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문혁에서 민주를 배우다> 초역을 마치고...

그저께 조정로 선생님의 《民主課》의 초역을 마쳤다. 10월말까지가 마감이었으니 그리 많이 초과하지는 않은 셈이다. 그래서도 안 되었던 것이 이걸 마치고 박사논문 작업을 본격화해야 하는 상황도 있었다.

 

한국으로 들어오기 전에 작업을 좀 진척시키고 왔어야 했는데, 갑작스럽게 다른 일을 좀 하게 되어서 결국 작업의 90%를 8월 귀국 이후에 하게 되었다. 이런 저런 작업들과 동시에 진행되면서 다소 힘에 부치기도 했는데, 다행히 오래 끌지 않고 마무리를 지었다.

 

흥미로운 것은 작년 여름 처음 읽었을 때 포착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이번 번역을 하면서 눈에 들어왔던 것이다. 이는 당연히 그 사이 내 문제의식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아마도 내가 좀더 본격적으로 '윤리' 문제를 고민했던 것이 지난 해 가을 즈음이었던 것 같고('안티고네'의 인연으로), 시간이 흘러 그 문제의식이 이 소설과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조정로 선생님도 '죽은 자'를 이야기한다. '민주'는 살아 있는/살아 남은 자들만의 '민주'일 수 없다. 그래서는 '윤리'를 담보하지 못하고, 폭력적 관계를 재생산하게 된다. '죽은 자'가 의미 있는 것은 우리가 그들을 통해 '역사' 안에 설 수 있는 관점을 확보하게 되기 때문이다.

 

소설에서는 '농촌'과 '지식인'의 민간성으로부터 '죽음'을 역사화한다. 그 계기가 되었던 것이 '문화대혁명'이었다. 그러나 이는 '당'을 외부화하는 전략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당'을 '민족' 내부에 외치시키기 위한 원리로서의 '민주'를 제기함을 통해서 '당'을 변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여러가지 다른 흥미로운 쟁점들이 잘 형상화되어 있어서 자못 독자들의 반응이 기대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