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왕휘 수업, 제6강 <전쟁, 문화 그리고 정치>

내용은 좀 산만하게 전개 되는데 몇 몇 포인트는 중요한 것 같아서 메모해둔다.

 

왕휘의 글 <문화와 정치의 변주: 전쟁, 혁명, 그리고 1910년대 '사상전'>은 1차 대전, 즉 전쟁의 위기와 중국의 공화 위기라는 '위기'의 정세 속에서 '자각'은 문화적인 것(또는 곧 정치적인 것)을 낳고, 여기에서 정치와 역사간의 단절이 발생했다는 점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문화 운동이 5.4 신문화운동인데, 왕휘는 이 신문화운동에서 <신청년>과 갈등적 위치에 있었던 <동방잡지>를 분석함을 통해 '역사화'를 시도한다. 그리고, 그 당시에 <신청년>에게 패배했던 <동방잡지>가 한 세기 이후 현대성을 고민하는 데 있어서 제시할 수 있는 참조점을 찾고자 한다. 흥미로운 것은 <신청년>이 적극적으로 현대성 또는 민족국가를 수용하고 청년이라는 새로운 주체를 통해 실천을 창조해 내고, 나아가 이는 사회주의혁명의 기초를 제공하기도 한 반면, <동방잡지>는 오히려 민족국가 보다는 문명국가를 제시하면서 국가의 정치를 넘어서는 문명의 정치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왕휘의 분석은 그다지 깊게 나아가지 않는다. 물론 왕휘는 민족국가가 인민주권과 같이 권리주체로서의 개인의 인격화를 통해 형성됨을 비판한다. 이는 소위 사회계약의 허구성 또는 정치의 자율성의 허구성을 비판하는 것과 유사한 맥락인 것 같다.

 

한편, 중간에 흥미롭게도 3.1운동에 대해 언급했는데, 윌슨주의의 영향과 그에 대한 실망의 차원에서 조선의 사례도 나름 중요한 분석대상이 된다는 설명이다.

 

1924년 손문의 대아시아 개념은 일본의 도쿄학파와 일정한 차이를 갖는데, 손문의 것이 혼종성을 포함하는 일종의 초국가적 개념이라면, 도쿄학파의 것은 동질성으로 표현되는 공동체주의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손문은 동으로는 일본, 서로는 터키, 남으로 인도까지 포함하는 대아시아 개념을 갖게 되는데, 이는 바로 '러시아 혁명'의 정치성을 전유한다는 것이 왕휘의 해석이다. 따라서, 손문의 '왕도'는 오해받기 쉽지만, 혼종성을 포함하는 공존의 원리라고 해석될 수 있다는 것. 왕휘는 두 가지 예를 들었는데, 하나는 중국 역사 속에서 쇠망하는 청조와 오히려 조공관계를 유지하고자 했던 것은 네팔이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련의 불평등조약 폐기를 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티벳과 몽고를 포함하는 중국의 국가형성과정이 민족국가(민족자결)의 논리와 다르다는 점에 의해 다시 지지된다.

 

이는 종족성/민족 등의 번역문제와도 관련된다. ethnic은 미국식 개념이고, national(ity)는 민족체는 중국적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왕휘의 설명은 흥미롭다. 기존에 나오키가 체계적으로 민족을 ethnic으로, nation을 국민으로 번역하는 부분에서 '국가'이전의 인민의 이름으로서의 '민족'(주의) 그리고 '민족해방'은 ethnic한 것이 아니라는 반론을 폈던 적이 있는데, 나는 이 지점이 바로 역사성을 요구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마침 왕휘는 nationality를 민족/국민의 두 가지를 포함하되, 민족을 의미할 경우 반드시 동질화의 경향을 가진다기 보다는 혼종성, 차이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정치체를 구성하는 원리를 내재할 수 있다고 본다. 좀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간단한 뒷풀이에서 나는 두 번째 수업 텍스트에서 왕휘가 언급한 "아시아 역사에 대한 재사고는 유럽의  '세계역사'에 대한 재구성"이라는 관점에 대해, 이러한 '세계사'의 시각은 보편성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물어 보았는데, 데리다의 '연역'을 이야기한 부분은 내가 잘 모르겠고, 바디우의 개별적 보편성 이야기를 하면서 '이론'에 대한 문제는 옆 자리에 있던 류교수에게 물어보는게 좋겠다고 했다. 왕휘는 바디우의 사건적 개별적 보편성에 대해 별 이의 없이 수용하는 태도를 갖고 있었는데, 바로 구조의 역사, 또는 역사의 동역학에 대한 침묵이 바디우와 왕휘에게 공통적이지 않은가 싶다. 왕휘가 수업 말미에 이야기했던 일종의 허무주의적 언급은 바디우의 모종의 낙관주의와 동일한 논리적 구조를 가지지 않는가 의심해 보고 있는데, 왕휘는 20세기 출현했던 거대한 '정치성'이 지금은 불가능해졌고 어떻게 정치를 부활시킬 수 있을지가 불확실한 시대라는 진단을 하고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