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우스갯말로 담배 끊은 사람이랑은 친구하지 말라고들 합니다. 마약보다 중독성이 더 강한 담배를 끊을 정도라면 그 독기가 어련하겠냐는 말이지요. 그래 그런 사람하고는 친구 관계를 끊으란 얘긴데.
 
그래도 담배는 건강하게 살겠단 마음이 있으면 끊을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일단 손에 잡으면 끊기 힘든 것이 같다는 점에서, 이렇게 말을 바꾼다면 어떨까요. “운전하다 안 하는 사람과는 부모, 자식 간이라도 돌아서야 한다.”
 
스기타 사토시는 자동차에 대해 매우 도발적인 문제 제기를 합니다. ‘문명의 이기인가, 파괴자인가.’ 물론 사토시는 주저하지 않고 자동차가 가진 폐해를 줄줄이 늘어놓습니다. 통계 자료와 피해자 진술들이 보여주는 자동차 사고에서부터 자신의 사적 이익을 위해 타인을 무시하게 만드는 ‘자동차의 도덕’에 이르기까지 말입니다. 그러니 ‘파괴자’까진 아니더라도 ‘문명의 이기’가 아닌 것만은 분명하답니다.
 
하지만 자동차로 인한 폐해는 이 책이 나왔을 때 보다 훨씬 더 늘어났을 것이 분명하지만. 그보다도 더 많은 운전자들이 생겨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저 사토시가 책 말미에 제시했던 7가지 방법들, 즉 아직까지 자동차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자동차의 해악에 대한 철학적인 측면의 교육이 체계화 되지 않았기 때문일까요.
 
물론 사토시가 지적했던 대로 자동차 문제를 문제로 자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혁이 어려운 건 분명합니다. 가령 눈이나 비와 같은 외부 환경과 상관없이 목적하는 곳까지 신속하고 쾌적하게 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말이지요. 거기에 차 바깥 환경과는 단절된 상황에서 걷는 사람에 대해 갖게 되는 ‘무관심’과 ‘우쭐함’을 감안한다면 말입니다.
 
맞습니다. 운전대를 놓는 일, 자동차를 버리는 일이 그리 쉬울 리가 없습니다. 더구나 그 맛을 한 번 본 사람이라면 어떻겠습니까. 그러니 이 중독성 강한 물건을 내팽긴 자, 운전 하다 안 한 사람과는 어째야할까요. 처음에 했던 말처럼, ‘부모 자식 간이라도 돌아서야 한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그건 좀 심한 말이라구요? 정말 그럴까요?
 
* 다달이 나오는 ‘세상을 바꾸는 따뜻한 이야기’ <작은책> 2014년 9월 호에 특집으로 자동차를 다루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4/10/04 17:01 2014/10/04 17:01

Trackback Address :: https://blog.jinbo.net/nongbu/trackback/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