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의식이라는 말

은 때와 곳을 달리하며 등장하죠. 이렇게 사용되기도 한답니다.

 

보라.님의 [어떤 혐오스러움에 대하여] 에 관련된 글.



좋은 이야기였어. 맑스주의가 여성주의처럼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의식들(사상, 운동 등을 두루 묶어)을 받아안아 지평을 넓혀야 한다는, 뭐 그런 말이었어. 물론 좀더 심오한 철학적 고민을 담고 조심스레 내놓은 말이었어요. 이렇게 정리하는 건, 일단 이만큼이면 되기도 하거니와 내가 그 고민의 궤적들을 쫓아가지 못한 때문이겠지.

 

그런데 나는 그게 좀 마음에 걸렸던 거야.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의식들이라... 그리고 강의의 내용들을 주욱 따라가다보면 그건 그저 실수 정도이지 않을까 싶었어. 그래서 얘기했지.

 

여성주의는 오래된 문제의식이고 오히려 맑스주의자들이 그 문제의식들에 주목한 것이 최근의 일이라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맑스주의의 성찰 혹은 반성은 그렇게 시작되어야 할 것 같아요.

 

라고 말하면 맑스주의 페미니스트 언니들이 서운해할 수도 있지만 내가 하려던 말을 그녀들은 어쩌면 더욱 절실히 이해하겠지 하며 꺼낸 얘긴데.

 

여성주의가 오래 전부터 있어왔고 그런 사람들도 있어왔지만 사실 여성주의운동이 이렇게 사회에 드러난 건 1968년 즈음이라고 할 수 있죠.

 

라고 하시네. 그러니까 제 말은 그렇게 보는 것 자체가 여성주의와 여성운동의 역사에 대한 부족한 이해인 것 같다는 건데. 게다가 '뒤늦게서야' 운동으로 터져나왔다는 사실은 다그치듯 말할 것이 아니라 함께 가슴아파해야 하는 거 아닌감. 그만큼 여성들이 처해있던 사회경제적 조건들-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포함한-이 남성과 달랐다는 거구 아마도 그래서(?) 맑스주의자들은 '보지 못했던' 거겠죠.

 

그 말은 마치 지하철노조는 한때 잘 나갔는데 지하철에서 청소하는 여성노동자들은 왜 그렇게 못 싸우냐는 말과 비슷하게 들릴 수 있겠네요.

 

라고 말한 건 정녕 나의 오바인가.

 

그런 피해의식은...

 

별로 더 듣고 싶지 않아졌어. 그리구 이야기가 주욱 이어지다가 서러움의 정서, 뭐 이런 것은 노동자에게도 있었구 등등으로 휘어졌다가 다시 이어지는 등등등.

 

그럴 때는

 

그냥

웃지요.

 

여성주의자들이 기대하는 것은 여성주의에 대한 호감이나 선망이 아니라 학습과 실천이라는 얘기를 하고 싶었어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2/28 14:46 2006/02/28 14:46
태그 :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aumilieu/trackback/360

<트랙백>

  1. 미류님의 [피해의식이라는 말] 에 관련된 글. &quot;맑스주의와 여성주의가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운동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에서 출발해야&quot;한다는 미류의 지적에 공감하면서....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너부리 2006/02/28 15:12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좋은 글...'피해의식'에도 역사가 있는 것인디, '피해의식'이란 말은 피해의식이 생길만한 경험의 역사가 없는 치들이 잘 써먹더라고요. 요짐은 역차별입네 함시롱 역피해의식을 보여감시롱. 맑스주의니 사회변혁이니 하는 것들은 사실은 여성들과 여성운동, 페미니즘을 자양분으로 해서 가능했다는 역사적 사실은 참으로 오래도록 외면,'은폐'되고 있는 것 같아요. 더 이상 맑스주의의 핵심 개념들이 작동하지 않고 있는 지금 여기에서도 말이죠. 공부하기 싫던차에 재미나게 읽고 갑니다. 휘리릭.

  2. 미류 2006/02/28 15:25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저도 너부리의 글 늘 재미나게 읽고 있어요. 전에 잠깐 만났을 때 얘기 더 많이 나눌 수 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삭이고 있죠. ㅎㅎ
    정말로 맑스주의와 여성주의가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운동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