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통합신당, '제3지대 신당' 창당 후 민주당 흡수 통합

  • 분류
    아하~
  • 등록일
    2014/03/08 09:45
  • 수정일
    2014/03/08 09:45
  • 글쓴이
    이필립
  • 응답 RSS

민주, 새정치연합 요구 대폭 수용…"신당은 새 정치가 중심" 못 박아

선명수 기자, 곽재훈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14.03.07 18:36:39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 신당의 창당 방식으로 '선(先) 제3지대 신당 창당'-'후(後) 민주당과 합당'하기로 7일 최종 합의했다.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의 일부 세력이 제3지대 신당을 먼저 창당한 뒤, 여기에 '잔류 민주당'이 합당하기로 한 것인데, "신당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합당"한다고 합의문에 명시하는 등 새정치연합 측의 요구를 대폭 수용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이 같이 합의했다고 박광온 민주당 대변인과 금태섭 새정치연합 대변인이 전했다.

 

우선 제3지대 신당의 추진단장(창당준비위원장)은 김한길 대표와 안철수 위원장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다만 구체적인 창당 방식에 있어선 새정치연합 쪽의 요구를 대폭 수용했다. 앞서 창당의 주도권을 놓고 기 싸움을 벌이던 양측은 "제3지대 신당은 새 정치의 가치가 중심이 되는 정당으로 만든다"고 명시했다. 새정치연합 쪽에서 "신당이 '도로 민주당'이 될 수 있다"며 거듭 불만을 피력해옴에 따라 '새 정치'를 전면에 못 박은 셈이다.

 

또 "제 3지대 신당이 창당되는 즉시 신당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합당"키로 했다.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의 일부 세력이 공동 발기인 자격으로 참여해 제3지대 신당을 만들면, 민주당이 정당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 신당에 들어오는 '흡수 합당' 방식이다. 

 

양측 대변인은 "'신당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합당한다'는 것이 사실상 '흡수 합당'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문구 그대로 해석해 달라"며 말을 아꼈지만, 사실상 새정치연합의 요구대로 합의된 셈이다.

 

앞서 민주당은 두 세력의 통합 방식으로 새정치연합이 자체 창당을 마무리한 뒤 민주당과 '당 대 당' 통합을 하는 쪽을 주장해 왔지만, 새정치연합은 민주당의 일부가 선도 탈당해 신당을 창당한 뒤 잔류 민주당이 신당에 합류하는 '흡수 합당'을 주장해 왔다. 

 

특히 통합 방식 조율 과정에서 안철수 의원이 민주당을 향해 "기득권을 내려놓으라"고 압박하며 일각에선 통합 결렬 가능성까지 언급하는 등 신당의 '법통'이 민주당 쪽에 기우는 것에 대한 강한 거부 반응을 보여왔다.

 

결국 애초 새정치연합이 요구해온 '선(先) 민주당 해산'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에 따라, 민주당이 '당 대 당 통합' 요구를 철회하고 제3지대 신당으로의 '흡수 통합' 쪽으로 합의를 마무리 지은 셈이다.

 

민주당이 새정치연합 측의 요구를 대폭 수용한 것은 양측 간 줄다리기로 교착 상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민적 피로도가 높아지는 등 통합 '컨벤션 효과'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양측은 창당준비위원회 산하에 새정치연합 쪽에서 요구해온 '새정치비전위원회'를 두고, 내주부터 새 정치를 위한 혁신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또 창당준비위원회 산하에 정강정책 분과와 당헌당규 분과, 총무조직 분과, 정무기획 분과 등 필요한 조직을 양측 동수로 구성하고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이 관장하기로 했다.

 

양측의 이 같은 합의에 따라, 그동안 교착 상태에 빠졌던 통합 야당 창당 작업은 다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다만 신당의 당명과 관련해선 양측의 이견이 팽팽함에 따라 향후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새정치연합 측은 신당명으로 '새정치미래연합'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민주당은 당명에 '민주'를 꼭 넣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 보내기 트위터 보내기 미투데이 보내기 요즘 보내기 C로그 보내기 구글 북마크

 선명수 기자, 곽재훈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