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상의 분단--아시아를 방법으로 박현채를 다시 읽다》가 공식 출간됨으로써 6년여 기간 동안 진행된 공부가 일단락된 느낌이다. 공교롭게도 이와 같은 일단락과 동시에 망명을 가듯 쫓겨서 공부의 기지를 대만으로 옮겼다. 2014년 여름 떠난 뒤 거의 4년만에 살려고 다시 돌아온 대만에서의 첫 날, 설잠을 자고 나서 다시 잠 들지 못하는 상황이다.
기존의 공부와 관련해서는 《사상의 분단》 중문판(간체/번체)과 영문판 출판 작업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국문판 작업의 번역 이상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요구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아마도 '운동'일 듯 싶다. 내가 국문판 머리말에서 던진 바와 같은 권역적 국제주의 사상운동. 이 운동은 사실상 '내용'을 더 채우기 보다는 오히려 '생산적 대화'를 더 많이 만들어가는 노력이다. 내 이름 아래 놓인 한 권의 책 또한 '방편'적이었을 뿐이다. 이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오히려 중문판과 영문판의 출간이 매우 필요하고 중요할 것이다. 고유성, 폐쇄성, 소유의 논리에 갇히지 않는 실천을 위해서 그렇다.
2012년~ 2018년 6월
♦ 학위 논문
2016. 6,《朴玄埰思想的當代意義:以陳映真文學為參照點[박현채 사상의 당대적 의의: 진영진 문학을 참조점으로]》,國立交通大學社會與文化研究所博士論文(문학박사)。
2009. 7,《移工運動形成與工運中的民族主義論述:韓國和臺灣之比較[이주노동자운동의 형성과 노동운동의 민족주의담론: 한국과 대만의 비교》,台灣世新大學社會發展研究所碩士論文(사회학석사)。
♦ 저서
2018,《思想的分/斷:巫祭陳映真與朴玄埰》,forthcoming.
2018, 『사상의 분단: 아시아를 방법으로 박현채를 다시 읽다』, 서울: 나름북스.
♦ 논문
2017, “A Regional Reference to Chen Yingzhen's Literature: A Perspective from Korea," Frontiers of Literary Studies in China 2017, 11(4): 637-665. (trans. by Liu Yihung)
2017, “陳映眞 문학사상이 분단 한국에 주는 참조적 의의”, 『중국현대문학』 제80호, pp.21-48.
2013,〈錢理群的「另一種歷史書寫」〉,《人間思想》第二期,頁284-298。[연광석/이홍규 엮음, 연광석 옮김, 『전리군과의 대화』(한울, 2014) 에 한국어판 축약본 수록]
2012,〈朴玄埰先生的思想特徵: 以“民族民眾論”為主〉,《區域》(汪暉、王中忱主編)第二輯,頁226-245。
♦ 평론 및 잡문
2017, 〈남한 신식민/분단 체제와 '민주수업'의 불가능성〉, 《문화연구》5(2),pp. 130~147.
2017, 〈南韩新殖民/分断体制与“民主课”的不可能性〉, 《热风学术(网刊)6》,pp. 115-123.;9월 19일《新國際》에 전재됨(http://www.newinternationalism.net/?p=2891#more-2891).
2016, 〈重新尋找新殖民分斷體制下生活的智慧〉,《人間思想》第十二期2016年春季號,頁50-58。
2014, 〈化歷史為力量:閱讀《無悔—陳明忠回憶錄》〉,《人間思想》第七/八期2014年夏冬號,頁342-345。
2014, 「서평: '역사를 감당한다는 것'/『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백영서 지음/창비/2013)」, 『황해문화』, 2014 봄호, pp 401~411.
2013,〈二二八、五一八與六四:冷戰與失語〉,《人間思想》第五期2013冬季號,頁224-231。
2013,〈聽《安蒂岡妮》訴說歷史性:尋找新的語言以及烏托邦〉,《牯嶺街小劇場文化報》No. 33,頁4-5,原收於《苦勞網》公共論壇,2013年9月18日。
2013, 「서평: '유럽의 자기 반성인가, 아니면 또 다른 유럽중심주의인가?'/『중국은 무엇을 생각하는가』(마크 레너드 지음/장영희 옮김/돌베개/2011)」, Aporia Reivew of Books, Vol.1, No.1, 2013년 9월(http://aporia.co.kr/bbs/board.php?bo_table=rpb_community&wr_id=32).
2012,〈書評:重返馬克思和恩格斯的當前思考/《破門而入》(汪立峽/唐山/2012)〉,《破報》2012.12.27。(轉載於《立報》、《人文與社會》,《苦勞網》等)
♦ 편저
2014, 연광석/이홍규 엮음, 연광석 옮김,『전리군과의 대화』(한울, 2014).
♦ 학회/토론회 발표
2017. 12. 22, “신식민/분단체제와 박현채의 문학 콤플렉스”, 충남대 통일교육사업단/북한대학원대학교 SSK연구센터 공동학술회의, 북한대학원대학교(서울).
2017. 8. 28, “남한 신식민/분단체제와 ‘민주수업’의 불가능성”, 한국정치정보학회/북한대학원대학교 SSK연구단 공동학술회의, 북한대학원대학교(서울).
2017. 8. 5, 〈經濟學者的去殖民文學思考—以南韓民族經濟論者朴玄埰的文學情結為例〉,“转折的时代——40、50年代之交的汉语文学”中國社科院文學研究所國際研討會,北京鑫海錦江大酒店。
2017. 7. 28, “Thinking on the New Direction of ‘Inter-Asia’—Through the Conjuncture of Bandung 60,”(Panel name: In Search of a New Direction for the ‘Inter-Asia’ Method; Organizer: Gwang-Seok, YEON), Inter-Asia Cultural Studies Conference, Seoul, Korea.
2017. 1. 16, “A Reflection on the Inter-Asia Intellectual Movement: Bandung as a New Momentum,” Summer School of Sam Moyo African Institute for Agrarian Studies, Harare, Zimbabwe. (in English)
2016, 「新殖民性과 中國文化大革命」, '중국 문화대혁명 50주년 토론회', 성균중국연구소 주최(성균관대학교 국제관 90208, 20160527).
2014, 「陳映真 문학의 탈식민 실천」, 2014 현대중국학회 추계학술대회 사회/문화 세션(인천대학교, 2014 1014).
♦ 강연, 콜로키움 및 집담회 등 발표
2018, 「陳映眞 문학사상이 분단 한국에 주는 참조적 의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32차 워크숍, 일본학연구소 일본학도서관, 20180427.
2017, 「경제학자의 탈식민주의적 문학 사유--민족경제론자 박현채의 문학 콤플렉스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년 9월 콜로키움, 서강대학교 정하상관 215호, 20170929.
2016, 「21세기 대만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회변혁노동자당 정치캠프, 20160806(충북 옥천).
2016, 「다시 新殖民-分斷體制를 살아가는 智慧를 찾아서」,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 특별집담회, 20160129.
2015, 「"타이완을 아시나요?"」, 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동아시아평화찾기' 연속강의 두 번째, 20151102. [http://www.krhana.org/html/notice.html?uid=103; http://blog.krhana.org/307]
2015, 「홍콩, 이중 식민의 특수성과 한국: 홍콩을 의미 있는 타자로 인식하기 위한 작업 가설」 , 참세상연구소 주례토론회, 20150224.[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category1=38&nid=98794]
♦ 학술회의 조직
2015, 「2015 국제 로자 룩셈부르크 대회: '아시아 사회주의와 유럽사회주의'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등, 20151127~28), 전체 기획 및 아시아 사회주의 부분 조직. 제5세션 통역.
2015, 「아시아 사회주의 워크숍: 홍콩/대만」(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50227), 기획 및 동시통역.
♦ 강의
2016,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중국어I연습>, <중급중국어연습>(2016상반기)
2015,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중국어회화I연습>(2015하반기)
2015,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중국과 세계> (2015 상반기)
♦ 번역
[단행본]
2017, 呂途, 『중국 신노동자의 형성: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길을 찾는 사람들』, 정규식, 연광석, 정성조, 박다짐 공역, (나름북스, 2017)[중문판/ 呂途, 《新工人:迷失與崛起》(北京: 法律出版社, 2012)].
2015, 曹征路,『민주 수업』(나름북스, 2015)[중문판/ 曹征路, 《民主課》(台北: 台灣社會研究雜誌社, 2013)].
2014, 『전리군과의 대화』 (한울, 2014).
2014, 白承旭,《文革的政治與困境:陳伯達與「造反」的時代》(交通大學出版社,2014)[한국어판/ 백승욱,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그린비, 2012)]
2012, 錢理群, 『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1949~2009 다르게 쓴 역사(상/하)』(한울, 2012)
[단편]
2016, 陳光興, 백원담 대담, 「중국과 비중국」, 『황해문화』2016년 가을호(통권 92호), pp.12~52.
2016, 嚴海蓉, 베리 사우트먼, 「홍콩 본토화와 메뚜기론: 신 세기의 우익 포퓰리즘」, 『황해문화』2016년 가을호(통권 92호), pp.106~141.
2016, 陳信行, 「대만정부의 '비중국 요인' 조절과 양대국 사이의 '신남향 정책'」, 『황해문화』2016년 가을호(통권 92호), pp.86~105.
2016, 陳光興, 「반둥/제3세계 기행노트」, 『황해문화』2016년 봄호(통권 90호), pp.247-280.
2015, 曹征路,白元淡 대담, 「민주수업의 문화대혁명 성찰과 그 후」, 『중국현대문학』제75호(2015년 겨울호), pp.267~290.*통역 및 녹취 정리.
2015, 白元淡,〈1960-70年代亞洲的不結盟/第三世界運動和民族•民眾概念的創新〉,《人間思想》第11期(2015年冬季號),pp.46-95.
2014, 宋竟東,〈我不是韓國人〉,《苦勞網》,20140709(http://www.coolloud.org.tw/node/79270).
2014, 孫歌, 「'이념'으로서의 평화와 '사상'으로서의 평화」, 『황해문화』83호(2014 여름호), pp.119-129.
2014, 錢理群, 「문혁의 질문과 그 복잡성을 마주하며」, 『황해문화』83호(2014 여름호), pp. 223-235.[중문판/ 錢理群,《人間思想》第五期(2013冬季號),頁289-296。]
2014, 錢理群, 「꿈과 같은 인생[人生如梦]」, 연광석/이홍규 엮음, 『전리군과의 대화』(한울, 2014) .
2013, 藍適齊, 「‘반공’의 희망에서 망각된 전쟁으로: 대만의 한국전쟁 기억」, 백원담 외, 『한국전쟁과 냉전 아시아의 탄생』(문화과학사, 2013).
2012, 白樂晴,〈2013年體制與變革性中道主義〉,《人間思想》第二期,頁4-20。
[극본]
2017, 王墨林,《脫北者》窮劇場和Shiim劇團共同製作作品劇本。
2013, 王墨林,《安蒂岡妮》2013年牯嶺街小劇場年度作品劇本。
2013, 鐘喬,《天堂酒館》2013年差事劇團年度作品劇本。
♦ 봉사
2016, 3~ 7월 : 하이디스 노사 협상 노조측 통역
댓글 목록
비밀방문자
관리 메뉴
본문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비밀방문자
관리 메뉴
본문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