고민하다가 다시 박현채 선생님의 글을 읽어보았다. 아울러 '지식'의 문제에 대한 그의 사유도 다시 참조하게 된다.

 

진정 그는 남한의 모택동이라 할 수 있겠다. 냉전과 분단이라는 남한의 현실에서 모택동을 부여잡고 부단히 사상적 실천을 해온 그였다. 리영희 선생에게 노신이 있었다면 박현채 선생에게는 모택동이 있었던 셈이다.

 

1989년 1월 <사회와사상>에 실린 <변혁시대의 지식인과 역사의식>이라는 글의 일부이다. 첫 단락은 나의 자격고사 2의 제사로 인용하기도 했던 부분이다. '민주화'와 '관념적 지식인'의 형성이 같은 과정의 다른 표현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박현채 선생은 '민주주의'를 중요한 실천 과제로 설정했으나 그것이 민중적이고 민족적인 관련을 가짐을 전제했던 것이고, 그렇지 않은 '민주화'의 한계를 지적한 바 있다.

 

역사에서 지성의 비극은, 시대적으로 주어지는 모순 관계의 복합은 관념의 독자적 발전법칙과 결합하여 다양한 것으로 되면서 시대적 규정 속에서도 관념화한다는 데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실천과 같이 있지 않는 지나친 관념화와 주관적 순수성에의 자부는 러시아의 경우에서와 같이 '지성의 비극'으로 된다는 것이다.

 

그간 우리 주변에서는 당면한 주요과제와 상관 없는 고도의 이론전개와 논쟁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것을 쟁점으로 하여 상호분열이 누적화함으로써 당면 문제에 대한 힘의 분열이 가속화되어 온 것이 그간의 상황전개이다.

 

우리의 경우 그간의 상황은 단계론적인 인식 없는 자기 헤게모니를 위한 이론의 관념화를 조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의 관념화는 민주화운동 집단의 민중으로부터의 유리를 기초지우는 것으로 되는 것이고 되고 있다. 그뿐 아니라 이런 것들은 관념적인 지식인의 광범한 존재에 의해 더욱 확산되고 있다. 민주화운동의 확산과 일정한 사회적 지반의 확보는 관념적 지식인들로 하여금 민주화운동에 참여케 하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민주화운동에의 참여는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 참여 없는 관념적 논의의 누적적 확대재생산의 과정으로 된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