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2일(월) 맑음
 
모처럼 봄 날씨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눈이 오네, 영하로 떨어졌네, 달력 숫자만 4월 중순이었지 날씨는 11월쯤 이었는데. 오늘은 아침부터 벌써 공기가 다르더니 낮엔 푸근하다 못해 나른하게 만든다. 자칫 끌 손질하느라 꾸벅꾸벅 졸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치우지 못했던 대패 청소에 나섰다. 처음 시작할 땐 저 많은 걸 언제 다 치우나 싶었는데. 여럿이 달라붙어 포대에 넣고 나르고 하니. 저녁 끝날 때 쯤 되니 얼추 깨끗한데. 그러고 보니 마음 한 구석에 쌓인 고민과 걱정도 얼추 정리되는 듯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월 23일(화) 흐리고 비
 
서까래를 치목할 때였던가. 나무를 깎을 땐 아무 생각 없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던 것 같다.  맞다. 생각이 많을 땐 되레 나무를 깎으면 된다.
 
주말, 어제까지 이래저래 생각을 많이 했더니 의욕이 생기질 않는데. 이럴 땐 그저 나무를 깎으면 정리가 되겠거니. 도리로 쓸 나무를 우마에 올려놓고 홈대패로, 전기대패로 깎으니. 그제야 조금씩 어떻게 해야 할 지 마음이 정해진다.
 
그렇게 한눈 판(?) 사이 다른 조 하는 일들을 보니 도리 주먹장 맞춤을 위해 숫장부와 암장부를 파내고 있다. 또 숭어턱도 따내고 있다. 이런 한 발, 아니 두 발 늦었군. 서둘러 샘을 모셔놓고 숫장부를 만들기 위해 밑그림을 그리고 체인톱을 들이미는데.
 
음. 역시 쉬운 일이 하나도 없군. 선을 보고 톱을 넣으니 톱날이 비스듬히 들어가네. 다시 톱날을 제대로 넣어 보는데, 이런 벌써 어디는 배가 부르고 어디는 더 깎이고. 살리라는 선은 닿을 듯 말 듯. 간당간당 없애라는 선은 많이 남고.
 
안 되겠다. 내일부턴 바짝 정신 차리고 다시 시작해야겠다. 이틀 어영부영했더니 금세 티가 나니.
 
4월 24일(수) 맑음
 
지난주까진 대패로 하는 작업이 많았다면 이번 주부터는 톱을 사용하는 일이 잦다. 어제 한 도리 숭어턱, 숫장부, 암장부 모두 체인톱으로 파내고 끌로 마무리를 했다. 그리고 오늘은 종보-오량보 또는 마룻보-머리 부분과 도리, 장여와 맞물리는 곳을 따내기 위해 체인톱을 써야했다.
 
물론 샘이 시범을 보여주고 연습이 필요하다 싶은 부분은 따로 반복하는 순으로 진행이 되겠지만. 일단 딱 봐도 쉬워 보이진 않다. 아직까진 톱을 사선으로 넣는다던가, 수평선을 맞춰 잘라내는 일이 익숙하지가 않아서다. 이럴 땐 그저 부단히 연습하고 몸에 익히는 게 중요한데.
 
나무도 넉넉하지 않고 또 톱 쓰는 게 위험한 일이라 함부로 하기도 뭐하고. 암튼 수업시간에라도 기회가 되면 자꾸 톱을 써봐야겠다. 그래야 뭐든 잘라내도 잘라내고, 따내도 따낼 것이 아닌가.
 
4월 25일(목) 흐리고 비
 
처음 서까래를 깎고 도리를 치목할 때까진 대패가 중요하구나, 생각됐는데.
 
어제 체인톱에이어 오늘 원형톱. 물론 전동공구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샘이니 그러하겠지만. 보 머리를 만들어 내거나 도리와 장여가 얹힐 곳을 따내는 것까지 톱으로 모든 걸 해내니.
 
이런, 대패도 대패지만 톱이 더 중요하군.
 
하지만 대패보다 일단 돌아가는 모양새가 무섭기가 이만저만 아니니. 샘은 한 손으로 작업을 할 정도로 힘이 필요 없다고는 하지만. 몸은 경직되기 일쑤요. 톱은 맘대로 가질 않고 삐뚤빼뚤. 그나마 체인톱보단 원형톱이 쬐끔, 아주 쬐끔 쉬울 뿐 이도저도 쉽지가 않다.
 
4월 26일(금) 흐림
 
오전 내내 고역이다. 지난주까진 그래도 중간까진 따라갈 수 있었는데. 오늘은 영. 게다가 날씨마저 꾸물꾸물. 심난한 마음에 몸까지 축 처진다. 게다가 오후엔 작업 속도가 느린 탓에 샘이 나머지 종보 2개 모두 보머리를 만들어 톱을 써볼 기회가 두어 번 밖에 없었다. 이래저래 아쉬운 금요일이다.
 
* 체인톱 앞코를 사용할 때는 코 2/3 아래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하면 톱이 튀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 체인톱을 수평으로 사용할 때는 톱에 부착된 수평계나 곡척 등을 이용해 수직을 맞추면 작업하기가 쉽다.
* 원형톱은 전진용이므로 가급적 후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다만 후진해야할 때에는 톱을 들었다 놓아다 하면 조금씩 후진시킨다.
* 끌작업은 처음 파낼 곳을 정확히 수직 또는 수평으로 해놓으면 작업하기 쉽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29 21:11 2013/04/29 21:1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종보 치목 과정> 

 
4월 15일(월) 맑음
 
샘과 저녁을 먹었다. 첫날부터 같이 점심 먹으며 챙겨주던 상가주택 숙소 사람들과 함께. 술을 안 드시는 샘을 위해(?) 푸짐한 안주-송어회, 닭볶음탕 등등-를 놓고 3시간 가까이 술도 마시고(?) 밥도 먹고, 샘으로부터 얘기도 많이 들었다. 나중엔 먼저 현장으로 나가게 된 동기 한 분과 강릉 사는 분이 함께 와 분위가 달아올랐는데.
 
아쉽게도 집에 갈 막차 시간 때문에 먼저 나서야했다.  
 
하지만 샘으로부터 좋은 얘기를 많이 들었기에 아쉽지는 않고.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곰곰 샘 말을 되짚어보니. “집을 짓는 것은, 한옥을 짓는 것은 바로 나무를 알아가는 과정이다.”라는 말은 꼭 되새겨야 함.
 
나무가 어떤 곳에서 자라 어떻게 해서 여기 이곳까지 오게 됐는지를 생각하자. 또 짧게는 십 수 년에서 많게는 반세기 이상을 자란 나무를. 단지 인간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자르고, 켜고, 다듬는 걸 생각한다면. 또 그러면서도 고마워하거나 미안해하는 것이 아니라 함부로 대하거나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건.
 
잘못돼도 크게 잘 못된 일.
 
그러니 앞으로도 항상 나무를 옮길 때고, 깎을 때고 나무에게 감사하고 미안해하며. 나무를 알아가야겠다는 마음을 가져야겠다.
 
4월 16일(화) 맑음
 
모처럼 봄 날씨다. 지난 주 내내 찬바람에 눈이 오락가락. 이게 봄인지 도로 겨울로 가는지 모를 날씨가 계속됐는데. 오늘은 바람도 잠잠해지고 기온도 높아져 완연한 봄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덕분인지, 점심 먹고 나니 모두들 노곤노곤한 몸에 작업이 평소보다 조금 늦다. 하지만 것도 잠시.
 
새로 들어온 나무들을 하나씩 우마에 올려놓고는 척척 일을 해나간다. 어느 나무는 종보로 또 어느 나무는 도리 혹은 기둥으로 쓸 것인지를 샘이 말해주면. 먹줄을 놓고 홈대패로, 전동대패로 깎아나가니. 톱밥이 허리 높이까지 쌓인 곳도 생긴다. 정해진 시간이 조금 남긴 했지만. 잠시 쉬면서 다 같이 톱밥도 치우고 날도 갈고. 급할 것 없으니 틈날 때마다 정리도 해나가야 한다. 
 
4월 17일(수) 흐리고 비 
 
작업 시작 전, 체조 후 샘이 처마물매에 대해 설명해주는 시간이 있었다. 지금 실습으로 짓는 맞배집이 4치 5푼 물매로. 이를 기준으로 해서 물매를 어떻게 잡는지 구했으나. 절반은 알아들었을까. 샘 말로는 워낙 어려운 거니 생각날 때마나 물어보고, 또 샘도 여러 번 설명하고 얘기를 할 터이니 오늘은 여기까지만, 이라고 했으나. 처마를 그려나가는 데 있어선 당체 모르겠다. 음. 이해 못하는 거는 이해 못하는 거고. 샘 설명 끝나고 다시 대패를 든다. 그래, 지금은 대패라도 잘 해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초새물매(처마물매) 잡기(1/10 축소)
- 물매는 4치~4치 5푼 사이이며, 4치 5푼 이상을 주지는 않음.
- 오량도리 거리가 6자이면, 6자에 대한 대각 거리인(곡척의 뒷면 이용) 8자 반 거리에서의 물매가 4치 5푼 물매임.
- 서까래 나온 거리가 3자 반이면 여기에 1자를 더한 거리가 추녀 길이. 즉, 4자 반.
- 서까래 굵기가 5치이면 추녀 굵기는 대략 7치 정도(약 2치~3치 굵게 함).
 
4월 18일(목) 비온 후 맑음
 
“빛이 있는 곳에 톱 길이 있다.”
“선이 있는 곳에 톱 길이 있다.”
 
오늘은 예정에도 없던 체인톱 사용 요령을 배우고 실습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냈다. 깎아야 할 나무가 아직 들어오지 않은 이유도 있지만. 여기 학교 아니면 4각, 8각, 16각으로 깎아가며 굴도리를 치목해볼 수 없듯이. 체인톱으로 판재를 켜거나, 구 또는 각 원목을 선에 맞춰 잘라내는 것 또한 지금 아니면 해볼 수 없다는 샘 생각에. 오늘 하루 종일 연습, 또 연습을 한 것이다. 게다가 다행히도 기둥으로 쓸 부재 길이가 꽤 여유가 있어 요령 피우지 않았던 사람들은 오후 내내 충분히 연습할 수 있었다.
 
4월 19일(금) 맑음
 
스케치업 시간이 끝나고 오후 시간 실습시간이 되니 사람이 절반도 안 된다. 어제 회식이 있다더니 후유증인가 싶었는데. 일부는 주말을 맞아 집으로 내려갔고 다른 이들은 서울에서 열리는 한옥포럼에 갔기 때문이란다.
 
사실 금요일이라는 시간만 아니었다면. 또 스케치업 강의만 없었다면 가보고 싶은 포럼이긴 했지만. 아직은 몸으로 익히는 게 더 낫다는 생각에 학교로 나왔는데. 생각보다 많은 동기들이 갔다니 좀 아쉽기는 하다.
 
하지만 오붓하게 모여 톱 사용법도 다시 익히고. 손대패날도 손보고. 샘이 손수 남경대패 만들라 사다 주신 박달나무 손도 보고. 나름 짭짤한 하루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4/22 21:28 2013/04/22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