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부산, 윤석열 퇴진 단체 통합 단초‥구 단위 조직도 박차

  • 정강산 기자
  •  
  •  승인 2023.06.17 00:22
  •  
  •  댓글 0



 

“구 단위 조직을 통한 괄목할 성과”

“더 큰 하나의 촛불을 만들고자 하는 공감대가 중요”

▲지난 10일, '윤석열 퇴진 부산운동본부'가 주최한 '6월 항쟁 36주년 기념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부산시국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묵념을 올리고 있다. ©윤석열퇴진부산운동본부

윤석열 퇴진 투쟁이 전국으로 번진 가운데, 단일 대오를 형성한 지역의 사례가 눈길을 끈다.

지난 10일, 부산에선 6.10항쟁 36주년을 맞아 윤석열 퇴진 집회가 열렸다. 눈여겨볼 점은 윤석열 퇴진 부산운동본부 준비위(윤퇴진본부)와 부산 촛불행동(촛불행동)이 시국대회를 공동으로 진행했다는 것.

윤퇴진본부는 74개 단체가 결합해 주요 단체들이 상임대표로 참여하고 있고, 촛불행동은 8개 시민단체가 결합했다.

지난 10일, 오후 5시부터 서면에서 촛불행동 측의 ‘촛불대행진’이 사전대회로 열린 데 이어, 윤퇴진본부가 오후 6시부터 같은 장소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부산시국대회’를 진행했다. 이날 촛불대행진 참가자들이 이어진 시국대회에 그대로 참가해 힘을 더했다. 촛불행동 역시 윤퇴진본부에 가입단체로 되어 있으나, 이들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결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촛불행동은 지난해 10월부터 매주 토요일마다 ‘촛불대행진’을 개최하며 독자적인 집회를 진행해 왔다. 윤퇴진본부는 지난달 10일 결성된 후 총 3차례의 집회를 진행했다. 이번에도 각자 행사는 유지되었으나, 촛불행동 측 인원이 시국대회에 고스란히 결합함으로써 총인원 800여명 정도가 참석하게 되었다. 근래 부산지역 집회에서 가장 큰 규모가 집결했다.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부산시국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윤석열퇴진부산운동본부

이런 경험은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공감대를 만들고 투쟁 흐름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주체들의 지향과 성향이 다채로운 만큼, 설사 구호는 같아도 공동 집회는 쉽지 않은 일이다.

부산민주항쟁 기념사업회 등의 시민단체들이 주말 집회에 힘을 합쳐 보자는 제안이 촉매제가 되었다.

전위봉 윤퇴진본부 집행위원장은 “10일 집회를 마치고 양측 모두 힘을 합친 경험이 좋았다는 반응이었다”며 “그동안 집회 참가 인원이 정체 되는 분위기였는데, 두 개 집회를 합쳐보니 참가자도 대폭 불어나고 좋은 분위기 속에서 서로가 힘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전 집행위원장은 “김재남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본부장 연설에 이어 김종민 부산참여연대 공동대표 연설에도 촛불행동 참가자들이 뜨겁게 호응해줬다”고 전하며 “우리가 같은 투쟁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혔다.

박근혜 퇴진 투쟁기구에 비하면 윤석열 퇴진 투쟁기구는 아직 그 폭에서 모자라다. 박근혜 퇴진 부산운동본부에는 110여개 단체가 참가했으나 윤퇴진본부는 74개 단체에 불과하다. 여기엔 시기상조라는 판단과, 윤 정부의 시민단체 길들이기에 대한 두려움도 작용하나, 여러 이유로 주체들이 힘을 하나로 합치지 못한 상황도 있다. 이번 부산 사례가 고무적인 이유다.

한편 최지웅 부산촛불행동 공동대표는 10일 집회에 관해 “촛불행동도 ‘윤퇴진본부’의 가입단체인 만큼 더 큰 하나의 촛불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각 단위 사업을 존중하면서 더 큰 하나를 만드는 과정이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하는 시기”라 내다봤다.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부산시국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윤석열퇴진부산운동본부

최 대표는 “박근혜 퇴진의 학습효과가 있기에, 윤 정권은 호락호락하지 않다”라고 말하며 “윤석열 정부가 민주노총을 탄압하는 본질은 퇴진투쟁 과정에서 촛불시민과 민주노총의 결합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조에 관한 왜곡된 상을 퍼뜨려 시민들과 노동계를 분열시키는 고도의 전략이 구사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최 대표는 “민중운동 진영을 중심으로 퇴진운동 공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앞으로는 범국민적 항쟁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 덧붙였다.

부산의 윤석열 퇴진 투쟁은 구별 활동이 활발한 것 역시 괄목할만하다. 남구, 연제구, 금정구, 영도구 등 4개 구에서 독립적인 윤 퇴진운동 기구가 결성되어 운영 중이다. 최근 3개 구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부산 내 지역 거점 조직의 경우, 보다 유기적인 결합이 이뤄지고 있다.

노동조합단체, 민중진영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이 전반적으로 잘 포괄되어 있고, 실천에서도 거리낌 없이 합류한다는 말이다. 예컨대 ‘노무현 정신을 따르는 시민모임’이 진보당 피켓과 유인물을 돌리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박근혜 퇴진운동 시기에 비하면 이 같은 지역 조직의 활성화는 발전된 부분이기도 하다. 박근혜 퇴진운동 당시 구별 지역 조직은 없었다.

전위봉 집행위원장은 “중앙에서 한데 이름을 올리기 어려운 경우라 해도 구 단위에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이고, 같은 동네 사람이고 하니 연대가 잘 되고 쉬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남구의 지역 조직인 ‘남구수영구시국행동’은 두 달 넘게 다채로운 구성원들로 매주 시국 행진을 진행 중이다.

▲'윤석열 정권 퇴진 2차 부산시국대회'에서 촛불행동 측이 준비한 풍자 구조물. ©윤석열퇴진부산운동본부

전 집행위원장은 “퇴진투쟁이 아직 불붙지 않고 여러 세력의 힘이 합쳐지지 못한 조건이긴 하나, 운영의 묘를 잘 살리면 실천에서 하나가 되는 방법을 만들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중앙 차원에서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농민, 빈민 단위가 함께 ‘윤석열 정권 퇴진 공동기구’ 결성이 제안된 조건에서, 부산지역의 사례가 하나의 생산적인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