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전작 <동물농장>과 마찬가지로 <1984> 또한 종종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책으로 소개되곤 합니다. 하지만 두 책을 읽고나면. <동물농장>은 풍자와 해학이 섞여 있고 <1984>는 좀 더 어둡고 암울하다는 차이만 있을 뿐. 전체주의에 대한 엄중한 경고 일뿐이라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더불어 <1984>나 <동물농장> 모두 미래 사회 혹은 상상된 사회에 대한 경고 정도로만 소개되곤 합니다. 하지만 전체주의는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사회 모두 에서 분명 존재했을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이라는 미명하에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CCTV만 보더라도 감시사회는 성큼 우리 곁에 다가왔다는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그럼에도 갖다 붙이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저자의 의도를 왜곡해 이러쿵저러쿵 말들을 하는 걸 보면. 정말 읽었나봤나 싶기도 하고. 보긴 봤어도 자기 좋을 대로만 읽었구나 싶은 게. 꼭 무슨, 무슨 신문과 방송처럼 말이지요.
 
하지만 뭐 어떻습니까. 그가 쓴 일련의 다른 책들, 이를테면 <카탈로니아 찬가>나 <위건부두로 가는 길>과 같은 글들까지 함께 본다면.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가 바로 오웰임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터이니. 무슨 말을 하던 그냥 그대로 내버려둬도 괜찮겠단, 생각이 듭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26 10:52 2013/04/26 10:52

사용자 삽입 이미지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류와 같은 자본주의 예찬서와 마찬가지로 엄연히 다르건만. 심심치 않게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서로 소개되는 책이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스스로 사회주의자임을 자처한 사람이 썼다는 이유로 더욱 그러했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꼼꼼히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왜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기는지 알 수가 없는데요.

 

아마도 마르크스와 겹쳐지는 메이저, 스탈린은 나폴레온, 트로츠키는 스노우볼로 묘사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랬을 것이란 추측을 해보는데.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요. 딱 봐도 이건 풍자와 우화 형식으로 쓴 전체주의에 대한 경고와 비판인데. 뜻과 의도를 잘 못 이해해도 한 참 잘 못 한 것이지요.

 

아무튼, 그래서일까요. 고전 중에 고전이라고 얘기되는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을 이제야 읽게 된 것, 말입니다. 지리산 둘레길을 걷다, 땡볕을 피해 나무 그늘에서 쉬면서. 만만하게 봤다, 결국 녹초가 된 몸으로 머물렀던 성심원에서.....

 

나폴레온이 기른 사나운 개들과 입만 열면 찬양일색으로 나팔을 불어대는 오리들이 먼 곳에 있는 게 아닌데, 하며. <위건 부두로 가는 길>에 이어 다시 빠져들게 된 오웰의 글 솜씨와 생각에. <카탈로니아 찬가>며, <1984>도 찾아봐야지.....

 

참 오랜만에 휴가다운 휴가를 보냈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10/04 21:03 2012/10/04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