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애당초 유기농 대회에 가고 싶은 마음은 없었습니다. 팔당 두물머리 유기농지를 없애야 한다면서 그곳에 유기농 대회를 하는 것부터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었지요. 또 4대강 삽질로 농민들을 강으로부터 몰아내면서 올 여름 홍수 피해가 줄었다고 사기 치는 것도 제대로 짜증나는 일이었기 때문이었지요. 마치 천성산에 굴 파고 새만금에 방조제 만들면서 람사르  총회 유치한 거나 다름없지 않습니까. 눈 가리고 아웅. 소귀에 경 읽기입니다.
 
2.
셔틀버스가 있다고는 했습니다. 20분 간격으로. 인터넷으로 거리를 재보니 걸어가도 30분이 안 걸리고. 택시로는 5분도 채 안 걸리니. 서둘러 나왔더라면 걸어갔을 터인데. 도농역에 내리니 벌써 세미나 시작 10분 전. 결국 셔틀버스 타는 곳으로 갔습니다. 헌데 웬 여고생들? 그것도 20미터가 넘게 줄을 서있고. 가만 보니 여기저기서 몰려드는 교복행렬. 어이쿠. 어디서 또 체험학습 핑계로 동원한 거 아냐. 가뜩이나 자주 오지 않는 버스인데 저리 학생들이 많으면. 하는 수 없었습니다. 택시를 타는 수밖에.
 
3.
“청소년 수련관 가주세요”
“거기 오늘 무슨 행사 있습니까?”
“아, 예. 유기농 대회라고.....”
“유기농 대회요? 그게 뭐하는 겁니까”
 
음. 여기 남양주 맞나?
 
“아, 예. 전세계에서 유기농업과 관련해 농민들....... 학자들.....”
“아, 농약 안 쓰고, 비료 안 쓰는.... 근데 어디서 오셨어요?”
“예. 춘천서 왔습니다”
“아니 그렇게 먼데서 왔어요?”
“아, 예..... 뭐.....”
“근데 유기농하는 사람들 얘기 들으면 양이 적게 나와서 못하겠다고 하던데”
 
음. 맞다고 해야 하나, 어째야 하나.
 
“아따, 차들 많네. 경상도, 전라도, 전국에서 왔나보네”
 
저건 또 뭐꼬. 행사장 주차장도 아닌. 입구 쪽 길 양쪽으로 쭉 늘어선 관광버스가 수도 없다. 우리나라에 유기농사 짓는 사람이 저렇게 많았나? 아니 유기농에 관심 있는 사람이 저렇게 많았나? 혹시 전농에서 단체로? 가만 보아하니, 이것도 역시 수상한 냄새가 폴폴. 허나 확증이 없으니.
 
4.
분명 301호에서 한다고 했는데 잘 못 봤나 싶었습니다. 하지만 3층을 다 뒤져도 GMO는커녕 G자도 보이질 않더군요. 해서 집에 있는 짝지에게 세미나 장소가 어딘지 확인해달라고 했는데. 1분 후 돌아온 답. 청소년 수련관이 아니라 제2청사랍니다. 시계를 보니 이미 30분은 훌쩍 넘었고. 이런 데라면 꼭 빠지지 않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진행요원 찾아 이리저리. 셔틀버스 타는 곳을 찾아 또 이리저리. 게다가 버스 기사는 뒤차가 와야 출발한다며 세월아 내월아. 결국 3시가 다 돼서야 세미나가 열리는 2청사 301호에 도착했습니다.
 
5.
매일 먹는 반찬, 국에 식용유, 간장, 된장이 안 들어 간 게 얼마나 될까요. 모르긴 해도 거의 없을 겁니다. 하지만 마트 상품 진열장에 가득 늘어선 이들 제품들 가운데 말이지요. 과연 어떤 것에 GM 작물이 포함돼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놀랍게도 소비자들은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올 초 햄, 소시지에 GMO 콩이 함유돼 있다는 소식이 들렸을 때 다들 기겁을 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햄, 소시지이고 어른들이라면 간장, 된장 맛이 음식 맛을 좌우한다고 생각들 하는데. 거참 이 정도면 사안이 보통 심각한 거 아닌데. 
 
6.
현재 우리나라가 GMO와 관련해 채택하고 있는 표시방식은 증명(proof)기반 표시제입니다.  유전자 조작 DNA 및 단백질 성분이 최종 제품 잔류 시에 한해 표시하는 방법이지요. 반면 유럽은 가장 강력한 표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유전자 조작 DNA 및 단백질 성분이 최종 제품 함유 여부를 불문하고 모든 GM 식품에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과정(process)기반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이지요. 미국이나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 GMO 작물을 많이 재배하고 또 수출하는 나라들에서는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이라는 이름아래, GM 식품의 조성 성분 및 영양가 면에서 기본 식품과 현저한 차이가 있거나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만 표시의무를 부과합니다. 쉽게 말해 모든 GM 식품이 아무런 규제 없이 팔려 나갈 수 있는 겁니다.
 
7.
딱 보아하니 개인적으로 참가한 사람이 별로 없어 보이더군요. 잠깐만 앉아 있어 봐도 다들 이리저리 엮인 사람들이란 걸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그 틈에 끼여 있으려니 좀 멋쩍기도 하고. 쉬는 시간엔 갈 곳 몰라 괜히 청사밖에 나갔다 들어오고. 질의응답 시간엔 손은커녕 얼굴도 들기 민망한 게. 끝났다는 말이 나오자마자 서둘러 회의실을 빠져나왔습니다. 다행이 어수선한 틈을 타 주최한 쪽에서 마련한 떡을 챙기긴 했지만 말입니다.
 
8.
기후변화로 인해 생기는 피해는 제3세계에 집중됩니다. GMO 농산물로 인한 피해 역시 제3세계, 특히 가난한 민중들에게 돌아가지요. 물론 잘 산다고 하는 나라들에서도 피해자는 가난한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언컨대 저급 식품에 이들이 사용될 것이기 때문이지요. 가난할수록 비만인 역설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셈입니다. 그리고 또 이로 인해 막대한 돈을 챙기는 이들은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곡물기업, 식품기업, 화학.석유,제약 회사들일 것이구요.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주인이 버는 격입니다. 
 
9.
10월 16일은 세계 식량의 날로 알려졌지요. 또 이날은 화학조미료를 안 먹는 날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지난 2010년에는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 총회를 연 일본 나고야에서 10월 16일을 몬산토 반대의 날을 선포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10월 16일은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과 관련해 의미가 있는 날인데요. 올 해엔 한 가지가 더 추가됐으니. 이래저래 10월하고도 16일은 꼭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바로 ‘반G의 날’입니다.
 
10.
‘반G의 날’은 反GMO를 상징화한 표현인데요. 이날만큼은 유전자 조작 식품 없는 밥상을 차려보고 또 우리 주변에 유전자 조작 식품이 얼마나 되는 지 찾아보고 생각해보자는 취지입니다. 구체적으로는 ․ 식량주권과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 수입농산물과 수입가공식품을 사지 않기 ․ 식품 겉면의 원료 표시를 확인하여 GMO가 들어간 원료를 피하기 ․ 식당에서 콩이나 옥수수, 육류가 들어간 음식을 사먹지 말기 ․ 우리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하니 우리 농산물로 밥상을 꾸미기. ․ 생협이나 유기농 직거래 단체를 이용하기 등입니다. 어떻습니까. 보기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보여지는데. 그래요 일단 한 번 해보면 이거 보기보단 그리 쉽지 않은 일이란 걸 알 게 됩니다. 그만큼 우리 곁에 GMO 식품이 알게 모르게 많아졌다는 뜻이구요. 아무튼 반G의 날은 10월 16일이니 올해는 이미 지났고. 내년엔 꼭 달력에 표시했다가 유전자 조작 식품 없는 밥상을 차려봐야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2/03 12:42 2011/12/03 12:42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