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역사화의 방법

藝術人生님의 [80년대의 역사화] 에 관련된 글.

 

둘째날 토론은 상대적으로 더욱 흥미로왔다. 전체상을 그리기 위한 방편으로서 우선 가능한 부분을 드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90년대 후반 학번인 나에게 많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논의들이었다. 덕분에 또다시 '불청객'으로 몇 마디 고언을 드렸는데, 다행히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계신 분들이 좀 있었던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우선 80년대 지식/사상/실천 운동의 당사자들이 90년대 이후 담론의 진화의 주역이 되었고, 다시 그 주역들이 80년대를 재역사화한다는 측면에서 일정하게 곤경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이는 80년대의 결과물로서의 90년대의 지식, 담론, 개념들 및 그것의 진화로서의 현재적 지식 상황이 80년대를 역사화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느냐는 문제로 정식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의 한계는 80년대의 당사자로서 80년대와 겹쳐 있으면서도 당사자들과 변별되는 '과거'의 것을 전제하고, 나아가 90년대적인 어떤 것과 다시 스스로를 변별함으로써 주어지는 상대적 정체성에 의한 시좌의 축소이자 대상의 환원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나는 이를 '역사적 중첩으로서의 80년대'라는 분석틀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는데, 그것은 87년을 하나의 기원으로서 갖는 '민주화담론'의 역사적 형성, 80년대를 경과하면서 형성된 '분단체제'의 실질적 공고화의 표지로서의 남북한 유엔동시가입(1991), 그리고 80년대 말에 변곡점을 형성한 민족해방과 사회주의적 노선의 좌절 및 변형으로서 동구사회주의의 붕괴와 중국사회주의의 전환(이른바 6.4체제)라는 삼중의 역사적 구조를 주체적으로 해명하는 시좌의 도입과 분석 방법의 개발을 의미한다.

 

아마도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는 이와 같은 역사적 복합으로서의 시좌와 결합될 때 의미를 획득할 것으로 보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