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어리둥절 아연실색

요즘 출퇴근 지하철에서 Milton Friedman 의 [Capitalism and Freedom] 읽는 중인데, 예상과는 넘 달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라는 이름값에, 하이예크의 [Road to Serfdom] 과 함께 자유주의 경제학의 대중적 명저로 꼽히며 출판된지 40년이 넘도록 스테디셀러 자리를 지켜온 책 아녀? 그래서.. 감히 반박하기 어려운 논리로 자본주의의 우수성을 설파할 줄 알았지... 자유로운 시장 경제가 자유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는, 시장이 있는 곳에 정치적 부자유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내용이 전반부를 이루고 있는데... 자본주의 생산 관계에서 생산수단을 보유한 자가 권력도 그만큼, 자유도 그만큼 크다는 엄연한 현실은 도대체 어데 간거여? 자본주의 사회가 자유 증진에 얼마나 필수적인가 사례로 들고 있는 것이 진짜 웃긴데, 미국에서 매카시즘이 아주 지독했지만,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을지라도 훌륭한 시나리오들은 가명으로 헐리우드 시장에 팔려나갈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 어이 상실... 만일 영화산업이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사회주의 국가였다면 이런 일이 어찌 가능하겠는가!!! 허걱. 또한, 정치적 의사표현이나 사회운동을 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몇몇 자본가들 (심지어 엥겔스 이름 등장!) 덕에 그 돈이 마련되어 사회주의 운동이 가능했다는 설명은 어떻고... 즉, 자본주의니까 이런 식의 운동이 가능하지, 사회주의 사회였다면 돈을 대줄 독지가(자본가)가 없어서 운동이 불가능했을 거라는 이야기... 털썩~ 아직 앞부분이라서 그런가??? 보건학을 하는 사람 입장에서 항상 사회정책(정부의 개입)의 필요성, 공공의 책임을 주장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것들이 온정주의나 의료화(medicalization) 으로 흐르지 않을까 항상 고민이 되던 터라, "국가", 혹은 "정부개입"를 바라보는 자유주의적 관점을 알고 싶어서 책을 골랐는데 어째 영... 시장실패에 관한 부분이 후반부에 나올테니 어쨌든 끝까지 읽어보구, 정반대편에 위치한 Berkman 의 ABC of Anarchism 읽어봐야겠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