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연정(戀情) 없는 연정(聯政)

연정(戀情) 없는 연정(聯政)


민주노동당 고양시위원회 제5차 정치포럼 주제는 '연정'이다.

홍보 찌라시를 만들면서 깨굴 동지'연정(戀情) 없는 연정(聯政)'라는 멋진 카피를 만들었고, 또 재기발랄함이 뚝뚝 묻어나는 찌라시를 만들었다.

 


 

제5차 정치포럼 (온라인)홍보 찌라시




=>관련 자료가 가득한 포럼 게시판으로 바로 가기 클릭

 

------------------

제5차 정치포럼

주제
: 연정(聯政)
날짜 : 2005년 7월 27일(수요일) 저녁 8시
장소 : 민주노동당 고양시위원회 사무실

주제 설명 : “정체성이냐? 정권 획득이냐?”

웬 뜬금없이 연정(聯政)이랴?
하지만 이번(5차) 정치포럼 주제는 연정으로 정했습니다.

열린우리당의 “연정(聯政)” 발언 이후 당에서 자연스럽게 이 문제가 공론화 되었습니다.
사실 연정에 대한 논의는 몇 년 전부터 비밀스럽게 나돈 문제이고, 일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준비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은 정권 획득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을 전제할 때 ‘뭔 문제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어떤 ‘정권 획득이냐’입니다. ‘진보적 가치’를 대중적으로 인정받아 그 결과로 ‘정권 획득’이냐? 아니면 진보적 가치보다는 정치공학적으로 정권 획득을 바라보느냐? 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설마 정치공학에 보다 가치를 두는 당원이나 당 간부가 있으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려나요? 그러나 보다 대중적으로 어필하기 위해, 즉 표를 더 얻기 위해, 지금보다 더 오른쪽으로 열린우리당 식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중앙당 핵심 간부 중에도 있습니다.

우리 당을 보면 아직도 걸음마 단계이고 미숙합니다.
진보정당이라고 하지만 내용을 채우고, 정책을 만드는 일이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반면, 연정을 논하고 있는 열린우리당은 진보적 가치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아니 신자유주의를 적극 옹호하고 정책화시킨다고 볼 때 ‘반동적’이다 라고 아니 말할 수 없습니다.

이런 반동적 정당과 미숙한 민주노동당이 연정을 한다는 것, 그 발상과 발상의 근저, 그리고 이후 그러한 발상이 미칠 영향 등 연정(聯政)이라는 주제도 논란과 고민의 지점이 많다고 봅니다.

하여튼 좋은 발제자를 가릴 예정입니다. 다른 생각을 가진 발제자면 더 좋겠구요. 당원 여러분도 함께 고민하고, 포럼에 많이 참가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