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영화들...

최근 한 달 동안 이런저런 영화들을 적잖이 보았더랬다.

 

기록이나 해 두자.



0.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데이비드 예이츠 감독)

 

 

정이, 담이를 데리고 보았는데 초딩인 담이는 그닥 재밌어하지 않았다.

그럴만도 했다. 1, 2 편에 등장했던 신기한 동물들이나 아기자기한 마법들은 등장하지 않았고, 질풍노도기에 들어선 청소년 마법사(?)들의 갈등과 고민은 나름 심오한 것이었으니 말이다.

해리를 맡은 래드클리프의 연기력은 도대체 왜 이리 안 느는지 모르겠다. 론과 헤르미온느 역의 두 아역은 쑥쑥 성장하는 거 같은데 말이지....

이번 편에서 가장 인상적인 건 장난꾸러기 위즐리 형제의 자퇴! 오, 자유로운 영혼들 ㅎㅎ

헌즈 다이어리에도 지적된 바 있지만, 마법사 세계의 모든 일들은 학사일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거 같다. 악당의 암약도, 엄청난 전투도 모두 학생들의 학기 중에만 일어난다. 월매나 좋을까?

 

0. 트랜스포머 (마이클 베이 감독) 

 

 

일곱 살 남자 아이의 눈으로 볼 때 가장 재밌을 영화!

듣자 하니  둘째조카 우재는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완전 발광 상태에서 이 영화를 보더란다 ㅎㅎㅎ

뭐 비주얼이야 말할 나위 없이 훌륭한데, 8세 이상의 눈으로 본다면 상당히 거슬리는 엉성한 플롯과 대사들이 나에게 아주 큰 웃음을 주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디셉티콘 리더가 냉동 상태에서 해동되자마자 내뱉은 첫 마디 '아임 메가트론'....  저거 뭐냐 싶더라니까 ㅎㅎㅎㅎㅎ

 

비주얼에 신경 쓰면 반드시 플롯은 엉성해야 한다는 법칙이 있는 걸까, 궁금증이 들었다.

 

 

0. 디센트 (닐 마샬 감독)

 

 

호러 영화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유혈낭자 슬래쉬 류는 별로 안 좋아한다. (고 말하면서 생각해보니 스크림 1,2,3편을 다 보았구나 헉.)

이 영화는, 완전 슬래쉬 무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보일듯 안 보일 듯 철저한 심리호러는 아니다. 어쨌든 상대적으로 적은 돈을 들여 잘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기는 하다. 

굳이 거창하게 해석하자면 내면의 트라우마, 생존의 본능과 이기주의, 감추어진 잔혹성 등이 차례로 폭발하면서 세상에 정말 두려운 건 뭘까 생각해보는 영화???

 동굴 속에는 사람 잡아먹는 골룸들이 떼로 서식하고, 이들의 공격에 맞서 평범한 중산층 아줌마들은 에일리언 시리즈의 리플리를 능가하는 특전사요원으로 거듭난다. 그리고 살고자 하는 욕구와 불신, 배신감 속에서 점점 사악해진다. 나중에는 골룸 괴물보다 이 아줌마들이 더 무서워서 후덜덜.....

 

하긴, 첫 장면...

탐사하기로 한 동굴 입구만 보고도 입이 쩍 벌어졌다. ㅜ.ㅜ

 

0. 플루토에서 아침을 (닐 조던 감독)

 

 

슬프면서도 유쾌하고,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영화를 보던 날은 오로지 좋은 감정만이 가득했으나... 시간이 조금 지나면서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심각한 것은 딱 질색이라는 키튼의 말과 자유분방한 삶의 방식은, 싫어도 심각할 수밖에 없었던 또다른 이들의 삶에 가해지는 또다른 방식의 폭력이 아닐까 싶었던 거다.   

 

키튼 역을 맡은 배우는 [보리밭은 흔드는 바람]에서 의대지망생 남동생 역을 맡았던 킬이언 머피.... 찾아보니 플루토가 오히려 먼저 찍은 작품이구나...우째 이렇게 연기를 잘 하는겨... 하지만, 고통받고 있는 이성애자 여성의 진정한 친구는 게이 남성 뿐이라는 설정은 나름 식상했다. 파니핑크와 오르페오 이후 이러한 관계들이 은근 영화 속에서 반복 변주되는 거 같다. 현실도 그래??? 게이 남성들은 죄다 보살이라도 된단 말이냐?

 

왜 굳이 플루토를 '명왕성'이라고 번역하지 않았을까 궁금했는데 영화를 보니, 플루토하면 만화주인공 강아지를 생각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랬더군. 말하자면, 명왕성으로 상징되는 우주의 끝에서 아침을...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나름 심각하고 아름다운 장면들에서 엉뚱하게도 히치하이커 시리즈  'The restaurant at the end of the universe'가 떠올랐음. 나 미쳤어.    

 

0. 화려한 휴가 (김지훈 감독)

 

 

이 영화를 보면서 눈물 흘리는 관객을 보고, 혹시 영화에 감동해서 그런 거라고 생각한다면 제작진들 모두 치료 받아야 함. 아니, 치료 정도가 아니라 관객들의 아픈 기억과 역사의식을 '악용'하고 '착취'했다는 점에서 징벌이 필요할 수도 있겠다.

내가 저따위 영화를 보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는 사실이 진심으로(!!!) 억울했다.  

 

영화는 스테레오타입과 클리셰의 종합선물셋트. 여기에 플롯의 엉성함까지 더해졌으니...  연기 잘하는 배우 데려다가 바보 만들고... (김상경 불쌍해!)

정말, 정말 너무들 하더라...... ㅜ.ㅜ 

 

진실이 궁금하다.

원래 이렇게 만들고 싶었던 걸까? 역량 부족 때문에 이렇게밖에 만들 수 없었던 걸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