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귀국을 앞두고...

젊은 좌익 연구자의 비관주의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그것은 다소간 패배주의, 써클주의, 선민의식과 결합되어 있다. 8-90년대의 어떤 전환과 분명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연구자는 사상적 과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연구를 통한 사상적 돌파를 끌어내지 못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좌익이론의 비현실성은 더욱 심화되고, 현실과의 관계에 있어서 우익만도 못한 자기만족적 성과로 그치게 된다. 그 구체적 표현이 운동 추수적 좌익 이론이다. 운동 뒤에 숨은 이론은 사실 이론이 아니다. 80년대 말 이후,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이론의 지도적 역할은 사실상 부재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 가운데 성장한 우리들은 진정한 주류적 질서나 권력 체제에 제대로 덤벼보지도 못하고, 그럴 용기도 없으며, 객기를 부려 한번 덤벼봤자 바로 나가 떨어진다. 그게 적어도 근래 20여년, 우리 세대, 대략 40세 이하, 90년대 중반학번 이후 연구자들의 대체적 경험이었던 것 같다. 예전엔 참여할 마당이 없었던게 문제였다면, 지금은 멍석을 깔아줘도 놀 능력이 없다. 엘리트주의적인 추상적 담론으로 도피하거나, 운동추수적인 좌익이론주의로 머물거나 둘 중의 하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제에 대한 공통 인식이 주어지면 사람은 자연스럽게 모이기 마련이다. 각자의 역할도 자연스럽게 분업화된다. 그런 공통인식이 부재할 때, 사람은 흩어지고 불필요한 관념적 논쟁과 분기가 전개된다. 아마 80년대 말의 상황이 일정하게 그 기원이었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제대로 극복되지 않은채 그 후과가 재생산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심각한 진단을 하게 된다. 게다가 각종 이론물신화는 내부적 소통을 더욱 가로막고 있기도 하다.

 

그나마 분과학문으로 들어가면 나름대로 성과를 내는 연구자들이 없지 않지만, 문제는 사상적으로 그들을 묶어주는 구심도 없고 기제도 없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좌익 진보의 연구자가 주류 학문을 압도할 정도로 연구에 있어서나 사상적 실천에 있어서나 압도적이었던 적이 있었지만, 이제 그런 연구자를 만나보기란 참으로 난망한 상황이 되었다. 

 

무슨 이야기를 어디에서부터 누구와 시작해야 할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