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복 이사장이 10일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반통일 언론'의 폐해를 조목조목 지적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원희복 이사장이 10일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반통일 언론'의 폐해를 조목조목 지적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그들은 북을 외면하도록(북맹) 강요한다. 북맹을 넘어 북을 악마화(혐북)까지 한다. 국민들로 하여금 통일공포증을 조장하게 하고, 통일 의지를 꺾는다. 여기서 끝나면 좋은데 정치인들은 이것을 이용해서 국민을 편가르기 한다. 아까 (이부영) 이사장님이 북한의 노동당 규약이 개정됐는데 우리 정치권에서는 조용하다는 말씀을 했다. 그 이유가 뭔가. 정치인들이 ‘조중동’ 의식해서 자기검열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정부가 올바른 대북정책, 통일정책을 펼치기가 매우 어렵다. 결국 이것은 우리의 민족문제를 해결하는 데 커다란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원희복 민족일보기념사업회 이사장이 10일 오후 2시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평화저널리즘 모색 세미나’에서 ‘반통일 언론의 폐해’에 대해 이같이 조목조목 비판했다. 

친일·분단독재에 기생해 성장한 ‘조중동’의 태생적 한계는 그렇다치고, 대안으로 기대를 모았던 진보언론조차 ‘반세기의 신화’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성급한 ‘반북’ 보도에 편승하는 실정이다. 

이 질곡을 넘어 평화저널리즘으로 가는 길은 “결국 기자의 문제”라고 원 이사장은 강조했다. 

사태를 처음 파악하고 판단하는 일선 기자들이 △냉전 사고를 버리고, △평화통일을 이룬다는 신념을 가지며, △동맹 의존성을 버리고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토론자들은 평화저널리즘의 실현을 위한 여러 방안들을 제시했다. [사진 - 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토론자들은 평화저널리즘의 실현을 위한 여러 방안들을 제시했다. [사진 - 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토론자로 나선 이계환 [통일뉴스] 대표는 “‘평화저널리즘’의 첫 시도로 ‘정명론’에 입각해 남측과 북측에 제 이름을 불러주기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남과 북을 한국(대한민국), 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약칭을 쓰면 좋은데, 그 과도기적 형태로 남측을 ‘남한’, 북측을 ‘북조선’이라 부르자”고 제안했다.

권영석 [연합뉴스] 통일언론연구소장은 “평화저널리즘을 위해서는 우리 기자들이 지난 1995년에 제정한 ‘남북관계 보도제작준칙’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 준칙의 존재조차 모르는 기자들이 많다”고 안타까워했다. 동시에 “남북 언론교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상우 ‘한반도 중립화를 추진하는 사람들’ 사무총장은 역대 정부의 “‘기능주의적 평화 프로세스’의 허구성”을 지적하면서 “선중립-후통일”이 현실적이고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남북미중이 평화조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남북영세중립화선언-남북국가연합 수립으로 가자는 것.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이 인사말을 전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이 인사말을 전했다. [사진-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이날 행사는 ‘민족일보 창립 60주년’과 ‘조용수 서거 60주기’를 기념하기 위해 자유언론실천재단(이사장 이부영)이 마련했다.

이부영 이사장은 “조용수 민족일보 사장은 중립화통일, 영세중립 이런 걸 주장한다고 사법살인 당했다. 기가 막힌 노릇이다. 그 뒤에 박정희, 전두환 정권 내내 조용수의 중립화 통일방안은 금기어가 되어 있었다”고 상기시켰다.

그는 “그런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 중립화, 평화공존을 얘기해도 누기 시비 걸 사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걸 안하고 있는 우리의 게으름이 너무 크다”고 개탄했다.

‘민족일보 창립 60주년’과 ‘조용수 서거 60주기’를 기념해 열린 이날 세미나에는 조용수 사장의 동생 조용준 민족일보기념사업회 고문 등이 참석했다. [사진 - 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민족일보 창립 60주년’과 ‘조용수 서거 60주기’를 기념해 열린 이날 세미나에는 조용수 사장의 동생 조용준 민족일보기념사업회 고문 등이 참석했다. [사진 - 통일뉴스 이광길 기자]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