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풀기(5월 30일/맑음 19-28도)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는 풀들을 보고 있으면 속이 다 울렁거린다. 또 땡볕에 골 사이를 헤집고 다니며 미친 듯이 풀을 잡아 뜯는 모습이 떠올리기 때문이다. 뭐, 콩이나 내일 심을 팥은 어영부영 김매기를 해줘도 되겠지만. 이제 막 싹이 나기 시작한 땅콩이나 옥수수, 아직 싹이 나지 않은 조, 기장 등등은 지금부터 풀을 매야줘야지 안 그럼. 걷잡을 수 없이 뻗는 풀에, 생각만 해도 갑갑하다. 해서 슬슬 몸 풀기로 옥수수 심은 곳 풀을 열심히 맸다

 

팥 심기(5월 31일/비 오락가락 15-22도)

 

벌써 두 번째다. 자물쇠를 잘라낸 걸 보니 전문적인 털이범일 수도 있겠고. 더 좋은 자전거가 바로 옆에 있는데도 딱 보기에도 고물 같은 걸 가져간 걸 보면. 오죽이나 급급했을까도 싶고. 오만가지 생각이 다 드나 일단은 내 코가 석자다. 아침부터 부슬부슬 내리는 비에 맘먹고 팥이며, 메주콩, 녹두, 수수 등을 심으려 했는데 자전거가 없으니 어쩌나.

 

결국 오랜만에 버스타고 밭엘 간다. 자전거나 버스나 걸리는 시간은 매한가지 30분. 하지만 준비했던 걸 도로 가방에 옮겨 담고. 버스 기다리고, 내려서 걷고 어쩌고저쩌고 하니 금새 11시다. 이런. 비는 집 나올 때보다 더 거세고.

 

점심까지 쫄쫄 굶어가며 겨우 팥만 심었는데도 4시가 훌쩍 넘는다. 비가 오는 것도 작업을 더디게 하지만 문제는 풀이다. 밭 갈고 한참이 지났으니 여기저기서 풀이 올라오고. 풀매면서 팥을 심으려니 아무래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겨우 겨우 물 한 모금 축이는데 나중엔 그 시간마저 아깝다. 허기진 몸과 허전한 마음을 이끌고 집에 오니 5시. 완전녹초다.  

 

나머지 모두 심다(6월 1일/비온 후 맑음 14-22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버스타고 밭에 나와 풀매면서 녹두, 수수, 메주콩을 다섯 시간 넘게 심었다. 어제와 마찬가지로 완전녹초다. 겨우 집에 와 콩국수 먹고 자전거 주문하니 8시. 축구나 봐야겠다. 

 

물주기(6월 2일/맑음 15-26도)

 

비가 온다는 얘기만 철석같이 믿고 메주콩, 수수, 녹두를 심었는데. 그제와는 달리 비가 오지 않아 아침부터 물 주러 나선다. 그제 밤, 비가 꽤 오긴 했지만 아무래도 심을 때, 심고 나서 비 한 방울 오지 않아서다. 자전거가 없으니. 한 시간 넘게 버스 기다리고, 두 시간 물주고, 삼심 분 걸어서 버스 타러 가고, 다시 삼십 분 버스타고 집에 오니 2시가 넘는다. 에고. 자전거는 언제 오나.

 

풀 뽑기(6월 3일/맑음 14-25도)

 

아침엔 버스타고 가서 풀 뽑고. 오후엔 아침에 도착한 자전거 타고 가서 풀 뽑고. 이제 본격적으로 풀을 잡아줘야 한다. 아침 2시간, 저녁 2시간 동안 옥수수 심은 곳 김맸으니. 내일부턴 서리태 심은 곳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칭한 곳도 풀을 뽑아야 한다(6월 4일/맑음 17-26도)

 

고추, 토마토, 가지, 오이, 고구마 심은 곳은 신문지 멀칭을 했다. 조금이라도 풀을 덜 매려고. 하지만 이곳도 풀이 올라온다. 사이사이 벌어진 틈이며 찢어진 곳으로. 다른 데에 비하면 이런데 풀 뽑는 건 일도 아니지만 그래도 땡볕에 풀매는 건 매한가지. 아침, 저녁 각 2시간 넘게, 도합 한 5시간 정도 고구마 심은 곳 김매고, 토마토 지주 세워주고 나니 해가 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6/06 22:20 2011/06/06 22:20
Tag //

1.

‘선’과 ‘악’은 무엇으로 구분될까요. 대게 영화에서는 ‘악당’이 등장하고 이에 맞서는 ‘영웅(들)’이 나옵니다. ‘나니아 연대기’에서와 같이 말입니다. 여기서 ‘선’은 당연 ‘아슬란’ 혹은 나니아에 초대된 네 명의 아이들이며 ‘악’은 ‘하얀마녀’입니다. 하지만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골룸’은 어떤가요. ‘선’과 ‘악’,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까. 

 

하나 더. ‘착함’ 또는 ‘나쁨’은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물론 사람들마다 이런 때엔 ‘착함’, 저런 경우엔 ‘나쁨’이라고 말하는 어떤 기준들을 갖고 있을 겁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엔 ‘골룸’에서보다 더 ‘착함’과 ‘나쁨’을 구분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예컨대 ‘나가수’에서 김건모의 탈락에 ‘재도전’ 기회를 말했던 ‘김제동’이 ‘나쁜가?’, ‘착한가?’와 같이 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2.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는 쉽게 ‘나쁜’ 에너지로 분류됩니다. 반면 ‘천연가스’, ‘바이오 에너지’ 등은 ‘착한’ 에너지라며 높이 치는데요. 이때 ‘착한’과 ‘나쁜’을 가르는 기준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느냐, 발생시키지 않느냐 또는 많이 발생시키느냐, 적게 발생시키느냐, 일겁니다. 하지만 바이오 연료라고 불리는 팜 오일의 원료를 생산하는 여성노동자 조와 리마의 말을 듣고 있으면. 방금 붙인 이 ‘착한’이란 수식어가 적합한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난 오래 전에 이혼했어요. 열여덟 살인 큰 아이가 일을 한다고 하지만, 네 명의 아이들 모두 내게 의존하고 살아요. 그래서 난 아파도 안 되고, 다쳐서 병원비가 들어도 안돼요. 그런데 이미 한쪽 눈은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고, 등은 무거운 농약 살포기를 견디지 못해 혹이 나기 시작했어요. 매일 하던 기침에 이제는 피까지 섞여 나오고 있구요. 이러다 정말 아이들에게 아무것도 해줄 수 없게 되는 건 아닐 지 걱정이에요.”(인도네시아 팜 플랜테이션 노동자 ‘조’ p.145)

 

“난 집안 일만 하던 가정주부였어요. 그런데 남편이 일하던 목재 공장 주변이 모두 팜 농장으로 변해버렸어요. 남편이 먼저 팜 농장에서 일하기 시작했죠. 그런데 이제는 남편이 벌어오는 것만으로 살림을 꾸려갈 수 가 없었어요. 그래서 저도 팜 농장에서 일하기 시작했죠. 그렇지만 살림은 나아지지 않았어요.”(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부의 팜 농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리마’ p.146)

 

3.

한국수력원자력(주) 홈페이지에 보니 ‘원자력발전’을 대략 이렇게 소개해놨습니다. ‘지금 지구 환경은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는데 원자력발전은 발전원별 온실가스 발생량이 가장 적어 환경친화적 에너지이다.’ 어떻습니까? 이만하면 ‘원자력발전’은 ‘착한’ 에너지로 구분할 수 있겠지요. 어, 아니, 아직은 잘 모르겠다구요? 왜지요? 옆 나라에서 발생한 사고를 보니 꼭 그렇지도 않다구요. 어허, ‘원자력발전은 석유파동(석유공급불안/고유가시대)이나 에너지무기화에 대비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원’ 인데다가 ‘우라늄을 원자로에 한번 장전하면 12~18개 월 가량은 연료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연료 비축효과가 있는 셈’인데, 어찌 ‘선’한 에너지가 아니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4.

‘선’과 ‘악’, ‘착함’과 ‘나쁨’은 결국 ‘정의’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정의’는 철학과도 연관되는 것이요, 사상, 세계관과도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과 ‘악’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이, 이쪽에 서 있는 이들에겐 ‘선’이요 저쪽에 서 있는 사람들에겐 ‘악’이 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착함’과 ‘나쁨’ 역시 철학, 사상, 세계관을 같이 하는 사람들로 또 달리 하는 사람들로 나눌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본다면 에너지 문제와 관련한 ‘착한’과 ‘나쁜’의 구분 또한 사상, 세계관, 철학이 기준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쉽게 말해 ‘핵발전’과 ‘팜 오일’을 어떤 철학과 세계관을 가지고 보느냐, 어떤 사상으로 평가하느냐에 따라 ‘정의’로운가, ‘정의’롭지 않은가, 로 나눌 수 있다는 말입니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착한 에너지 기행>에서 말하는 ‘기후정의’가 가지는 뜻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겠습니다.  

 

5.

모종이며 씨앗을 심은 지 이제 한 달이 다 되어 갑니다. 달력을 보니 6월. 이제 막 자리를 잡기 시작한 모종이며 씨앗들 사이로 풀이 삐죽삐죽 올라오는 시기이기도 하지요. 처음 농사를 지었던 때가 생각납니다. 아니 재작년까지의 기억도 생생합니다. 고추며 토마토 사이로 하나, 둘 보이던 풀을 놔뒀다가 한여름 땡볕에 땀을 흠뻑 뒤집어쓰고 골 사이를 기어 다니던 기억이 말입니다. 처음엔 뭐 이쯤이야 하고 나중에 한 번에 풀을 매야지 했고, 조금 지나선 뭐 낫으로 쓱쓱 베어버리면 되지 했다가. 걷잡을 수 없이 자라는 잡초에 완전 두 손 든 것이었지요.

 

이제 ‘환경위기’, ‘지구위기’에 대해 딴죽 거는 사람은 없어 보입니다. 그만큼 위기가 매우 빨리 다가오고 있고 또 바로 가까이에 있다는 것일 겁니다. 그런데도 캐나다의 몬트리올, 케냐의 나이로비, 인도네시아 발리, 폴란드의 포즈난,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렸던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는 코앞에 닥친 이 위기에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논의했다기보다는 책임전가와 발뺌, 생색내기, 위장, 미루기 등등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아무래도 돈과 권력을 움켜쥔 사람들에겐 이 ‘위기’란 남의 ‘위기’일 뿐이요, 다시 한 번 돈과 권력을 공고히 할 ‘기회’일 뿐인가 봅니다. 하지만 손으로 쓱쓱 지나가면 될 일을, 호미로 긁어내기만 하면 될 일을, 낫으로 쓱쓱 베어버리면 될 일을 멍하니 지켜보다 나중엔 두 손, 두 발 다 들고 말 거라는 걸. 꼭 그들만 모르는 있는 것일까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6/01 20:53 2011/06/01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