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진보신당

진보신당 홈페이지에서 이런 저런 동영상과 글을 보고 기분이 좋아 응원하고 싶어졌다. 물론 내 처지가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만한 실천을 할 수 있는 상황은 아직 아니다. 그저 마음으로 응원할 뿐이다.

 

진보신당이 최근 보여주는 모습에서 볼 때, 내 느낌으로는 적어도 현실의 모순에 대한 인식과 이를 회피하지 않는 용기를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홍세화 대표의 당 통합대회 연설은 매우 감동적이었다. 그런데 이 연설문은 한편으로 적어도 내게는 매우 낯선 것이었는데, 그 자신의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일부러 감추려고 하기 보다는 솔직하게 드러내면서 소통을 시도하는 모습도 괜찮았다. 마음 같아서는 중국어로 번역을 해서 지인들과 돌려 읽고 싶은 마음까지 드는 명문이었다.

 

"기억하라. 우리가 이곳에 있음을... "

http://www.newjinbo.org/n_news/news/view.html?page_code=&area_code=&no=448&code=netfu_89053_16079&s_code=20120209113707_6761&ds_code=

 

물론 홍세화 대표에게 개인적으로 아쉬운 것은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다시 말해서 식민과 분단, 내전과 냉전, 개발독재, 민주화 등 우리 사회가 겪어온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내부적으로 추출되고 참조된 사유가 연설이나 글에 거의 부재하다는 점이다. 나는 우리의 대안이 무엇인가를 고민하는데 이러한 역사적 사유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실의 추동력을 구체적/현실적 모순에서 끌어내는 것이 진정한 정치의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진보신당에 희망을 걸 수 있지만, 그 대안을 만들어가는 과정에는 이와 같은 '민족'적 역사 현실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 우리는 전세계적으로 전지구화된 자본에 대응하여 세계적인 수준에서의 자본주의의 극복이라는 공동의 역사적 과제를 마주하고 있지만, 우리가 만들어갈 사회를 비롯해서 역사적 사회는 무차별적으로 무에서 와서 무로 가는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저항과 연대는 현실의 보편적 모순을 매개로 할 수 밖에 없지만, 대안은 역사적 그리고 민족적 인식으로부터 주어질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싶다. 그리고 대안은 기다려서 얻는 것도 아니고,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것도 아니며, 역사적 인식 속에서 내적 성찰을 통해서 얻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우리는 이러한 대안을 강제로 박탈당한 역사를 갖고 있다. 바로 분단과 내전, 그리고 냉전이다. 나는 우리의 좌익운동이 그동안 이 역사적 과정, 즉 망각의 역사와 왜곡된 자본주의적 현대화의 역사를 동시에 극복하는 것을 민족적 과제이자 민중적 과제로 인식해왔다고 본다. '민족'적 대안 없는 '민중'적 저항은 궁극적으로 무력화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보신당의 모습을 보면서 이전에 전리군 선생이 종강 시간에 이야기했던 말씀이 떠오른다. '악을 누르고, 선을 발양하라'. 어떤 진정성이 느껴지는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나 혼자만의 착각일 수 있지만, 정말 '소멸을 무릅쓰는 용기'에서 어떤 선함이 보인다. 새로운 좌익운동의 희망이 되기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