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반지성주의 비판에서 연장된 '역사'의 문제...

일전에 페이스북을 통해서 '반지성주의' 논쟁이 전개된 바 있다. 최초의 문제 제기는 내가 했지만, 진정한 발단은 조강(趙剛) 선생의 새책 발표회를 취재한 破報pots기자의 기사에 대한 성노동자단체의 활동가의 반공개적 비판이 페이스북에 올려졌던 일이다. 기사에는 조강 선생이 대만 사회운동의 반지성주의에 대해 비판하는 부분이 있다. 나는 이 부분에 대해 페이스북에 한 줄로 '반지성주의 비판에 대한 xxx의 반응이 곧 반지성주의이다'라고 일갈했고, 이로부터 논쟁이 전개됐다. 그후 페이스북을 타고 논쟁이 이리저리로 전개되었고, 나는 대만의 반지성주의 비판의 역사적 맥락에 대해 참조할 글로 '카웨이보'卡維波 선생의 <인민민주 20년 후>라는 글을 제시했다. 거기에는 대만의 '인민민주'파의 이론/사상적 결함으로 서구중심주의적 탈역사화, 그로부터 초래된 이론과 실천의 분리 및 반지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논술이 전개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카 선생이 논란의 초점을 전환하는 글을 페이스북 노트에 올리면서, 그 글은 반지성주의 비판의 대상이 되는 쪽에 서서 그들을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나는 당일 <반지성주의 비판에 대한 한 가지 보충>이라는 글을 페이스북 노트에 올렸고, 다시 한번 운동가의 '도덕적 우위' 및 경험주의 등에 대해 비판하며, 지식의 층위로 내려와 논의할 것을 요구했고, 지식인과 대중의 구분의 필요성, 동시에 지적 차이의 극복이라는 무한한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그런데, 문득 이 문제와 '역사'와의 흥미로운 접점이 눈에 들어왔다. 나는 지난주 <후식민/후냉전 지식상황에 대한 성찰>을 발표하면서, 대안적 지식방식으로 "역사 속으로 들어가 역사의 가능성과 개방성을 열어내어, 주체적인 역사해석의 시간과 계보를 세우고, 능동적인 역사/현실 인식을 획득하는 것"을 제시했다. 이는 "역사를 감당하여 '자기역사화'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시간'의 문제가 모호하다.

 

'역사'의 전개 속에서 분석을 위한 시간과 공간의 변동이 출현하고, 이는 새로운 '지식'의 근원이자 기초이고 또 근거가 되지 않는가? 이러한 역사 속의 '시간성'/'공간성'을 파악하지 않고, 보편적 시간과 공간을 도입하는 것이 곧 '탈역사화'이고, 그것은 다시 말해서 진정한 '반지성주의'가 된다. 즉 보편주의는 곧 반지성주의인 셈이다. 이는 엘리트주의와 포퓰리즘의 결합으로 표현될 것인데, 대체적으로 '이론수입상'의 역할을 하는 지식인들의 '탈역사화', '엘리트주의', '보편주의'는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 같다. 따라서 '탈역사화된 보편/특수주의'에 대한 비판은 주체적 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이다. 그러한 대안적 지식실천 안에서 지식의 형성 및 공유, '주체'의 능동성 및 변혁적 전망의 가능성도 확보된다고 할 수 있다.

 

나는 이런 맥락에서 남한의 80년대에 대한 약간의 성찰에 대해서도 이번에 발표했다. 식민-냉전과 현대성-현대화라는 역사에 대한 진정한 성찰과 관련해서 이런 맥락에서의 성찰이 부재한 것 같고, 그것은 역사적 단절과 80년대의 모종의 전환을 거치며 형성된 것이라는 요지이다. 당장 평가하기에는 여러 이해관계 등등이 얽혀 있어 더욱 간단치는 않은 문제이다. 매우 긴박한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對反智主義批判的一點補充

 

我認為「反智主義」和「唯智主義」是二元對立的概念。因此兩者都內涵著負面意義。似乎有些人認為可以把反智主義和唯智主義,看作正面或中立的概念,但我覺得,要那樣使用,乾脆用別的概念比較好。因為這裡「主義」基本上內涵著排他性,因此都成為批判的對象

 

我認為,我們需要反思既定的去歷史化的「知識」,同時也需要批判知識分子對有意義的知識討論的拒絕。

 

就前者而言,比較代表性的,就是我們之間已經比較熟悉的對西方普遍主義普世價值的反思。因此,進行對陳映真的不同閱讀、跨越普遍主義的亞洲內部互相參照,都有意義。而且,我們面對「殖民」-「冷戰」歷史所造成的如此去歷史化的知識狀態,也需要進行全面的批判,也需要通過個別「歷史」重新去發掘思想資源。而且,為了與群眾分享如此的思想,也需要新的「方法」和「實踐」。在我看來,如果搞混如此反思知識的工作和「反智主義」,就會轉移討論的焦點。

 

就後者而言,似乎被誤解為對「運動」的批判,但事實上對「反智主義」的批判,就是知識分子內部的批判。我所運用的「反智主義」這個概念,就關係著一種狀況:以反思去歷史化的知識為前提的知識討論,不能走向與群眾分享,進而形成不被普遍主義所異化的內在於歷史/現實的主體,反而變成道德批判的對象。道德批判的根據,大體上來自「運動」外部的旁觀者這樣的「身份論」,其背後就有一定的「經驗主義」,進而也有把「理論」和「實踐」分開來的思考。這次,我首先提出兩個前提:「有用的知識」是存在的;而且,從人學的角度來看,「知識的差異」需要不斷被克服。在這樣的前提下,我認為,「知識分子」和「群眾」需要區分,而「知識分子」的反智主義,則成為批判的對象。而且,其後果就是有用的知識無法與群眾所分享,因此「群眾」的主體化也不能實現。

 

毛澤東曾經對此提出「包辦代替」這樣的批判。在我的這樣的思維裡,原則上不存在理論和實踐的分離,因此也不存在任何身份論,雖然知識分子內部會有情勢性的分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년 상반기를 마치며...

새해를 맞은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어느덧 2013 상반기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와 있다. 지난 포스팅이 1월 2일이고, 얼마 되지 않아 블로그를 잠정 중단했었는데, 한바퀴 돌아 다시 블로그에 글을 쓰게 된 셈이다. 중간에 페이스북도 기웃거리고, 특히 모종의 '초국적성'이 주는 매력 때문에 이중 언어 글쓰기의 실험을 해보기도 했다. 물론 요즘 나는 한국어 보다는 중국어로 개입해 들어가는 글쓰기가 좀더 익숙하다. 언어적 기술의 측면 보다는 맥락적 측면에서 그렇다는 말이다. 조금은 너무 멀리나간 것이 아닌가... 이러다가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두려운 생각도 좀 든다. 암튼 근래 들어 한국적 맥락과의 괴리감이 더욱 커지는 느낌은 분명히 있다. 그것은 내가 나의 이야기를 꺼낼 때 암묵적으로 전제되는 것들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고, 그런 것들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언어 담론적 도구가 한국어로 존재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암튼 페이스북 경험은 이 정도로 마치기로 했다. 그 안에서 전개되는 주류적 사회관계의 반복이 가져오는 모종의 자기검열과 약간의 스트레스가 그다지 유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반 년 동안 무엇을 했나 회고를 해보니, 조금은 참담하다. 계획대로 하지 못해서 그렇기도 하지만, 처음부터 계획을 잘못 세웠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1) 자잘한 번역들을 조금 했고, 백승욱 교수의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중문판 번역을 마쳐서 초고를 넘긴 상황이다. 가을이나 겨울에 대만 <맥전麥田> 출판사에서 나올 예정이다.

2) 자격고사는 이번 학기에 <이론> 과목을 마무리 하려고 했으나, 주제설명을 쓰는 정도에서 만족하게 되었다. 지난 주말 종강 기념으로 4명의 박사생의 발표회가 있었고, 나는자격고사 주제설명의 제목으로 정한 <후식민/후냉전 지식상황에 대한 성찰: '대만을 방법으로'>을 발표를 했다. 진광흥 선생의 참조체계의 다원화를 심화하는 방향으로 내부 참조점 사이의 비대칭성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진 선생과 사전 논의 없이 급작스럽게 발표를 해서 진광흥 선생도 조금 난처해하는 모습이었다.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긍정적 평가들이 많았다.

3) 자격고사 주제설명을 발표하면서 논문 주제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를 했다. 그런데 이 부분은 여전히 자신이 없는 편이다. 주제가 여전히 많이 흔들리고 있다. '대만'을 방법으로 냉전의 적극적 축이었던 중국과 한국의 학술체제에서 주변화된 사상가를 발굴하여 상호 참조하고, 이로부터 아시아 내부의 국제주의적 사상자원의 공유를 시도하고, 나아가 이를 다시 '민족'적 차원에서 전유하려는 시도로 선택된 '전리군'과 '리영희'라는 사상가의 비교 연구라는 주제를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거기에는 나의 문제의식에 본래부터 내재하는 '진영진'과 '박현채'를 다시 부각할 것인지의 문제가 있다. 그렇게 되면 주제와 구도 등이 다시 짜여질 수 밖에 없다.

 

한편 대만에서 최근 《민주의 수업民主課》라는 소설이 출판되어 문혁과 관련한 논의들이 조금 있었다. 마침 내가 번역한 전리군 선생의 <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백승욱 선생의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모두 문혁을 심도있게 다루는 책이어서 관심을 갖고 읽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의 출판기획을 맡은 진신행(陳信行) 교수는 내가 번역한 백승욱 선생의 중문판 초고를 읽고는 두 책이 짝을 이룬다고 나에게 이 소설의 한국어판 번역을 제안하기도 했다. 백 선생의 책이 역사를 바탕으로 이론적으로 심화된 사유를 보여준다면, 소설의 경우 문학적으로 역사의 풍부한 모순을 표현해냈다는 평이다.

 

이 소설과 관련한 좌담회 사회를 보았던 진 교수는 이 소설의 한 구절을 인용하며 책을 소개했는데.

 

"민주란 무엇인가? 민주는 세상에 대해 감히 분노하고 욕할 수 있는 자신감이고, 평등하게 참여하여 유효하게 말할수 있는 일상적 분위기이며, 또한 스스로 주인이 되는 책임감이다."

 

나에게 이 구절은 사실 백승욱 교수가 발리바르로부터 가져와 제기하는 문혁에서의 정치의 아포리아의 문제, 즉 '구조의 변혁'에서 전제되는 '해방의 정치', 그러나 초래되는 '무정부주의 및 극단적 폭력'의 문제('책임'과 '윤리')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읽힌다.

 

암튼 인연이 된다면 또다시 한번 번역을 감행할지도 모르겠다. 특히 소설이라는 장르의 번역은 부담이 아주 큰데, 일정한 준비가 필요할 듯 싶다. 고민을 좀 해보자. 그래도 남은 반 년은 아마도 자격고사 두 과목을 마무리하는 데 주력하게 될 것이고, 소설 번역을 시작하게 될지도 모른다. 물론 연말에 논문계획서도 나와야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区域:亚洲研究论丛》第二辑

http://wen.org.cn/modules/news/view.article.php/347

북경 청화대학의 왕휘/왕중침 교수가 주편으로 있는 《區域:亞洲研究論叢》제2집에 2년전 왕휘 선생 수업 텀페이퍼로 작성하여 수정보완했던 글이 실리게 되었다. 지금 보면 엉성한 부분이 많이 보이지만, 이 글이 나에게 주는 의미는 매우 크다. 이 글은 전리군 선생의 저작 번역을 시작했던 상해에서 쓰여졌는데, 나의 독립적 사유의 기반을 정초하는 의미로 시작한 작업이었다. 물론 이후 전리군 선생에 대한 초벌적 분석을 하면서, 기존의 구도에 지식의 문제가 추가되었고, 주체의 문제가 더욱 풍부해졌다. 2년 사이의 내 사유의 변화는 바로 전리군 선생의 <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다르게 쓴 역사>를 비평한 글에 반영되어 있다. 1월 10일 경에 대만에서 나올 <인간사상> 제2집에 실릴 예정이다.

 

이번 <구역> 2집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백원담 선생님의 글이 눈에 띈다.


卷首语
共产主义假设与二十一世纪……齐泽克、鲁索、海裔、汪晖
马克思与现代性……普殊同
早期现代是否不同于殖民现代?……查特吉
汪晖《世界历史中的中国》书评会 ……阿部干雄 樱井大造 丸川哲史 羽根次郎
作为一组智识构型的20世纪中国 ……鲍夏兰
日中相互认识的形成——以日本人的中国观为线索 ……马场公彦
西方中国研究的价值话语 ……高默波
亚洲民族主义与“五四”——重估“文化”与“民族” ……白元淡
战后日本思想史中的“中国革命” ……孙歌
朴玄埰先生的思想特征:以“民族民众论”为主 ……延光锡
政治文化、中国发展道路与第三世界电影 ……王斑
重新思考中国近代“文”的简单化 ……胡志德
汉字简化浅论——另一个简体字 ……村田雄二郎
“硬译”与“文化革命”的主体性问题 ……程凯
全球资本主义与政治的自我否定逻辑:竹内好和汪晖的鲁迅论 ……慕唯仁
与鲁迅相遇、竹内《鲁迅》的产生 ……丸川哲史
竹内好《鲁迅》解说 ……鹈饲哲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