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움직임(이동)에 대하여...

 

아침 출근길 오늘도 동물 몇마리가 차도 한복판에 처참한 모습으로 널부러져있습니다.
평소에는 개,고양이류가 대부분이었는데 오늘은 고라니로보이는 큰 동물도 쓰러져있네요.  
차 도는 차가 다니라고 인간이 만든 길입니다. 물론 차에는 사람이 타고 있죠.  하지만 이길이 차가다니라고 만든길이란것을 인지할리 없는 동물들은 속절없이 영문도 모른채 죽어나가고 있네요. 대도시안에서야 별로 없겟지만 도심과 지역을 있는 도로에서는 무수히 많은 동물이 죽임을 당할것입니다.

사람은 동물입니다. 물론 개,고양이,고라니도 동물이고요. 동물각각의 종은 각각이 타고난 움직임의 특성이 있습니다. 사람(다자란 비장애인인경우)은 땅위를 걸어서 한시간에 3-4km정도 움직일수 있는게 보통이었죠. 좀더 빨리 다니고싶은사람은 빨리 움직이는 동물을 활용했습니다. 주로 말이지요. 하지만 말을 타고 움직이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사람은 걸어다녔고, 그러니 당연히 걸어서 움직일수 있는범위내에 생활권이 형성되었죠.
그당시에도 좀더 빨리 달리고싶은 욕망은 있었겠지만 이것이 현실화,대중화된것은 물론 산업자본주의 사회가 도래하면서부터입니다.  화석연료를 태워 이를 에너지로 얻게하는 기관(엔진)이 발명된이후 오래전 죽은 생명체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살아있는 인간이 빨리 다니게 되었지요. 살아있는 말을 타는것이 아니라 오래전 죽은 맘모스의 에너지를 타고 달리는 셈이죠.^^

찻길이 생기면 누가 좋고 누가 안좋을까요?  일단 찻길을 만드는 자본에게는 이익이 될것입니다. 찻길의 토지를 소유했던 사람들에게도 득이 되겠지요.  찻길을 다니는 차량을 만드는 자본도 이익이 있을것이고, 차를 타고다니는 사람들도 어쨌든 얼마간은 좋겠지요.
반면 차도로 갈려진 농지에서 농사를짓는 노인분들이나 찻길주위에서 놀던 아이들, 또 이렇게 죽어가는 동물들은 피해와 고통을 받을것입니다.

차가 생기고 지하철이 생기는등 이동수단의 속도가 빨라지고 많아지면,  얼핏생각하기에는 지체장애인에게 도움이 될것 같이 보입니다. 차만타면 비장애인과 같은 속도로 이동하니 그 차별이 줄어들것이라 생각하기 쉽지요.
하 지만 실제로는 이동수단의 이용역시  비장애인위주로 짜여있어  오히려 장애인의 이동할 권리는 더 제한되고 있는듯합니다. 지금도 서울시청역사에서는 이동권보장,활동보조자부담폐지를 외치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장애인분들이 60여일 이상 농성하고 있습니다.

 

 이동권은 장애인운동/장애인인권의 여러 분야중에서 가장 알려진 사안입니다. 물론 중증장애인당사자들에게 있어  이동의 문제가 가장 힘겨운 고통으로 부딪히는 부분이라 그럴것입니다. 또한 2000년대초 지하철 선로를 점거하고, 버스를세우며 중증장애인들이 시설/골방을 벗어나 사회한복판에서 만들었던 이동권투쟁때문이기도 할것이고요. 
비장애인이라면 살면서 이동권에대한 문제의식이 전혀 없을것입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학교를 간다고 했을때 지하철을타고 갈것인지,아니면 버스,자가용,자전거등등 을 이용할지는 경제력과 취향에 따른 선택의 문제이지 학교를 등교할수있나 없나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런데 장애인의 경우 학교를 가려면 지하철,버스같은 교통수단의 문제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중증 뇌병변장애인,지체장애인인경우 일단 일어나 (전동)휠체어에 안는것부터가 문제이고 엘리베이터를 타고,길 곳곳에 나타나는 턱도 피해가야 하는등 장벽은 한두군데가 아니죠. 즉 식사,용변등 다른 활동뿐 아니라 이동을 위해서도 이를 보조할 활동보조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것이지요.  지금현실은 그나마 부족한 활동보조시간을 더줄이려하고 자부담을 지우려하고있는 상황이고, 그래서 농성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동은 지금 내가 있는 장소와 가고자하는곳이 달라서 생겨나는 활동입니다. 그리고 이동에 있어서의 문제는 그 가고자하는곳까지의 거리가 멀고 험하기때문에 생기겠지요.   집과 학교사이가 멀다는것이지요..
물론 지금은 주어진조건에서 갈수있는 장애인학교가 극소수인 상황에서 당장 필요한 이동의 권리를 보장하는것은 시급한 당면의 과제입니다. 하지만 궁극으로는 가고싶은 장애인학교가 집근처에 많이 생겨가까운 거리에 다닐수 있게 해야할것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왜 이렇게 멀게되었을까요.. 집과 학교가, 집과 직장이,,, 저도 집과 일하는곳이 무지멀고,, 또  녹색당 모임한번 가려도 한시간이상 걸리니 그때 사용하는 에너지도 작지는 않을것 같고요...


지 금도 여러 이동수단들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ktx가 만들어지고 전철이 연장,확대되며 도로도 점점 늘어나고 있지요.  이렇게 다양한형태로 증가하는 이동수단은 대도심으로 모든것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집중된것들(학교,기업,상점,문화시설,단체,병원,종교시설등등)은 점점 더 대규모화하고 있고요...   반면  살고있는 동네에서 운영하고,함께하는 조그만 규모의 것들은 줄어들고 있는것 같습니다.

 

*** 특별한 주장,결론이 있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뭔가 그럴듯한 말로 마무리를 짓고 싶었는데 떠오르지가 않네요.ㅜㅜ;;  오늘은 이만 쓰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2011/10/22

다시 소고기,돼지고기(포유류)를 안먹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시란 표현을 쓰는것은 2008년 여름부터 2년여정도 안먹은적이 있었기 때문이죠..

 

채식만으로 공장식축산시스템과 육식문명을 바꿀수는없겠지요.

하지만 육식에 대한 성찰과 삶의 변화없이 바꿀수도 없을것입니다.

 

왜 안먹냐는 이유는 3년전이랑 같기때문에, 08년 6월 처음 소고기,돼지고기를 안먹겠다고 했을때 쓴글을 덧붙입니다.

 

--- 덧붙임 ----

 

먹고산다는것 (08년 6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지난번 정전사태때 놀랐던것은...

얼마전 서울일대에 전기공급이 중단되었습니다. 올봄 후쿠시마 원전사고에서도 보듯이 잘 통제되고 관리될것이라 믿고 싶었던 부분에서도 예상과 달리 붕괴가 일어나는듯합니다.
지금의 세상은 전기공급으로 대표되는 에너지의 뒷받침이 없으면 유지될수 없어 보입니다.  잘짜여진것처럼 느껴지는 자본주의 산업문명속에서 그 속에 사는 사람들도 이미 에너지에 의존하는 문명에 충분히 적응되어 있고요.

지난번 정전사태때 놀랐던것은 정전이 대규모로 일어난것 보다도 그 다음날 대부분의사람이 전기사용량을 줄이려 하지 않는다는것입니다. 전날 정전이 일어나 엘리베이터,병원등지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면 다음날정도는 자발적으로 전기 사용량을 줄일만도 한데 그 다음날 전력사용량은 전혀 줄지 않았습니다.  약간의 무더위만 견뎌도 되는것인데, 정전다음날에 에어컨을 끈 사람은 거의 없다는 이야기지요. 

에너지가 가져다주는 풍요,편리에 이미 중독되있다는 것입니다. 기름보일러,자동차,에어컨등이 우리사회에 대중화된것은 불과 20여년밖에 안된것 같은데 말이지요..

전 기는 주로 화석연료로부터 얻어왔습니다.  매장량이 제한되어있는 화석연료는 언젠가는 고갈될것이고, 생산량정점(피크오일)시기는 곧 올것이라 추정되고 있지요. 그래서 그것을 대체하려고 핵발전을 하는것일테구요. 핵발전이 위험하고 무섭다는것은 누구나 알고있습니다. 핵발전주창자들도  서울에 핵발전소,페기물보관소를 세우자는 말은 안하니까요. 그러면서 하는말들은 대안이 없다고 합니다.

탈핵이 지금 당면한 과제지만, 에너지에 중독된 사회에 대한 전면적 성찰,변화 역시 근본적이면서도 시급한 과제일것입니다.  대안은 핵발전을 또 다른 **발전으로 전환하는것이 아니라 발전 그 자체를 줄여나가는것일테니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