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일(월) 바람 셈
 
드디어 조립이다. 가만 두면 세워둔 기둥이 넘어질 만큼 바람이 세지만. 더 이상 늦출 만큼 시간도 많지 않고. 더 깎을 부재도 없으니. 꼭 사개부리로 다림보기를 하진 않더라도 기둥을 세워야 한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씹는다고. 방법은 수평자를 이용하는 것. 처음 두어 개까진 샘이 옆에서 봐주며 방법과 요령을 알려주는데. 서너 개를 하고 나니 그때부턴 일이 척척 진행될 만큼 빨리 터득들을 한다.
 
아침 출석 부르고 오늘 할 일을 설명할 때. 오전에 기둥을 다 세우고 오후엔 비계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는데. 어째 기둥을 절반이나 세웠을라나, 다들 일찌감치 식사하러 가잔다. 시계를 보니 얼추 12시다. 하는 수 없다. 일단 먹고 해야지.
 
새로운 작업을 해서 그런지 점심을 먹고 와도 꽤 사람이 많다. 덕분에 작업도 속도를 내고. 비계는 사방을 다 설치하진 않기로 한다. 어차피 남은 교육시간으로 보건데 서까래를 모두 다 걸기도 어렵고. 대보나 종보는 크레인을 쓰기로 했으니.
 
그래도 비계를 다 설치하진 못했다. 사람은 많으나 일손은 여전히 거기서 거기라. 아쉽지만 오늘은 기둥 세우고 보아지와 장혀까지 올린 것. 그리고 비계를 절반 넘게 해 놓은 것. 거기까지다. 
  
<기둥세우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① 일단 기준이 될 기둥을 주초위에 올려놓고 주초 십반과 기둥 십반을 맞춰 세운다.
② 두 쪽 면 쐐기를 밖아 가며 수평자를 이용해 수평을 맞춘 후 레벨기로 기준선을 정한다.
③ 기준선이 정해지면 모든 기둥이 같은 높이를 갖도록 레벨기와 곡자로 나이를 매긴다.
④ ③에 매겨진 나이대로 기둥들에 그랭이를 뜨고, 그랭이 선대로 그레발을 잘라낸다.
⑤ 기둥들을 세우면서 버팀목을 대 기둥이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5월 21일(화) 바람 셈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근 한 달 여간 치목한 부재들이 다 올라갔다. 단 하루만에. 그것도 오전 10시가 조금 넘은 시간에 시작해 4시가 안 돼 끝났으니. 점심 먹은 시간까지 빼고 나면 불과 너덧 시간 만이다.
 
다들 얼추 집 모양이 되가니 뿌듯해들 하기도 하고. 오며가며 지나는 사람들도 좋은 구경이라고 보고 간다. 마지막 종도리를 결구시키고는 기념사진도 찍고.
 
내일부턴 서까래도 걸고, 박공이며 평고대, 부연, 개판까지 걸면. 새삼 다음 주면 끝이라는 게 실감난다. 하지만 한 주만 더 있었더라면 다른 한 쪽도 마저 끝낼 수도 있고. 해체까지도 해볼 수 있을 터인데. 조금 아쉽기도 하다.
 
게다가 부재가 하나씩 올라갈 때마다. 그리고 기념사진을 찍으며 마음 한편이 계속 허전해지는데. 분명 집을 다 못 지어서 생기는 감정이 아니다. 대체 무엇 때문일까.   
 
<조립 순서>
기둥 → 보아지 → 장혀 → 대들보 → 동자주 → 오량보아지 → 오량장혀 → 오량보 → 주심도리 → 오량도리 → 대공 → 종장혀 → 종도리
 
* 장혀와 도리는 양쪽에 암컷 장부가 있는 것부터 올린다.
* 대공은 수평자를 이용 수직으로 세우고 버팀목을 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5월 22일(수) 맑음
 
종도리까지 올리고 난 후 다시 다림보기를 해야 하는데. 장혀며 도리를 짜맞추는 과정에서 기둥이 틀어질 수도 있고. 길이(도리)방향 부재 치목 시 선을 죽이지 않아 전체 길이가 늘어났을 수도 있기 때문이란다. 그때서야 샘이 어느 땐 선을 살리고 어느 땐 선을 죽이라고 했던 말이 떠오르며 무릎이 탁 쳐진다. 결국 집 뒤편은 길이가 조금 길어졌음을 확인했다. 현장에선 종종 이 작업을 빼먹고 가는 경우도 있다는데. 그렇게 되면 집이 전체적으로 어긋나게 된단다. 그러고 보면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순서다. 약식으로 네 귀퉁이 기둥만 다림보기를 하고 버팀목도 다시 보강해서 박으니. 얼추 길이도 맞고 틀어진 것도 잡혔다.
 
오후엔 오랜만에 대패질을 했다. 이제 대패질은 끝이라 생각했는데. 평고대를 치목해야 하는 일이 남았던 것. 먼저 면대패로 면을 잡은 후 홈대패로 개판이 걸릴 홈을 파내고. 이어서 부연이 올라갈 자리를 대패로 잡아 주면 되는데. 역시나 배가 약간 부르게 대패질이 됐다. 보기엔 제대로 된 것도 같았는데 일명 왔다갔다 자(이동 스퀘어)로 확인해보니. 음 역시 쉽게 되는 일이 없고, 뭐든 일단은 확인을 해봐야겠다. 쉬엄쉬엄 홈대패도 써보고 자동대패도 하고. 쌓인 톱밥도 정리하니 또 집에 가야 할 시간이다. 시간 참 빨리도 간다.
 
* 다림보기를 할 때에는 바깥쪽 기둥부터 본다.
* 길이(도리) 방향의 부재를 치목할 경우에는 선을 죽여야 한다(먹선을 반은 살리고 반은 없애야 하는데 실제 그렇게 하기는 어려우니 약간 선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집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 주먹장으로 결구한 곳에 꺽쇠를 박으면 튼튼하다.
* 평고대는 보통 2치 5푼 × 3치 각재를 사용한다.
 
5월 23일(목) 맑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진부는 한겨울 추위였다. 대패질을 할 땐 그래도 좀 나았지만. 쉴 땐 어김없이 난로가로 사람들이 모였다.
 
4월 진부는 여전히 겨울 날씨였다. 강릉은 개나리가 피고 벚꽃이 져도. 진부엔 여전히 찬바람이 쌩생. 비닐하우스에서 나오기가 여간 쉽지 않았다.
 
5월 진부는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불과 3주 전만 해도 초겨울 날씨였는데. 2주 전엔 완연한 봄 날씨. 이번 주는, 초여름 날씨다. 어제, 그제 이틀 쌓아놓은 비계 위에서 작업을 하는데. 자주 쉬지 않으면 힘들 정도.
 
오늘 진부 날씨는, 연무가 잔뜩 낀데다 아침부터 초여름 날씨. 어쩔 수 없다. 옥외실습실 그늘에서 평고대 치목을 위한 장부 만들기 연습과 서까래 옮기기부터 해놓고.
 
되레 해가 뜨니 바람도 선선히 불고 아침보단 덜 후텁지근한 느낌. 점심 먹고 본격적으로 서까래를 걸기 시작해 저녁 끝날 때가 되니. 얼추 장연을 절반 넘게 걸었다. 중간 중간 참 많이도 쉬면서 했는데도.
 
<장연 걸기>
① 받을장이 양쪽으로 있는 평고대를 걸기 위해 집 중앙으로부터 좌, 우로 적당한 간격으로 서까래를 건다.
* 서까래를 도리와 결구할 때 못(또는 피스 못)은 서까래와 직각이 되도록 해서 박는다.
* 도리를 올리기 전에 서까래가 걸릴 자리(보통 1자 간격)를 미리 정해두면 작업하기 편리하다.
* 서까래가 걸릴 위치는 집의 중심에서부터 좌, 우로 잡아 나간다. 
② 걸린 서까래 위에 평고대를 건다. 이때 평고대의 높이가 일정한지, 앞, 뒤로 나온 간격은 일정한지 확인한다.
③ 집 중앙 서까래를 건다.
④ 맨 끝 서까래(박공을 박을 서까래)를 건다.
* 서까래를 거는 동안 평고대가 위, 아래로 앞, 뒤로 간격이 일정한지 계속 확인한다.
⑤ 처음 걸은 서까래와 중앙 서까래 사이, 처음 걸은 서까래와 맨 끝 서까래 사이 중간 서까래를 건다.
⑥ 이후 서까래 역시 양쪽 서까래 중간부터 걸어 나간다.   
 
5월 24일(금) 무더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침부터 푹푹 찐다. 남은 장연을 마저 걸어야 하고. 단연은 전부 걸지는 않더라도 박공을 걸고 목기연도 박아보려면 몇 개는 걸어야 하는데. 날씨가 이러니 일하기 쉽지 않다. 조금 일하고 그늘에 피하는 것도 한두 번. 개판을 박다가 옥외실습장에서 할 수 있는 일부터 하기로 한다. 치목해 놓은 단연 몇 개를 꺼내 길이를 맞춰 다시 치목하고. 평고대도 마저 만들고. 만들어 놓지 않았던, 박공과 붙는 부연도 만들고. 그렇게 쉬엄쉬엄, 이런 얘기 저런 얘기 나누며 일하다. 더위가 한풀 꺾이고 바람도 조금 불 때쯤 남은 장연과 새로 다듬어온 단연을 거니 한결 집 모양이 나온다. 이제 부연, 박공과 목기연을 걸고 적심도리만 올리면 모든 교육과정이 끝난다. 모든 부재를 다 올리지는 못하지만 얼추 남은 시간 내에 해볼 수 있는 건 다 해보는 셈이다.
 
* 개판은 개판 양쪽 끝과 개판홈이 서로 맞닿도록 해서 못 머리를 조금 남긴 후 구부려서 박아 고정해야 한다(나무가 수축해도 쪼개지지 않음).
* 서까래 간격이 1자 이면 개판은 5푼 정도 적게 한다(서까래 휜 것에 맞춰 개판을 위, 아래로 움직이며 조정해야 하기도 하고 못을 박을 자리도 필요하기 때문).
* 단연과 만나는 장연 부분은 도리 중심선에 맞추고 장연이 수직이 되도록 해서(도리 중심선과 수직이 아님) 잘라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5/26 09:29 2013/05/26 09:29
4월 22일(월) 맑음
 
모처럼 봄 날씨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눈이 오네, 영하로 떨어졌네, 달력 숫자만 4월 중순이었지 날씨는 11월쯤 이었는데. 오늘은 아침부터 벌써 공기가 다르더니 낮엔 푸근하다 못해 나른하게 만든다. 자칫 끌 손질하느라 꾸벅꾸벅 졸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치우지 못했던 대패 청소에 나섰다. 처음 시작할 땐 저 많은 걸 언제 다 치우나 싶었는데. 여럿이 달라붙어 포대에 넣고 나르고 하니. 저녁 끝날 때 쯤 되니 얼추 깨끗한데. 그러고 보니 마음 한 구석에 쌓인 고민과 걱정도 얼추 정리되는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 23일(화) 흐리고 비
 
서까래를 치목할 때였던가. 나무를 깎을 땐 아무 생각 없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던 것 같다.  맞다. 생각이 많을 땐 되레 나무를 깎으면 된다.
 
주말, 어제까지 이래저래 생각을 많이 했더니 의욕이 생기질 않는데. 이럴 땐 그저 나무를 깎으면 정리가 되겠거니. 도리로 쓸 나무를 우마에 올려놓고 홈대패로, 전기대패로 깎으니. 그제야 조금씩 어떻게 해야 할 지 마음이 정해진다.
 
그렇게 한눈 판(?) 사이 다른 조 하는 일들을 보니 도리 주먹장 맞춤을 위해 숫장부와 암장부를 파내고 있다. 또 숭어턱도 따내고 있다. 이런 한 발, 아니 두 발 늦었군. 서둘러 샘을 모셔놓고 숫장부를 만들기 위해 밑그림을 그리고 체인톱을 들이미는데.
 
음. 역시 쉬운 일이 하나도 없군. 선을 보고 톱을 넣으니 톱날이 비스듬히 들어가네. 다시 톱날을 제대로 넣어 보는데, 이런 벌써 어디는 배가 부르고 어디는 더 깎이고. 살리라는 선은 닿을 듯 말 듯. 간당간당 없애라는 선은 많이 남고.
 
안 되겠다. 내일부턴 바짝 정신 차리고 다시 시작해야겠다. 이틀 어영부영했더니 금세 티가 나니.
 
4월 24일(수) 맑음
 
지난주까진 대패로 하는 작업이 많았다면 이번 주부터는 톱을 사용하는 일이 잦다. 어제 한 도리 숭어턱, 숫장부, 암장부 모두 체인톱으로 파내고 끌로 마무리를 했다. 그리고 오늘은 종보-오량보 또는 마룻보-머리 부분과 도리, 장여와 맞물리는 곳을 따내기 위해 체인톱을 써야했다.
 
물론 샘이 시범을 보여주고 연습이 필요하다 싶은 부분은 따로 반복하는 순으로 진행이 되겠지만. 일단 딱 봐도 쉬워 보이진 않다. 아직까진 톱을 사선으로 넣는다던가, 수평선을 맞춰 잘라내는 일이 익숙하지가 않아서다. 이럴 땐 그저 부단히 연습하고 몸에 익히는 게 중요한데.
 
나무도 넉넉하지 않고 또 톱 쓰는 게 위험한 일이라 함부로 하기도 뭐하고. 암튼 수업시간에라도 기회가 되면 자꾸 톱을 써봐야겠다. 그래야 뭐든 잘라내도 잘라내고, 따내도 따낼 것이 아닌가.
 
4월 25일(목) 흐리고 비
 
처음 서까래를 깎고 도리를 치목할 때까진 대패가 중요하구나, 생각됐는데.
 
어제 체인톱에이어 오늘 원형톱. 물론 전동공구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샘이니 그러하겠지만. 보 머리를 만들어 내거나 도리와 장여가 얹힐 곳을 따내는 것까지 톱으로 모든 걸 해내니.
 
이런, 대패도 대패지만 톱이 더 중요하군.
 
하지만 대패보다 일단 돌아가는 모양새가 무섭기가 이만저만 아니니. 샘은 한 손으로 작업을 할 정도로 힘이 필요 없다고는 하지만. 몸은 경직되기 일쑤요. 톱은 맘대로 가질 않고 삐뚤빼뚤. 그나마 체인톱보단 원형톱이 쬐끔, 아주 쬐끔 쉬울 뿐 이도저도 쉽지가 않다.
 
4월 26일(금) 흐림
 
오전 내내 고역이다. 지난주까진 그래도 중간까진 따라갈 수 있었는데. 오늘은 영. 게다가 날씨마저 꾸물꾸물. 심난한 마음에 몸까지 축 처진다. 게다가 오후엔 작업 속도가 느린 탓에 샘이 나머지 종보 2개 모두 보머리를 만들어 톱을 써볼 기회가 두어 번 밖에 없었다. 이래저래 아쉬운 금요일이다.
 
* 체인톱 앞코를 사용할 때는 코 2/3 아래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하면 톱이 튀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 체인톱을 수평으로 사용할 때는 톱에 부착된 수평계나 곡척 등을 이용해 수직을 맞추면 작업하기가 쉽다.
* 원형톱은 전진용이므로 가급적 후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후진해야할 때에는 톱을 들었다 놓아다 하면 조금씩 후진시킨다.
* 끌작업은 처음 파낼 곳을 정확히 수직 또는 수평으로 해놓으면 작업하기 쉽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29 21:11 2013/04/29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