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와 정치활동가의 차이

행인[집단주의의 원류] 에 관련된 글.

원래 "집단주의의 원류"라는 국민교육헌장 글을 올리기 전에 올리려고 했던 글인데, 싱숭생숭해서 웹서핑 하다가 그만 예상에도 없던 "집단주의의 원류"를 먼저 올리고 말았다. 인터넷 서핑의 폐해가 이렇다. 뭘 할려고 접속을 했다가 결국 딴짓만 줄창하고는 원래 해야할 것도 못하고 마는...

 

암튼 건 그렇고.

 

최근 당 내에 몇 가지 잡음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새 지도부 구성 이후 중앙당 인사와 관련된 사안.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완전 엉망진창의 인사였다. 와중에 상근자들의 사직이 속출, 퇴직금 지급해달라니까 배째신공을 펼치지 않나, 어이 없는 일들이 연거푸 벌어진다. 뭐 궁금하신 분들은 당원게시판을 확인해보시면 되겠다. 일일이 이야기하자니 뚜껑 열릴 것 같다.

 

해서 논란이 계속되는 와중에 얼핏 노조 이야기가 나왔던가보다. 그랬더니 사무총장 왈, "정책연구원이 노조를 만들겠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사무총국의 상근자들은 노동자가 아니라 정치활동가이므로 노조를 인정할 수 없다"

 

기가 찰 노릇이다. 노동자가 아니라 정치활동가이다...

일전에 당과 많은 교류가 있다는 모 변호사가 사석에서 "정당의 활동가들은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쳐 활동해야한다. 철의 규율... 월급은 안 받아도 좋다..." 운운한 일이 있었다. 마침 행인이 그 자리에 없어서 다행이었다. 신기한 두뇌들이다. 어차피 중앙당 사무총국의 상근자들, 사명감 하나로 버티고 있다. 그렇다면 지도부들이 나서서 그들의 노동에 대한 보상을 해주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그런데 아예 대놓고 니들은 노동자가 아니다라고 이야길 하다니... 이런 발언을 공식석상에서 하도록 해야하는데...

 

그나저나 갑자기 머리속이 복잡해진다. 노동자와 정치활동가의 차이는 뭘까? 예컨데 노동조합이 경제투쟁위주의 조합주의에 매몰된 투쟁방식을 깨치고 정치투쟁에 전면적으로 나서게 되면 그 노조 노동자들은 그 때부터 노동자가 아니라 정치활동가가 되는 건가? 내 뇌용량에 문제가 생긴 것인지 도통 이해를 못하겠다는 거다. 뒌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4/06 15:26 2006/04/06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