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IMF, 세계 성장률 전망치 올리고 한국만 내렸다

韓 성장률 전망치 1.5%→1.4%로 하향…다른 나라 대부분 상향조정

 

이대희 기자  |  기사입력 2023.07.26. 06:17:13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5%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5회 연속 하향 조정이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발표한 4월 세계경제전망에 대한 수정 자료에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이처럼 낮췄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4%를 유지했다.

 

IMF의 이 같은 전망치는 한국 정부(1.4%), 한국은행(1.4%)과 같은 수준이다. 주요 국내외 기관 중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가장 낮게 내다본 기관은 아시아개발은행(ADB)이다. ADB가 예측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1.3%다.

 

이에 따라 IMF는 지난해 7월, 지난해 10월에 이어 올해 1, 4, 7월까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5회 연속 하향 조정했다.

 

이로써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작년 7월 2.1%에서 1년 사이 0.7%포인트 떨어졌다.

 

▲IMF의 올해 세계 주요국 성장률 전망치. ⓒ기획재정부

IMF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반면, 다른 선진국 성장률 전망치는 더 높였다.

 

IMF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6%에서 1.8%로 상향 조정했고 유로존은 0.8%에서 0.9%로 높였다.

 

유로존 내 주요 국가의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프랑스가 0.7%에서 0.8%로, 이탈리아는 0.7%에서 1.1%로, 스페인은 1.5%에서 2.5%로 각각 성장률 전망치가 재조정됐다. 

 

다만 독일의 경우 -0.1%에서 -0.3%로 더 떨어졌다. 

 

일본의 성장률 전망치는 1.3%에서 1.4%로 상향 조정됐다. 영국은 -0.3%에서 0.4%로 크게 올라갔다.

 

캐나다의 성장률 전망치는 1.5%에서 1.7%로 상향 조정됐다. 

 

신흥개도국 중에서는 인도의 성장률 전망치가 5.9%에서 6.1%로 올라갔고 러시아는 0.7%에서 1.5%로 크게 올라갔다.

 

브라질은 0.9%에서 2.1%로 역시 크게 상향 조정됐다. 멕시코는 1.8%에서 2.6%로 올라갔다.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8%에서 3.0%로 상향 조정됐다. 

 

한국을 제외하면 세계 주요국 대부분의 성장률 전망치가 일제히 상향 조정된 셈이다. 

 

▲25일 오후 창문 밖으로 보이는 부산항 모습. ⓒ연합뉴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