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jpeg

두가지 방법을 사용해서 이미지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색상의 정보는 그대로 둔채 압축포맷의 형태를 쓰는 것이고
두번째 방법은 색상정보를 낮추어서 크기를 줄이는 것입니다.

어떤 것이 더 좋은 가는 사용할 이미지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 이 방법의 결정은 사용자의 경험에 많이 의존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는 다채로운 색상영역을 띠고 있는 그림들은 색상영역을 낮추는 것보다 압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반대로 많은 색상이 사용되지 않은 이미지들은 색상영역을 낮추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보통 압축이미지로는 jpg의 포맷을 쓰며 아주 효과가 좋은 편입니다. 반대로 색상영역을 낯출 때는 gif포맷을 추천합니다. 이 두 포맷은 역시 Web문서에도 지원이 되어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Image Options : Quality
Maxium, High, Midium, Low 네 가지 압축의 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Maximum의 이미지가 가장 질이 좋은 이미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가장 압축률이 낮습니다. 이전 4.0버전에서는 이 옵션값을 슬라이드바로 세밀하게 세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Formats Options :
이 부분은 4.0버전에 와서 추가된 것입니다. Baseline Standard와 Baseline Optimize, 그리고 Progressive 세가지의 설정값이 있입니다. Baseline Optimize는 기존의 3.0버전에서 지원하던 Jpeg압축 옵션인 Baseline Standard를 좀더 진화시킨 것입니다. 즉 이미지 영역내의 색상정보를 추출해내 이를 토대로 압축합니다. Progressive 옵션은 웹문서등에서 주로 쓰이는 확장 JPEG 포맷으로 저장하는 옵션입니다.
문제는 모든 이미지가 놀라울 정도의 압축률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고 심한 경우는 이미지 형태의 왜곡 현상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미지가 몇가지 색상의 범위를 띠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합니다.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지 않은 이미지를 Jpg압축으로 줄이면 기대한 만큼 이미지의 용량이 줄지 않을 뿐더러 심하게는 끔찍한 이미지 왜곡현상이 일어납니다. 물론 이럴땐 Gif로 파일 형식을 정해야 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