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투쟁뉴스 로고를 만들어봤네

투쟁뉴스(Struggle News) 영어 방송 매주 화요일 페인라디오와 같이 나온다. 영어로 방송하고 싶다면 같이 하자.
저질적(실험적) 로고를 만들어봤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6일 6시 용산 무료 재분배 축제

이번주 토요일 6시에 용산 촛불미디어센터, 용산참사 현장에서 무료재분배 축제를 개최합니다.

낭비물, 쓰지 않은 물건, 쓰레기 더미에서 찾아뒤졌단(주었던) 유용한 무엇들을 가져와 참여하시려면 해주세요.

우리가 준비한 것은 옷, 스피커, 아디오 씨띠, 안경, 책, 등등이 포함합니다.

무료 재분베 축제로 와서 아무것나 무료로 받으세요.

선물 파티입니다.

무료 재분재 축제에서 뵙겠습니다.

자본경제, 생산/소비의 흡수, 작동적 노동, 권위적 사회체제의 파괴를 위하여 새로운 사회, 공동체, 생활을 만듭시다!


2월에 서울역에서 넷번째 무료 재분배 액션. 이제는 부흥, 재생, 회복, 부활...돌아오겠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무료 재분배하는 축제는...

이번주 토요일 아니라 다음 주 토요일에 해야 하겠다. 내가 원래 이번 주말에 할 것이라고 말해서 죄송한다. 보고서 3개를 써야 되니 힘들다.

그럼 6월 첫번째 토요일에 용산참사 현장에서 하자. 그 전에 이 행사를 다시 신고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무현

미안한데

노무현이 사람처럼 죽어버렸어

괜찮아, 애도할 일이 없어

모든 내 동지가 아닌 대통령이라는 권위들을 없애

그랬으면 너무 좋겠어

계단을 올라가서 국회를 해체

우리의 모든 동네, 근처, 촌, 마을들을

공동체적으로

급진의 민주주의적으로

자치적이면서 평등적으로

살아갔으면 어때?

권위자들은 문화적 중심에 거주하는데

여기 저기 여기 저기 거기에서 없애

우리가 새롭게 만드는 문화에서

계속 변화해가는

새로운 무화, 사회적 배열구조를 만드는

운동을 끝없이 살아갔으면 좋겠어.

노무현 안녕.

난 상관 없어. 지도자는 필요없어.

우리가 스스로 할 수 있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학교 생활

이제 학교를 더 열심히 다녀야 되기 때문에 아무것도 못하겠다.

책들을 보기, 특별한 정보를 외우기, 학문적인 이론적인 바다에서 수영하며 열심히 익사해야겠지.

너무 조용한 도서관에서 진짜 시끄럽게 외칠래. 부모님이 공부하라는 명령을 따라가냐고 적당한 삶의 진로는 어떻게 되는지를 일반적으로 설명해준 주류문화의 관습, 광고, 생활양식에 왜 빠졌냐고. 교수님이 강의를 하시면서 아주 시끄러운 웃음을 끝없이 터뜨릴래. 정상화된 사회에서 평화스럽게 걸어가는 주체와 객체들에게 잔인한 폭력적인 말을 기껍게 할래. 퇴근시에 폭력적으로 운전해가는 복잡한 버스 안에서 폭탄과 같이 토핼래.

강의, 강의, 가위, 팀풀, 팀풀, 팀풀풀이, 독서, 독서, 독성. 발표준비해야 된다는 발호한 개념에게 즉흥발표을 제안할래. 학문적 담론을 되풀이하는 것보다 서로 함부로 대화하자고.

도서관에 들어가서 열심히 죽는다.

What a whining crybab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urgent action] justice in Yongsan now!

Friends and comrades,

In Yongsan, Seoul, South Korea, we have an emergency. January 20th, 2009, 1,500 police including the Korean SWAT team made a surprise attack on comrades who were trying to resist forced evict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redevelopment” (or gentrification) program. This so-called “redevelopment” program has continued since the 1960s as an effort to transfer capital, shelter and wealth into the hands of large corporations like Samsung, Posco and Hyundai. Many people can’t afford to pay rent in these apartment complexes and buildings that these huge corporations are establishing with the support of the SMG.

After a large group of comrades who were occupying a building in Yongsan, Seoul, were surprise attacked on January 20th, 6 people were killed in a fire.

The SMG is trying to prosecute members of the National Evictee Alliance who were taking part in the occupation. These comrades are still having a sit-in struggle at the same building in Yongsan. A few months ago, the Candle Light Media Center was established in a building behind the sit-in struggle site. The media center is where many activists gather to work on media projects together.

The prosecutor’s investigation team (who were investigating the “Yongsan Disaster” in which 5 people died on Jan 20) consisted of 100 of the most elite investigators who wrote a 10,000-page investigation document. This investigation team interviewed passer-bys, the police authorities, the firefighters, the SWAT team chain-of-command, and investigated the site of the disaster. The prosecutors now have access to this 10,000-page investigation report and they are claiming that 20 members of the National Evictee Alliance are responsible for the deaths and that no police (or government) have responsibility. The court ordered the prosecutors to release the 10,000-page investigation report to the defending attorneys, but the prosecutors refused to release 3,000 pages of the document.

So far, the prosecutors have released 500 pages of the 3,000 hidden pages of the investigation report. These 500 pages have shown that the National Evictee Alliance comrades never attacked anyone, but used molotov cocktails in self-defense when police and thugs hired by construction corporations attacked. The 500 pages also show that rank-and-order police (including SWAT team) were not informed that the building contained paint thinner while the high-ranking authorities were aware of this fact when they made the decision to attack the occupied building.

The defense attorneys are suspicious that the remaining 2,500 pages provide evidence that the police and SWAT team attack was reckless and resulted in the deaths of 6 people. The trial is currently pending because the defense team is trying to take the case to the supreme court.

We need these 2,500 pages that the prosecutors are trying to hide from the defense team. We also need our right to shelter protected and not subjected to the brutal market economy.

Comrades!

Your comrades in Yongsan, Seoul need your help!

Please do something to help because this state apparatus needs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o shout at it!

I bet you can’t have a solidarity demonstration at your local Korean Embassy! Or can you?

I bet you can’t send an e-mail to the prosecutors and demand that they release the remaining 2,500 pages of the investigation report! I bet you’re way too lazy! Or maybe not?

Here’s the e-mail address of the prosecutors: proskorea@spo.go.kr
Here’s the prosecutors’ phone number: 82-2-3480-2337
Here’s the prosecutors’ fax number: 82-2-3480-2405

Please!

Signed,
Yongsan Coalition http://mbout.jinbo.net
contact: mbout@jinbo.ne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Missile-Dick Chicks & Identity Satire

At the Women’s Film Festival, I watched a film about the “missile-dick chicks,” an anarchist street theater activist group in New York city. The missile-dick chicks are a small group of friends who make “missile-dicks” out of paper mache (or something like that), strap them on, dress up in costumes and perform acts of street theater, making funny and satirical exhibitions of patriotism, nationalism, militarism and right-wing politics. During the filming, Bush was “president” so the missile-dick chicks imitated Texas accents and thereby pretended they were from Texas during street theater performances.


During the time of filming, the missile-dick chicks decided to travel the US and perform street theater in more conservative regions of the country. The film was about their travels and experiences during the project.

Now that Barack Obama has been elected “president,” the missile-dick chicks said they will not discontinue their street theater activities, but need to create and proceed with something new. As anarchists, they are not satisfied with party politics or elections, no matter what the result is. I wonder how the missile-dick chicks plan to continue satirical street theater performances in the future, especially considering how they mocked the cultural identity of Bush from Texas. How will they do identity mockeries or will they do identity mockeries with Obama? This leads to another question: what does cultural identity have to do with authoritarian politics? Wherever we find a nation-state, we find authoritarian politics, whether or not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is centralized in the hands of private or state powers (“state” is only supposed to be public, but state power is indeed private power...al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nation-states are expected to serve “public” interests and needs while “private” powers are expected to serve only themselves). There are probably many “white” Texans who practice anti-authoritarian or anarchist politics and culture. I’m critical of the attempt to satirize regional identity alongside the authoritarian right-wing politics of Bush. It reminds me of how left-wing people in Korea are currently making mockeries of the authoritarian right-wing “president” Lee Myung Bak by satirizing his identity as a “mouse” in the Chinese horoscope. I’m also a mouse, so how am I supposed to receive this satire? Wouldn’t it possibly lead me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offended or maybe even identifying myself with a commonality between the fascist myung bak and me? Using these identity mockeries can be a danger to solidarity, outreach and mutual aid politics that are fundamental to any movement carrying just a hint of anti-authoritarian or anarchist culture and organizing practices. Anarchists need to reach out, make connections and network with a diverse array of various groups in any of the continually multiplying movements that we engage in. Anarchists and anti-authoritarians can’t afford to exclude or include (an exclusion hidden within a specified inclusion?) particular identities. Not that anarchists just “can’t afford” to alienate people from a movement along the lines of identity, but that such exclusive practices are contrary to anti-authoritarian or anarchist approaches to politics, lifestyle, culture and relationships. If we are to work towards developing equitable, compatible social relationships that aren’t ridden with social privileges and power inequalities, then nobody should ever be excluded and that means nobody should ever feel inclined to exclude themselves for some particular reason. This doesn’t mean that we should compromise with everything, but that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accepted and regional or linguistic differences should not be used as a standard for exclusion whatsoever. Networks and movements like Indymedia or Food Not Bombs have branched out all around the world with many autonomous nodes in many countries and cities comprising an international network, and that’s probably because neither Indymedia or Food Not Bombs preached identity politics. I could write about this issue for a long time but I don’t want to overdo it, so I’ll go on to the next subject.

Street theater, arts and “playful activism” have become relatively popular, but I wonder how effective such tactics are in restructuring power relations and making real changes in our everyday lives. Arts and aesthetics of resistance, activism of play, subversive entertainment, etc. have historically had the tendency to assimilate to the point of becoming dominated by the very oppressions and inequities they seek to resist. For example, hip hop and punk rock are considered to be great examples of anarchist culture, but both of these subcultures have become commercialized music/fashion genres within the market capitalist record/culture industry. How can “playful” subversion sustain it’s creativity and genuine resistance without becoming normalized and swallowed up into authoritarian social system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경찰들이 용산참사 현장을 갑자기 공격했다



서울, 용산, 2009년 5월 4일 – 오후 3시에 수백많은 경찰과 강페들이 용산참사 현장으로 왔다. 경찰들이 이 전에 알려주지 않고 기습공격을 갑자기 해왔고 기자들이 없었기 때문에 대중매체에서 안 나오는 사건이자 위기이다. 강페들이 여러 가지의 무기들을 가져와서 경찰과 같이 농성천막을 파괴해버리고 남일당 건물에 침입하려고 했다. 강페가 쇠망치를 가져 아주머니의 머리를 때려서 구급차가 오고 병원에 데려갔다. 경찰과 강페들이 변기, 의자들, 탁자, 몇가지의 미술품들을 훔쳐 용산구청으로 돌아갔다. 나중에 전철연 활동가들이 용산구청으로 가서 사과를 요구했다. 용산구청이 사과했고 저녁 8시에 정도 훔친 물건들이 용산구청에서 되돌아왔다. 당일 저녁 7시에 정도 집회를 개최했을 때 경찰들이 방송차에서 계속 위협했고 용산구청이 사과했어도 사과를 절대 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교육은 뭐냐는 말


미디어스토리텔링 수업에 늦게 들어왔다. 수강신청을 늦게 했기 때문이다. 늦게 들어왔기 때문에 혼자 있었고 조가 없었다. 그래서 다미가 조에 들어오라고 초대해줬다.

수업을 끝난 후에 첫번째 조원회의를 했고 우리 조별과제, 프로젝트에 대해 정해서 마음에 들었다. 우리 조원들이 각자 다른 조원에 대한 예술품 및 자기자신에 대한 예술품을 만들어서 발표하기로 정했다. 먼저 내가 생각하다가 우리 이야기하고 생각을 나눌수록 좋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왜 좋은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냐면


  1. 우리의 적극적, 창의적, 창조적인 능력을 실험하고 수행해서 발전할 수 있다. 수동적이지 않은 적극적으로 탐험할 수 있는 것은 더 많이 배울 수 있을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험이나 무엇을 해볼수록 능력을 발전할 수 있지만 능력발전인 뿐만 아니라 자기자신을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지만 이런 능력발전이라는 것의 형식을 제기해야겠다. 무엇을 해볼수록 능력을 발전하는 것이라면 능력을 발전하기 위해서 무엇을 배타하거나 포함하게 하는가? 또한 사회적으로 정상화된 범주적인 <능력>에게 적응하는 것이가? 능력을 무엇인지를 스스로 재정의하는 것인가? 무엇을 하면서 능력발전이라는 것이 유일한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폐쇄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지 않을까?

  2. 수업과제라는 것을 혁식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고 본다. 숙고하다가 반성하다가 하는 것은 인식발전 혹은 인식해체라고 생각할까? 인식발전은 바로 인식해체인가? 잊어버리기를 통해 배울 수 있을까? 교육은 진리라는 것 혹은 객관적인 정확성을 탐색해가는 것으로 구속해놓을까? 질문의 정답을 탐색하는 것은 배우기라고 정의해놓을까? 질문의 심연 속에서 끝없게 변하는 대답이 거주하는가? 사회적으로 정상화되어서의 인식구조에서 벗어나서 인식적인 자치권을 실천하는 것은 광기로 진단할까?

  3. 우리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대우하는가라는 의문을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 방식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와 어떤 상황에 따라 주관적인 관계를 지는지를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이기도 한다. 내가 조원들을 양적으로 얼마나 알고 있는 상황인 뿐만 아니라 내가 조원에 대해 알고 있는 것 중에 내 시각에서 어떤 정보가 중요할까, 어떤 정보에 대해 말할만할까, , 등등의 우선시키는 정보, 무시하는 정보, 자기자신의 시각에서의 정보의 계급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을 것 같다. 자기자신에 대한 것 중에 무엇을 표시할까라는 의문을 궁리한 후에 정한 것이 자기자신의 가치관, 자아, 욕망, 세계관, 의식과 무의식을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젝트다.

  4.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대우하고 분배하는 것인 뿐만 아니라 정보와 관계지는 과정에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이 있다.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은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과정이 왜 중요하냐면 지배적인 교육체제에서 학생의 역할은 배타적으로 엄격히 정의해 있다. 학생이라는 주체가 자료, 교과서, 강의, 등이라는 객체를 소비하는 역할이지만 자본경제의 교육체제는 취업준비의 중심으로 작동하는 것이라서 학생은 주체이자 객체이다. 내가 지금 맑스주의에서 나온 비판을 되풀이하여 말하는 것이 교육체제 안에서 자기자신의 수동적인 역할을 취한다. 교육자료를 소비해 외워서 선생님이라는 교육체제의 권위자 혹은 관리자에게 유쾌한 인상을 바쳐 학점을 받는 학생의 역할에서 벗어나면 좋겠다는 말이다. 학생이 아무래도 공부하거나 살아가면 정보를 생산하고 있지만 직접 창의적으로 의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분명한 기회가 유익하다. 우리 교육체제 안의 역할 및 여러 가지 많은 체제의 광범한 넽워크인 사회 안의 역할을 제기하게 해주는 프로젝트이다.

     

    우리 조별과제를 좋아하게 하는 다른 점도 있을 수 있다. 이제 우리 조별과제를 바꿔서 일련의 학문적 이론들을 공부하고 분석해서 발표하기로 했다. 조별과제가 바뀌었어도 전술한 바와 똑같은 장점들이 있을 수도 있다. 제대로 진행하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화형 매체와 담론형 매체

대화형 매체와 담론형 매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사람, 동물 혹은 물건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새로운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대화과정에서 교환하는 정보가 합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과 발견된 정보가 나올 수 있다.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생산하지 않지만 이미 존재하는 정보를 분배한다.1

담론적 커뮤니케이과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상부상조적인 관계를 취한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담론을 도용해야 해서 담론의 이용에 의존한다. 또한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화과정에서 생산된 정보를 분배해야 해서 대화의 이용에 의존한다.2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신자의 한 메시지는 담론이다. 그러지만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신자의 담론은 수신자의 해석에 따라 바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가 인식하는 똑같은 담론이 아닐 수가 있기도 한다. 그래서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몇명이 참여하는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한 명이 자기 자신이랑 대화를 할 수 있다. 한 명의 마음 속에 여러 가지 있는 담론들을 해석에 따라 재창조할 수 있고 이 여러 가지 정보들을 합성시킬 수 있는 과정에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된다.

담론적 매체는 발신자의 메시지로만 나올 수 있도록 구속하는 커뮤니케이션 기계이다. 송신자가 송신역할을 고집하고 수용자가 수신역할을 고집하도록 하는 담론매체에서도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생길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레비전의 담론적 틀 안에서 에서 사람들이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지만 이 를 보는 수용자들이 담론에 대답할 기회가 없다.

대화적 매체에서는 송신역할과 수용역할을 공유하는 영역이 있다. 대화적 매체에서는 참가자들이 메시지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러지만 대화적 매체가 메시지 교환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을 전체적으로 보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대화적 매체인 수다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정체성(문화적인 코드)에 따라 참가를 인한다. 학생과 선생님이 수다하면서 학생이 수용역할을 취할 기대성이 있고 선생님이 송신역할을 취해야 된다는 문화적인 코드인 기대성이 있다. 왜냐하면 선생님의 사회적 역할은 가루치는 것이고 학생의 사회적인 역할은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수다의 참가자들의 상대적인 적극적과 수동적을 미리 정의해 있다. 그래서 대화적 케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대화적 매체는 코드화된 담론에 따라 작동할 수밖에 없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미 존재해 있고 담론이 와서 구속,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규율담론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정의해 만드는 것이다.3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만든 정보를 담론으로 분배해서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면서 담론에서 받은 정보를 교환하고 합성해서 새로운 정보를 생산한다. 이 틀에서 보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과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는 공평적 순환을 삼다고 볼 수 있다. 정보를 생산하다가 분배하다가 하는 순환과 같이 보인다. 무엇은 어떤 기준들에 따라 정보로 여겨질 수 있는가? 정보가 아닌 것이 무엇인가? 정보라는 것을 정의하는 코드가 무엇을 배타하는가? 정보가 모든 것을 포함한다면 왜 정보라는 특별한 단어를 부를까?

내가 감정을 전달하고 정보를 표현한다고 말하면 안 되는가? 일상생활에 살고 있으면서 감정을 전하고 정보를 느껴서 표현한다는 말이 해독될 수 있는가? 우리가 집에 도달하는 중에 같은 결론에 도착했다는 말이 안 되는가? 내가 술 마시다가 변기에 토하면서 내 입에서 정보가 물질적인 모습으로 흘려 나왔다.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아무래도 수행할 때 의미해독을 가능시키는 코드들의 관계구조를 고집해야 대화할 수 있다. 의미를 얻기 위해서 코드화를 거쳐 의미를 이해하도록 대화에 이용할 수 있는 의미, 코드된다. 각자 단어와 표현의 코드화된 의미인 뿐만 아니라 사람의 정체성도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의 모습을 결정하는 역할을 취한다.

플루서에 따르면 사회는 여러 가지 많은 체제들이 서로 작용하는 넽워크로 구성한다. 이 넽워크 속에 여러 가지 접점들이 있다. 사회인 넽워크 체제영역의 주관적인 관계 속에서 사람들이 인정하는 것은 <가면>이라고 부른다. 가면들은 사회인 넽워크 속에 있는 접점들을 지적하는 것이다. 접점과 어떤 형식으로 관계를 질 수 있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가면의 역할이다. 또한 이 관계형태에서 가면들이 형성된다. 이 관계들은 대화적 관계나 대화의 생산물인 행동적 관계로 실현될 수 있다. 가면에 따라 특별한 대화형식을 수행할 수 있다.4

예를 들어 한국에서 가면에 따라 존댓말이나 반말으로 대화하는 것인 뿐 만 아니라 말의 내용도 결정하는 한 요인이다. 현대 한국 사회는 일부일처체인 성관계가 정상화된 사회이기 때문에 사람이 배우자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상태에 <맞은> 대화와 행동을 수행한다. 또한 현대 한국 사회는 이성애체와 남녀이원으로 분류된 성적 형태가 정상화된 사회라서 남성에게 <여자친구 있냐>고 여성에게 <남자 친구 있냐>고 물어본다. 현대 한국 사회는 결혼체가 정상화된 사회라서 결혼에 대한 기대에 맞춘 나이에 따라 <결혼했냐>고 물어보거나 <왜 결혼 안 했냐>고 물어본다. 서양인과 같이 보인 사람에게 <매운 음식을 먹을 수 있냐>고 궁금한다.

플루서에 따르면 가면들은 주체범주들을 대표한다. 이 주체번주들은 가면끼리 담론과 대화과정의 생산물이다. 문명형과 사회체제들은 가면들의 관계형태(가면의 춤추기)에 달려있다. 개인적 정체성 혹은 신분은 사회체제 속에 가면()의 상대적 지위들으로 형성된다. 역사적으로 가면들은 엄격히 구분해 있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수 많은 가면들을 한 명에 적용할 수 있다.5

정보체제이나 <인류학><정당한> 사람들의 행동과 대화를 설명하거나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과 대화를 규율한다. <맞은> 행동양식과 대화양식은 가면들에 표함한다. 이런 식으로 가면들이 사회체제끼리의 대화수단이고 각 사회체제와 총체적인 넽워크를 유지해주는 것은 가면들의 한 중요한 작동이다. 이 측면에서 정보의 생산, 축적 및 분배의 역할, , 정보체제가 권위적이다. 사람들이 탈인간화 혹은 기계화를 당한다. 사람들은 권위적 사회체제인 넽워크의 접점으로서 수단이다. 플루서에 따르면 반면에 해방적 정보체제에는 사람들이 서로 분류된 가면이 아니라 사람들이 서로 인간적 속성들이 실현되도록 정보교환,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이다. 권위적 사회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스스로 만들기 위한 대화이다.6

가면을 인정해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대화가 인간성을 인정해 강화하는 것이라면 그 자체가 대화내용도 결정하는 한 요인인가? 플로서가 대화를 구속하고 규율하는 것이 권위적 정보체제라면 해방적 정보체제에도 권위적 속성들이 거주하고 있지 않을까? 인간들이 하고 있는 것을 비인간적이라는 것은 규율담론이 아니랄까?

담론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은 두개 다 집단적인 형상이지만 정보와 의미를 직접 만드는 과정에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이 서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때문에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생산된 정보를 분배하는 담론의 역할은 기존의 사회를 유지하는 역할이라서 문제해결, 창의성, 혁신성, 등에 충돌된다. 방송은 송신자와 수용자로 엄격히 분류된 커뮤니케이션 관계형식이라서 담론형 매체이다. 디지털 미디어, 댓글, UCC, 수다, 구어, 블로그, 내용을 누구나 올릴 수 있는 인디미디어,7 등이 넽워크적인 형식으로 발생하는 정보교환이라며 정보, 지식을 계속 만들고 바꿔서 대화형 매체이다.8

대화형 매체가 어떤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영향을 미치는가?

1Flusser, V., Kommunikologie, 1996,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p.19 참조.

2Flusser, V., Kommunikologie, 1996,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p.20 참조.

3조현순, 「거식증과 우울증의 정치학: 푸꼬, 보르도,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2005). p.392 참조.

4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5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6Gochenour, P.H. “Masks and Dances: Cybernetics and Systems Theory in Relation to

Flusser’s Concepts of the Subject and Society ,” Flusser Studies 01, (2005). www.flusserstudies.net

7http://korea.indymedia.org

8Darroch, M. “Language, Translation and the Telematic City,” Flusser Studies 06, (2008) www.flusserstudies.ne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