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실천문학사에서 펴낸 역사인물 찾기 시리즈이니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도 한데. 당체 처음 듣는 이름이었지요. 그도 그럴 것이 ‘뇌봉’이라는 이름이 여간 흔하지 않은 이름이니 스쳐가듯 이라도 들었더라면 분명 기억 못 할리 만무하니 말입니다.
 
헌데 올 초 모 신문에 ‘레이펑’이란 이름이 올랐던 적이 생각났습니다. 혹여 그 사람이 아닐까 싶었었는데, 어이쿠 맞았습니다. 중국 공산당이 레이펑 사후 50주기를 맞아 ‘레이펑 정신 실천 캠페인’을 벌이겠다는 기사였던 것 같은데. 그 레이펑이 바로 뇌봉이었던 겁니다.
 
당시 신문을 다시 찾아보니. 관영언론을 통해 특집기사들을 내보내고 각 지방정부마다 이런저런 행사를 준비했다고 하네요. 심지어 ‘레이펑 배우기’ 우수자에게 의료, 주택, 취직 등의 혜택까지 주겠다는 말까지 나왔으니. 나름 야심차게 일을 진행했던 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그때도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이 있었는데. 그 후에도 별다른 소식이나 얘기가 없었던 걸 보면. 관료화된, 아니 새로운 지배계급이 된 당 지도부가 강요하는 도덕 재무장이란 게 얼마나 현실과 동떨어진 소리인지, 몰랐던 모양입니다.    
 
요즘은 거진 헌책방을 기웃거리다 집어온 책을 읽게 됩니다. 뇌봉도 마찬가지. 외대 앞 헌책방 한 귀퉁이에서 골라왔지요. 하지만 책도 오래됐고 주인공 뇌봉도 오래 전 사람이지만. 그가 가다듬고 실천한 정신과 사상은 다시 되새겨야 할 것들이 많을뿐더러. 다 읽고 나면 감히 나서서 본받자, 따르자 할 사람도 아니란 걸 알게 되니.
 
언제 적 얘기냐며 덮어두기엔 아까운 책임에 틀림없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1/19 20:23 2013/01/19 20:23

사용자 삽입 이미지시인 송경동에게 ‘희망버스 기획자’라는 꼬리표가 달렸습니다. 희.망.버.스.기.획.자. 

 
2003년이던가요. 민주노총이 사무실이 있던 동네, 영등포경찰서장이라는 작자가 잇따른 노동자들의 분신을 두고 “거기 위쪽에서 기획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망발을 내뱉은 적이 있었습니다. 얼마 뒤 노무현 대통령은 “분신을 투쟁 수단으로 삼는 시대는 지났다”며 비수를 꽂았구요.
 
그 보다 앞선 1991년, 명지대 1학년 생 강경대 열사가 백골단이 휘두른 쇠파이프에 맞아 죽고. 이후 학생, 노동자, 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잇따라 분신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당시 서강대 총장이었던 박홍이란 자가 나타나 “죽음을 선동하고 이용하려는 반생명적인 죽음의 세력, 어둠의 세력이 존재한다.”며 ‘분신 배후설’을 퍼뜨렸습니다. 심지어 제비뽑기를 해서 분신순서를 정한다는 어처구니없는 얘기들도 들려왔구요. 김지하는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우라고 후배들에게 충고 아닌 충고를 했습니다. 연세대 김동길 교수는 “배후조종한 선배들에 이끌려 시위 도중 도망가다 맞아 죽은 것일 뿐”이라며 철없는 학생의 하찮은 죽음으로 내몰았지요.
 
광우병에 대한 안전성이 의심되는 미국 산 쇠고를 수입하려는 정부에 항의하던 촛불시위가 탄핵 요구로까지 번지자. 2MB이 친히 “1만 명의 촛불은 누구 돈으로 샀고, 누가 주도했는지 파악해 보고하라.”라고 지시했습니다. 서경석 목사는 “지도부를 구성하는 대책회의 인사들이 좌파이기 때문에 변질될까 우려하고 있다.”며 필요도 없는 걱정까지 하고 나섰는데요.  때맞춰 황색 언론들이 ‘촛불 배후론’을 들고 나왔습니다. “거짓 선동에 순수한 청소년들이 이용당한 것”이라며 말이죠.
 
법원이 체포영장을 발부하기 전, 기.획.자. 송경동 시인은 <작은책>에서 주최한 한 강연에서 이런 말을 했습니다. “누구나 다 자기 시의 현장을 찾게 되죠. 그렇잖아요? 어떤 사람은 꽃과 자연만을 찾아다니잖아요. 왜 그러냐면 자기 시가 거기에 있다고 생각하니까 다니는 거예요..... (중략) ..... 자기 문학의 현장은 자기가 선택하는 겁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런 현장, 그런 사람들 속에서 부대끼면서 사는 동안 내 문학이 나올 거다’ 하고 생각하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시인보다 전문 시위꾼으로 불리는 사람입니다.”
 
‘삶과 예술에서 언제나 권리를 박탈당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 편에 섰으며, 수탈당하는 사람들의 진보적 투쟁(<케테 콜비츠, 천재 여류판화가의 사랑과 분노의 자화상>, 실천문학사, 2000. p.21)’을 그려냈던 케테 콜비츠는 1922년 어느 날, 에르나 크뤼거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편지로 보냈습니다.
 
“요 다음번에는 더 작은 작품들만 할 생각이다. 국제 노동조합 총연맹으로부터 전쟁을 반대하는 포스터를 제작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이 일을 생각하면 나는 즐거워진다. 어떤 목적을 지닌 작품은 순수한 예술일 수 없다고 여기저기서 많은 사람들이 말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내가 작업할 수 있는 한 나의 예술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지를 버리지 않을 것이다.”(같은 책, p.82)
 
검찰이 붙인 건지, 보수 언론들이 덧씌운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왜 그 기.획.자.라는 말이 자꾸만 맴도는 것일까요. 기.획.자. 시를 쓰기 위해 크레인을 찾아간 시인 송경동. 역사도 그를 기.획.자.로 기억할까요.

 

혜화 경찰서에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장 기각되고 재조사 받으러 가니

2008년 5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핸드폰 통화내역을 모두 뽑아왔다

난 단지 야간 일반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잡혀왔을 뿐인데

힐금 보니 통화시간과 장소까지 친절하게 나와 있다

청계천 탐앤탐스 부근……

 

다음엔 문자메씨지 내용을 가져온다고 한다

함께 잡힌 촛불시민은 가택수사도 했고

통장 압수수색도 했단다 그러곤

의자를 뱅글뱅글 돌리며

웃는 낯으로 알아서 불어라 한다

무엇을, 나는 불까

 

풍선이나 불었으면 좋겠다

풀피리나 불었으면 좋겠다

하품이나 늘어지게 불었으면 좋겠다

트럼펫이나 아코디언도 좋겠지

일년치 통화기록 정도로

내 머리를 재단해보겠다고

몇년치 이메일 기록 정도로

나를 평가해보겠다고

너무하다고 했다

 

내 과거를 캐려면

최소한 저 사막 모래산맥에 새겨진 호모싸피앤스의

유전자 정보 정도는 검색해와야지

저 바닷가 퇴적층 몇천 미터는 채증해놓고 얘기해야지

저 새들의 울음

저 서늘한 바람결 정도는 압수해놓고 얘기해야지

그렇게 나를 알고 싶으면 사랑한다고 얘기해야지,

이게 뭐냐고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송경동, 창비. 200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08/11 14:56 2011/08/11 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