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진태원 선생의 '민족'론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이런 제목으로 진태원 선생님이 글을 한편 쓴 것을 오늘 읽었다. 요지는 발리바르를 따라 '민족'과 '국민'의 용어법을 다시 정리하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nation을 국민으로 번역하고, nationalism도 국민주의로 번역하는 것이 nation state의 보편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남한 또는 한반도 나아가 아시아를 이해하는데, '보편적인 것'으로 충분한가? 나는 ethnie와 '민족'의 등가성을 도출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 '민족'을 ethnie의 의미로 쓰이는 용법이 없지 않지만, 꼭 그것에 일대일대응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민족해방'과 같은 경우, 이게 ethnic liberation인가? '민족해방'에는 '국가'를 형성하지 않은 '전현대적' '공동체'의 반제국주의적 표상이 담겨져 있다. '전현대성'은 유럽적 현대성에 미달한다는 의미 보다는 아직 그러한 현대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고유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가 '민족'의 이러한 역사적 성격에 주목하는 이유는 '민족'이 '국민'으로 전환되는 역사과정을 통해, 오히려 그 개별 '국민'과 '국가'를 잘 이해할 수 있고, 그로부터 현재의 '국민' 국가의 변혁의 내재적 자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역사는 '무'에서 와서 '무'로 가는 것은 아니다. 역사의 전환을 설명하는데 그러한 '무'차별적인 보편주의적 인식은 변혁적 전망을 내부에서 찾을 수 없게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은 일정하게 '이론'적 자원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사상'적 자원으로 승화되지 않는다.

 

한반도에서 '한민족'과 같이 '민족'이라는 표현이 매우 '좁은' 의미, 이른바 '종족적 민족주의'로 쓰이는 사례가 적지 않다. 그렇지만 그러한 '포퓰리즘'적 개념규정에 따라서, 민족의 의미를 유럽어의 ethnie에 가두는 것이야말로 전형적인 학문적 식민성의 발현이다. 제3세계에서 '민족'은 국민에도 갇히지 않고, 종족에도 갇히지 않는 역사적 '고유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유성으로부터 출발해야만 우리의 주체적 인식이 가능할 것인데, 진태원 선생은 ethnie를 '민족'으로 번역하지 않고, '종족'으로 번역할 경우, "서양 학계의 이론적 진전을 몰이해하게 될 소지가 있다"고 걱정한다. 기존에 우리의 '민족'이 어떤 역사적 맥락을 가졌는지, 그러학 역사적 자원이 망각되고 제거되는 것은 상관 없다는 것이다. 이를 좀더 밀고 나가면, 우리의 모든 개념의 용법은 서구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시 배열되고 조정되어야 한다.

 

서구 이론에 대한 참조가 의미 없지 않지만, 서구 이론가들이 원하는 비서구 이론가들의 작업도 이런 것은 아닐 것이다. 서구 이론이 곧 보편 이론이고, 곧 남한과 한반도를 설명할 수 있다는 도도한 자신감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이는 학문인가? 내가 보기엔 이런 방식에는 '주체성'이 없다. 학문적 생산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고유성에 기반해서 보편-특수의 변증법에 참여하는 것이 아닐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