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 읽지 못했지만
내게 가장 많은 관심과 흥미를 일으키는 철학자가 바로 데리다다.
최근까지 그의 작업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개념이
바로 '불가능성'(the impossible)이었다.
페넬로페 도이처가 쓴 'HOW To READ 데리다'(웅진 지식하우스)
(지나가는 김에 말하자면,
이 책 역자인 변성찬 씨가 역자 후기에서
들뢰즈와 데리다가 각각 유물론과 관념론 진영에 속한다
고 내린 평가엔 결코 동의할 수 없다.
데리다를 얼마나 읽었는지 모르지만 그 용기가 부럽다.
이와 함께 'negotiation'을 '타협'이라고 번역한 것도 문제다.
통상 'compromise'를 타협이라 새기고, 'negotiation'은 교섭/협상으로 새긴다.
이 논리는 노조가 자본가와 '교섭/협상'하는 것이 곧 자본가와 '타협'하는 것이라는 얘기와 같다.
자신이 텍스트 '외부'에 주목하는 보다 혁명적인 진영에 속한다고 뽐내는 거야 본인 자유지만
그러려고 다른 이의 주장을, 그것도 역자가 이런 식으로 폄하하는 것은
내 상식으론 참 이해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페넬로페 도이처도 참 좋아하는 철학자인데
이 역자 후기 땜에 짜증이 확 났다.)
를 읽다가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물론 틀릴 가능성이 많겠지만...
칸트와 데리다 모두에게 불가능성은 '이상'(the ideal)의 문제와 관련된다.
하지만 칸트에게서 불가능성은 실재적/현실적 차원의 문제이지만,
데리다에게 불가능성은 상상적/상징적 차원의 문제가 아닐까?
즉 칸트에게 있어 불가능성이란 실재/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것이며,
다만 상상/상징계에서 규제적 이념(regulative idea)으로 역할할 수 있다.
반면 데리다에게 있어 불가능성이란 실재/현실에서는 (매양, 또는 드물게) 일어나는 것이지만,
기존 상상/상징계의 지평, 이 지평 안에서 우리가 '가능한 것'(the possible)으로 체험하는
'정상적인 것'(the normal)을 깨뜨리는 효과를 낸다.
예컨대 과거 성수대교나 삼풍백화점이 무너진 것은
실재/현실적으로는, 또는 물리 법칙 면에서 보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사회적인 상상/상징계에 따라 볼 때 '있을 수 없는 일', 곧 불가능한 일이 된다.
예컨대 우리가 '말도 안 돼!(That's impossible!)'라고 외칠 때 우리가 체험하는 바로 그것을
데리다는 '불가능성'이라고 부르는 게 아닐까?
(이건 지젝이 이야기하는 것과도 유사하다.
사실 지젝이 데리다(또는 알튀세르)를 폄하하지 못해 안달하는 것이 이해가 안 되면서도,
그가 하는 모든 이야기가 결국 다른 누군가가 한 이야기라는 데서 오는 불안의 결과라면
이해가 안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불가능성은 체험할 수 없는 것이기는커녕
우리가 (매양, 또는 드물게) 체험하는 것이다.
여기서 체험/경험의 문제가 나오는데
내가 데리다에 관해 가장 모르는, 그의 중요한 지적 원천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현상학
의 비판적 전유가 여기에서 중요한 것 같다.
좀 더 고민할 문제.
시간이 없어서 오늘은 이만.
Posted by 아포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