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세에 대한 단상

1.

 

현재의 정세를 살펴 보면서 스스로의 지성에 심각한 회의를 느끼고 있다. 요새 계속 누군가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들처럼, 나는 대중의 역동성과 자발성을 따라가기에 급급하고 뒤처지지 않기 벅찬 정도의 수준밖에는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성명서를 준비하자는 깽의 제안을 수락하기는 했지만, 제대로 된 글은 역시나 나오지 않았다. 통찰과 고민이 일천한 데에다 글빨만 세우려고 해봤자 영혼의 글쓰기가 나오겠는가? 학생회실에서 자판을 두드리다 술 한 잔 하고 늦은 시간 귀가하면서, 담배 한 대 빼어물고 x같은 세상 왜 이리 살기 힘드나만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2.

 

그러나 대중의 역동성과 자발성이 터져 나오는 시점에 어떤 "예측"이나 "전망"은, 원래 소용이 없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그런 것을 이룬 사람이나 세력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왜냐면 대중의 역동성이란 그것이 먹물들의 머리로는 따라잡기 힘들만큼 급격한 상황변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상식적으로는 예측할 수 없었던 시점과 계기에 의해 마찬가지로 급격한 후퇴를 보여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1992년 강경대 열사정국 때와 같이, 사람이 죽은 것에 분노하여 정권퇴진에 박수치던 대중이 교육부 장관이 계란 맞은 것에도 똑같이 분노하여 운동권 꺼져를 외칠 수도 있게 된단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이런 지점들을 현재의 정국에 대한 회의주의의 변명 혹은 근거로 사용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그 역동성에 내재된 불확실성을 보다 명확한 자기이해와 장기적인 전망으로 이끌 수 있는, 실질적인 지도력의 행사이다. 이 지도력이라는 것을 무슨 갑시다 빠집시다 외치는 대오 지도 정도로나 조야하게 생각했던 다함께는 응분의 대가를 치루고 있는 것 같더라.

 

결국 역동성에 대한 지도력의 행사와 개입이란, 1905년의 트로츠키와 1917년의 레닌처럼, 역동성이 터져 나오는 시기에 적합한 구호와 요구사항, 전망과 계획을 제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대중들을 결집시키는 것일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제출된 전망은 그 자체로써 힘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자발적으로 이합집산하는 대중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을 뿐이다.

 

 

3.

 

그렇다면 이 시기 혁명적 공산주의자가 제출해야 할 전망이란 무엇인가? 이 정국의 긍정성에 무한한 지지를 보낼지라도, 어쨌든 이 정국은 혁명적 투쟁으로, 계급투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질적으로 다른 상황인 것이다. 이 다른 상황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그에 맞춘 계획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이 정국을 이용하여 각 현장에서 노동자 대중에 대한 정치선동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역동성이 터져나오는 시기엔 가장 후진적인 사람도 정치적으로 민감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는 분명히 적합한 계획이며, 중단기적으로는 현 정국에 대한 정치적 대중파업(룩셈부르크의 맥락에서)의 선동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무엇보다도 이 역동성 자체를 이끌어 간다기보다는, 이 역동성이 가져오는 제반 효과들에 올라타서 기존에 해 오던 일을 단순히 강화한다는 의미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든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필요한 것은 지금 거리로 뛰쳐나오는 저 무정형의 '시민'(citoeyen)들에게 무엇을 선전 선동할 것인가이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가장 먼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정권퇴진 운동이다. 인민주권의 행사에 있어서 최종 단계는 불복종하는 폭군을 강제로 끌어내리는 것이라는 점은, 이미 모든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버린 셈이다.  이러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혹여나 성공했을 시 찾아올 정치적 공백 상태와 대중적 자신감의 고양이 맞물린 상황에서 혁명적 공산주의자들의 운신의 폭은 넓어졌으면 넓어졌지 좁혀지지는 않을 것이다.

 

정권퇴진 운동은 개량주의자들이나 불명확한 정치세력에서도, 심지어 민주당 같은 부르주아 야당에서도 레토릭상으로나마 나오고 있는 얘기인데 이것을 어떻게 혁명적 공산주의자가 함께 할 수 있단 말인가? 그것은 방법론 차원에서 보다 명확하고 현실적인 계획을 제출함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가두시위만을 통해서는, 현 상태에서 정권퇴진의 성사는 불가능하다. 실질적인 힘의 행사가 존재해야만 한다. 결국 정치적 대중파업의 필요성이 다시 한 번 여기서 제기되는 것이다. 현장에서 만나는 노동자들이나 조직대중에 대한 경직된 집착을 버리고(물론 이들에 대한 중심성의 유지는 필요하겠지만), 현재 거리로 나오고 있는 무정형의 대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대중파업을 선동해야 한다. 물론 이미 6월 10일 동맹휴업과 총파업에 대한 선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방법론의 목표로서 정권퇴진을 명확히 하고 이것이 한시적인 하루 일정이 아닌 목표를 향한 일반적 방법이어야 함을 역설함을 통해서 하나의 전망을 내놓을 수 있다고 본다.

 

 

4.

 

앞으로의 정국은 정말로 오리무중이다. 정부가 어떤 시점에서 발을 뺄지도 모르고, 대중이 어떤 시점에서 지칠지도 모른다. 어떤 계기로 인해 정말로 투쟁이 급진화/과격화될 가능성도 없다고 할 수 없으며, 현재의 역관계 때문에 살짝 숨죽이고 있는 보수적 대중집단이 어떤 계기로 전면에 나서게 될 수도 있는 노릇이다.

 

그러나 현재의 정세가 어떻게 마무리되던간에, 이것 하나만큼은 확실하다. 2008년 봄에 한국의 민중들은 유례없는 자기교육과 집단지성의 발전을 경험했다. 시민들은 거리에서 스스로 소통하고 싸우며 세상의 진실들을 깨닫는 과정을 체험했고, 무언가 다른 얘기를 듣고 그것에 대해 숙고함을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체득했다. 그들은 자발적으로 삐라와 찌라시를 집어가고 그것을 숙독하며, 누군가가 하는 말이 왜 조리에 맞지 않는가를 서로 얘기하면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대규모로 벌어지는 긍정적 대중행동에 항상 부산물-혹은 핵심-처럼 따라오는 이 집단지성의 발전은, 당장의 정세가 어떻게 정리되더라도 장기적으로 분명 엄청난 자산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특히 이 정세에 격발쇠를 당길 정도의 순수함을 가지면서, 이러한 미증유의 체험을 오롯이 가져갈 현재의 10대들이 앞으로 이것을 어떻게 이용해갈 수 있을지는 사뭇 기대되는 부분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