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물셋 청년 노동자 전태일은 자기 몸에 불을 댕겼습니다. 고된 노동에 쓰러져 가는 어린 여공들을 그냥 두고 볼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었지요. 풀빵 한 봉지라도 먹이기 위해 그 먼 길을 걸어야 했던 전태일은 죽음을 앞두고 “배가 고프다”는 마지막 말을 남겼습니다.
 
더불어 그런 전태일과 한 약속에 똑같이 걸어 다녀야 했던, 그러면서도 말 한마디 하지 않던, 지금은 철거돼버린 대한문 앞 쌍용차 분향소에 매일 ‘빵’을 사다 날랐던 동생 전태삼.
 
누구 말마따나 정의가 ‘개관적’이라면 ‘버들다리’는 처음부터 ‘전태일 다리’였어야 했습니다. 또 정의가 ‘보편적’이라는 말이 진짜라면 스물 두 명이나 죽어가도록 내버려두지도, 스물세 번째 죽음을 막기 위한 싸움이 그토록 처절하지도 않아야 하지요. 
 
2.
서른아홉 혁명가 체 게바라는 볼리비아에서 체포된 후 단 하루 만인 다음날 총살을 당합니다. 쿠바 혁명을 성공으로 이끌었음에도 다시 남미 민중이 처한 착취와 억압의 사슬을 끊기 위해 모스크바, 프라하, 파리, 상파울로를 거쳐 볼리비아로 들어갔던 체.
 
그런 그가 메고 다니던 홀쭉한 배낭 속에는 색연필로 덧칠된 지도 외에 두 권의 일기와 파블로 네루다, 세사르 바예호, 니콜라스 기옌, 레온 펠리페 등이 쓴 시를 필사한 노트 한 권이 들어 있었습니다.
 
언제라도 죽음과 맞닥뜨릴 수밖에 없던 정글 지대에서 시들을 써내려갔던 체의 ‘에토스’는 ‘따뜻함’, 그것 아니었을까요. 
 
 
 
사탕수수
- 니콜라스 기옌
『송고로 코송고』에서
 
수수밭 옆에는
검둥이.
 
수수밭 위에는
양키.
 
수수밭 아래는
흙.
 
수숫대 속엔
피!
 
 
 
3.
잘 모르겠습니다. 법을 전공한 것도 아닌데다. 법이란 게 가치와 이상을 펼치기보단 되레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까요. 사후매수니 공소시효니 따위의 잣대로 진실을 가늠하려는 일에는 관심도 없었습니다.
 
또 윤리학이나 철학을 공부한 것도 아닌데다. 강요되는 관습과 예의범절이란 게 결국 지배자의 습성일 뿐이라 생각하기 때문일까요. ‘정의’니 ‘에토스’니 따위의 잣대로 진심을 가늠하려는 일에도 관심이 없습니다.
 
다만 ‘정의’가 ‘객관적이고 보편적’이라는 말이. 진보의 생명인 ‘에토스’가 사람들 돌아보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 따위 ‘정의’니 ‘에토스’는 지배자들게나 줘버리는 게 낫다고 단호히 얘기하고 싶습니다. 진보에게 ‘정의’와 ‘에토스’란 ‘따뜻함’, 그것이어야 한다는 얘깁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곽노현을 손가락질하며 고고한 척 하는 ‘진보주의자’들에게 ‘정의’와 ‘에토스’를 되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 ‘정의’와 ‘에토스’엔 ‘따뜻함’이란 정녕 없는 겁니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11 21:32 2013/04/11 21:32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이 가석방으로 출소했습니다. 애당초 되도 않는 법과 그 법에 기댄 되도 않는 논리로 잡혀간 데다. 긴 겨울을 꼬박 다 보내고 나서야 겨우 나왔는데.

 

‘뒷돈’ 주다 걸려 검찰에 불려갈 때부터 휠체어 타더니. 들어갔나 싶으면 어느새 병원으로 실려 나가는 이들과 굳이 빗대고 싶진 않지만요. 기다렸다는 듯이 “당신 같은 사이비들이 진보의 생명인 ‘에토스’ 자체를 무너뜨렸지요. 나는 보수진영에서 그 짓 했어도 당신들이 그렇게 열렬히 옹호했을까 회의합니다.”라며 여전히 날나발을 하는 이가 있으니 마음이 아플 따름입니다.

 

물론 “정의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겁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니. 논리와 법 이전에 왜, 어떤 일이 있었는지까지는 알고 싶어 하지도, 알아도 상관없다고 생각할 겁니다. 마치 일이 터지자마자 앞, 뒤 재지도 않고 돌을 던지기 시작한 보수 언론, 아니 모든 언론들처럼 말이지요.

 

그러니 그런 그들에게 “당신이 생각하는 ‘에토스’는 대체 무엇입니까?” 라며 되물어봐야, ‘따뜻한 정의’를 얘기해봐야 무슨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요. 함부로 지껄이는 허튼소리나 계속하겠지요.  

 

날나발: ‘함부로 지껄이는 허튼소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04 21:05 2013/04/04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