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하나를 흔히 '개인과 국가' 사이의 갈등이라고 말하곤 한다.
하지만 더 근원적인 갈등이 있다. 그것은
'일차적 공동체와 이차적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다.
왜냐하면 '개인'이란,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일차적 공동체에서 해방되어 기존의 공동체가 제공하는 자원을 초과하는
새로운 자원들을 제공해 주는 새로운 관계들 및 공동체들과 접속하고
그 자원들을 독특하게 결합시켜 자신만의 개인(성)을 만듦으로써 비로소 '획득'되는 결과이며,
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일차적 공동체와 이차적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있고 나서야 비로소
개인이라는 자율적 존재와 국가라는 대표적인 이차적 공동체 사이의 갈등이 있는 것이다.
한 종족, 한 가문, 한 신분 따위의 일차적 공동체에 절대적으로 소속될 때
강한 의미에서의 개인(성)이란 존재할 수 없다.
이차적 공동체는, 이 역시 공동체인 한에서, 개인(성)의 가능성을 축소할 것이지만,
(물론 공동체가 제공하는 자원이 없다면 개인(성)은 아예 존재할 수 없다.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바로 언어다. 언어 없는 개인, 아니 인간을 상상할 수 있을까?)
그것이 일차적 공동체와 맞서는 한에서는, 개인(성)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바로 이 같은 모순이, 국가의 모순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를 이룬다.
이로부터 몇 가지 중요한 결론이 따라 나온다.
국가 이전의 공동체를 이상화하는 낭만적 아나키즘은
자신들의 주장/바람과는 달리 전혀 개성화를 촉진할 수 없다.
그/녀들은 개인화/개성화의 역사적 조건, 그것과 국가의 (모순적이지만) 내재적인 관계,
또 일차적 공동체가 개인(성)에 가하는 제약을 제대로 사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들은, 오늘날 국가의 위기가 개인(성)의 해방으로 이어지기는커녕,
개인(성)의 축소와 한층 배타적인 일차적 공동체의 복귀를 낳는 이 역설 앞에서
다만 당황스러워하거나 고개를 돌릴 뿐이며,
또는 이 위기에 처한 국가의 퇴행과 폭력을 알리바이 삼아
자기 주장이 정당하다고 주장할 뿐이다. 그러나 공동체와 개성화의 사고에 관한 한
낭만적 아나키즘은 단연 근대 국가보다 퇴행적이다.
물론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대 국가라는 역사특수적 제도를 찬양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일차적 공동체를 해체하되, 이로써 공동체(가 제공하는 자원) 없는 원자로 퇴행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맑스가 말한 이중적 'free of', 즉 농노라는 속박에서 벗어났지만,
동시에 기존의 생산/생존 수단을 빼앗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아니라, 이를 더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자원이 풍부한 공동체의 창설로 연결시키는 것,
(근대라는 시대에, 민족 국가의 창설은 바로 이런 사례 중 하나였다)
하지만 물론 그렇게 만들어진 공동체가 부과하는 역사적 제약을 다시 넘어서려는
끊임없는 봉기-구성의 '운동'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우리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이 운동이 결코 근대 국가 안에 기입되어 있는 역사적 해방의 경험보다
'더 작은' 해방을 지향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는 점이다.
더 많은 보편성만이 더 많은 개별성/독특성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 푸코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우리에게 제기되는 동시에 정치적.윤리적.사회적.철학적인 문제는, 개인을 국가와 그 제도들로부터 해방시키려 하는 게 아니라, 우리 자신을 국가와 거기에 결부된 개인화/개성화 유형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형태의 주체화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나는 그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우리에게 문제는,
근대 국가 이전 또는 그와 분리된 더 작은 해방과 개성으로 퇴행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 국가가 표상하는 이차적 공동체에서보다 더 많은 해방과 개성을 향유할 수 있는
더 보편적인 공동체, 더 정확히 말하면 공동체들 간의 '관계',
따라서 더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다원적인 주체화의 궤적과 자원을 구성하는 운동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아포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