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
- 2010/02/19
- 의형제, '사회의 적'과 환대에 대하여(7)
스포일러 있음.
영화 제작 노트에는
<쉬리>, <태풍> 등 한국영화 속에서 심심찮게 소재로 등장했던 남과 북. 그 동안 대부분의 영화에서 북한은 국가적인 위협을 가하는 ‘적’으로 그려져 왔고, 주인공들은 시종일관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 각기 다른 이념을 내세우며 갈등했다.
그러나 <의형제>는 국정원 요원과 남파 공작원이라는 주인공들의 신분 설정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남북 소재 영화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이는 단지 캐릭터의 출신이 남한과 북한일 뿐이며, 이념에 따른 갈등이 아닌 서로 다른 두 남자의 ‘소통’에 관한 영화이기 때문이다.
라고 나와 있는데, 글쎄. <태풍>은 보지 않아서 모르겠고, <쉬리>가 과연 '남과 북의 이념갈등'을 다루고 있었던가. 오히려 <의형제>는 쉬리의 길을 걷는다. 쉬리에서도 주된 정치적 갈등선은 남과 북이 아니라, 남과 북의 호전주의적 분파로 그려진다. 의형제에 나오는 "그림자"라는 킬러, 혹은 테러리스트의 존재도 마찬가지다. 소통을 다루었다 하면 한석규와 김윤진도 진한 소통의 주인공이었고.
이명박 이후 노골적으로 다시금 '공산당이 싫어요' 모드로 돌아서는 영화/드라마들이 나오고 있긴 하지만, 지난 10년간 북한은 영화에서 곧잘 이런 존재 - 화해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테러집단 - 으로 묘사되어 왔다. 사실, 이것은 북한에 대한 더욱 악랄한 재현이었는데, 북한은 이제 국가의 적이 아니라 '사회의 적'이 되기 때문이다. <의형제>는 바로 이 '사회의 적'에 대한 영화다. 그러나 이 영화는 '남북문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사회의 적'은 당연히 정치적 적대보다 훨씬 더 방대한 장소에서 발생/존재하기 때문이다. '적'은 자본주의 사회의 먹고사니즘 속에서 얽히고설킨 관계 속에 위치한다. 국정원 요원부터 흥신소, 간첩, 베트남 이주노동자들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환대와 증오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서로를 만난다. 그리고 이 영화는 베트남인 자매가 끌어안는 장면에서 환대의 극치를 보여주고, 이내 열려진 환대의 가능성을 닫아버린다. 바로 그 지점에 존재하는 건 여전히 알 수 없는, 즉 정치적으로 아무리 가까워져도 수많은 '사회적' 위험요인들로 마주하게 되는 '북한'이다. 정치적 지령이 없어도 배반자를 죽이는 살인마의 이미지는 사실 모든 '사회의 적'을 향한 우리의 공포를 반영하는 듯 하다.
영화는 결국 '누구도 배신하지 않는' 지원(강동원 분)이라는 비극적 주인공을 통해 이 문제의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이 영화의 앤딩은 사실 두 개로 보인다. 하나는 죽어가는(혹은 그저 후송되는) 지원이 바라본 가족의 환상, 그리고 또 하나는 탈북에 성공한 지원의 가족과 한규(송강호 분), 지원 모두가 영국으로 가는 마지막 해피 앤딩이다. 아무리 보아도 마지막 장면은 그저 환상처럼 보인다. 지원은 사실상 죽은 것이 아닐까. 누구도 배신하지 않은 자로서, 그리고 어떤 구원도 주지 못하는 대속자로서. '사회의 적'에 대한 환대와 소통은 바로 이런 어려움 상황 속에 놓여 있음을 <의형제>는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댓글 목록
앙겔부처
관리 메뉴
본문
우음 스포일러 있음 읽을 수 없는뎅.. 패스ㅡ... ㅡ스ㅡ부가 정보
김강
관리 메뉴
본문
ㅎㅎ 극장으로!부가 정보
malesti
관리 메뉴
본문
잘 읽었습니다. 베트남조직 보스가 송강호 부하로 들어가 있는 장면도 꽤나 거슬리더군요. 이념을 배신하는 것은 자신을 배신하는 것이라는 세계에 저도 빠져있었던 적이 있기에 좀 많이 슬프더라구요 ..부가 정보
김강
관리 메뉴
본문
네 저도.. 아무리 봐도 개연성 없어보이고 말입니다.부가 정보
들사람
관리 메뉴
본문
김강님도 보셨군요. 마지막 장면은 아무래도 환상 같단 얘기에, 감독의 의도가 뭐건 그게 더 설득력이 있겠구나 싶었네요. 전 그냥 어유, 강동원이 산 모양이네 하고 말았더랬는데..ㅎ근데, 저는 그 킬러에 대해 공포보단 안쓰러움을 느껴서 그런지ㅋ; 그 킬러를 '사회의 적'으로 표상되곤 하는 타자들 내지 여전히 '공포의 대상'여야 하는 북한으로 읽지는 않았어요(아니, 읽지 못한 거죠ㅋ). 외려 공포의 대상일 뻔했던 북한은, 결국 먹고사니즘에 싱크로하게 된 전 국가요원 송강호와 생계형 간첩이 되면서 비슷한 처지로 내몰리는 강동원이 오버랩되면서 도대체 공포를 느껴야 하는 건 누구 내지 무엇인가 하는 물음 속에서 불확정적인, 다시 말해 일의적으로 볼 수 없는 대상이 됐달까요. 이런 맥락에서 보면, 킬러야말로 어디서든 출몰하게 될 '사회의 적'이긴 한데, 배제됐거나 배제돼야 할 수많은 잠재적 타자를 상징하기보다는 외려 '폭주'도 마다치 않는, 인격화된 국가 그 자체에 가까웠던 게 아닐까.. 하고 저는 봤더랬는데. malesti님 말씀처럼, 라이따이한인 조폭 보스가 송강호 밑으로 들어가는걸로 정리된 게 저도 마뜩친 않았지만, 감독으로선 그게 적대의 환상을 허문 이들이 보여줄 수 있는 환대의 최대치가 아녔을까 싶네요. 이른바 '화합'은 바로 이런 거 아니겠냔 식으로 말이죠. 아니면 강과 송의 이야기에 집중하다 보니, 사실 주변이래서 주변인 건 아니겠지만 '품'이 덜 들어갔던 걸 수도 있겠고요.
안 그래도 제 나름대로 읽었던 게 뭐 너무 헐렁하거나 판에 박힌 건 아닌가 싶었는데, 마침 영화를 다시 곱씹어볼 수 있는 계기가 됐네여. 하여 어떻게 읽는 게 적절한지를 떠나 감사~^^
부가 정보
김강
관리 메뉴
본문
네. 들사람님 리플을 보면서 생각난 것이, '폭주하는 국가'도 또 하나의 '사회의 적'이 됨으로써 국가에 대한 비판을 다른 '사회의 적'에게 돌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 이명박이 하는 일도 비슷한 건 아닐지.ㅡㅡ;사실 이 글을 쓰게 된 건, 재미있는 영화를 보았는데도 왜 이렇게 뭔가 불안하고 기분이 나쁜 걸까.. 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저는 그게 이 영화가 조장하는 '안전에의 욕구' 때문이 아닐까 해요. "서울은 위험해! 언제 총맞을 지 몰라 이제." 게다 마지막 총격전 장소는 우리집 바로 앞이었다는ㅋㅋㅋ
부가 정보
들사람
관리 메뉴
본문
그럴지도..ㅋ 영면하신 남일당 세입자분들한테 했던 짓마냥, 지칭할 적이 없으면 만들어서라도 자신의 부재를 증명해야 하는 사회의 적이랄 수 있겠네요.; 이명박 비판이니 퇴진이니 하는 움직임이 실은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드는 쓰레기들과 대결하거나 그들을 솎아내는 데만 갇힐 게 아니라, 이런 쓰레기의 출현과 양산을 심지어 제도화하는 그 나라 자체를 겨냥하는 정치여야 할 텐데 말이죠. 근까 이런 나라를 '딛거나 짓밟고서' 우리가 꿈꿔볼 만한 샤방한 정치공동체는 어떤 거라야 하겠냔 식으로요.ㅎ알 카에다 같은 근대이슬람 테러조직이 사실 따지고 보면 이병박이나 이건희들처럼 쓰레기 같은 자본주의문명의 직방계 후예들을 일소하겠다며 들고 일어났던 건데,, 그래서 정말이지 서울이 더 위험해지기로 치자면, 북한(핵)보다도 선진화의 일환으로 이뤄졌다는 아프간 파병 때문이겠다 싶은 것이.. 기름은 부르주아지들이 붓고, 불에는 (어느 정도는 애꿎게도) '불특정 다수' 대중이 데이는 격이랄까요.ㅜ;;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