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짜증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것보다 더 강력하다. 사실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이밖에 별로 없는 것이다. 자신은 어떤 지적인 영향으로부터도 완전히 해방되어 있다고 믿는 실무가들도, 이미 고인이 된 어떤 경제학자의 노예인 것이 보통이다. 허공에서 소리를 듣는다는 권좌에 앉아 있는 미치광이들도 그들의 미친 생각을 수년 전의 어떤 학구적인 잡문으로부터 빼내고 있는 것이다."

- 케인즈,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中

 

-------------

 

난 철학을 즐겨 읽는다. 거기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철학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녀들을 이해하는 데 철학이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철학을 외재적으로 거부하거나,

기존 철학을 '극복하는' '새로운' 철학(많은 경우 스스로가 철학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을 제시한다면서, 사사건건 다른 철학 전통이나 사조를 비판하는 이들일수록

기존의, 그것도 아주 낡은 철학에, 완전히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많다.

 

어제오늘 얘기는 아니다.

예컨대 1960년대 전후, 경제주의적이고 헤겔주의적이지 않은 맑스를 주장하던

일군의 '인간주의적'(humanist) 맑스주의자들에게

알튀세르가 던진 가장 강력한 폭탄은,

그의 비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알튀세르가 번역한 포이어바흐의 책,

인간주의적 맑스주의자들의 주장을 몇백 년 전에 훨씬 더 정밀하게 전개하던 그 책이었다.

그 책을 읽고 그들은 얼마나 부끄러웠을까!

 

니체가 나에게 가르쳐 준 가장 소중한 교훈은

'원한'에 입각한 반대나 정치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의 가장 탁월한 니체주의자 중 한 명인 들뢰즈를 따른다고 주장하면서

원한의 정치가 스며 들어 있지 않은 글은 거의 쓰지 못하고,

자신이 스탈린주의를 일찍부터 비판했다는 자부심 바로 그것 때문에('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자신의 사고가 여전히 뿌리 깊숙이 스탈린주의를 닮아 있다는 걸 맹목하는

이들을 보면, 참으로 안타깝다.

특히 맑스주의의 '국가주의'를 비판하면서 비국가적 '공동체'를 대안으로 내세우는 이들은,

저 국가주의의 원흉 '헤겔', 나아가 '독일 관념론'이 정확하게 동일한 논리를 구사한다는 점

(헤겔은 국가가 '기계'가 아닌 '공동체'인 한에서만, 진정한 국가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을 알는지 모르겠다.

 

그런 이들을 만날수록

나는 점점 더 철학 독서에 집착하게 된다.

나 자신도 혹시 저러고 있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커지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이 읽고, 더 적게 쓰게 된다.

또는 쓰더라도, 항상 누구에 관한 주석으로만 쓰게 된다.

이런 까닭에 나는 그들이 밉다.

나의 역량과 활동력을 가장 줄이는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Posted by 아포리아

2008/12/14 17:44 2008/12/14 17:4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blog.jinbo.net/aporia/rss/response/31

Trackback URL : http://blog.jinbo.net/aporia/trackback/31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 176 : Next »

블로그 이미지

당연하잖아 비가 오면 바다 정도는 생긴다구

- 아포리아

Tag Cloud

Notices

Archives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88696
Today:
13
Yesterday: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