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논문 제목과 목차 (아마도 II장은 들어낼 듯ㅜㅜ)

 

스피노자의 ‘다중’ 개념의 민중신학적 함의

B. Spinoza's concept of ‘multitude’ and its implications

for Minjung Theology

 

I. 서론: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II. 스피노자 시대의 신학적 주권체제와 주권적 신학체제 5

    1. 17세기 네덜란드의 정치 ․ 사회적 상황 6

      (1) 경제성장과 정치적 위기 7

      (2) 정무관파와 오란녜파 7

      (3) 정치 갈등과 종교의 문제 9

    2. 17세기 네덜란드의 주권적 신학체제와 신학적 주권체제 10

      (1) 관용 속에서의 갈등 10

      (2) 칼뱅주의의 대두 10

      (3) 칼뱅파 내부의 갈등: 아르미니우스 파와 고마루스 파 11

      (4) 비 주류 종파들 13

      (5) 칼뱅파의 주권적 신학체제 14

      (6) 오란녜파의 신학적 주권체제 15

    3. 반(反)주권, 반(反)신학의 사상가 스피노자 17

      (1) 유대교적 배경 17

      (2) 사상가로서의 명성 18

      (3) 야생적 별종 19


III. 신과 세계: 존재의 일의성과 관개체성 21

    1. 존재의 일의성: 신은 어떤 존재인가? 22

      (1) 신을 사랑한 무신론자 22

      (2) 긍정신학, 부정신학, 표현의 신학 23

      (3) 실체(신), 속성, 양태 27

      (4) 자기원인 30

    2. 존재의 관개체성: 세계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32

      (1) 범신론을 넘어 33

      (2) 관개체성의 존재론 34

      (3) 개체의 능력: 코나투스 39


IV. 다중의 무능력의 전개 43

    1. ������윤리학������: 부적합한 인식과 수동적 정념 44

      (1) 신체와 정신의 평행론 44

      (2) 부적합한 관념 46

      (3) 수동적 변용과 정념 50

    2. ������신학정치론������: 다중은 왜 예속을 욕망하는가? 53

      (1) 미신의 발생 53

      (2) 미신적 종교와 정치의 결탁 54

      (3) 다중의 무능력의 역사적 전개 55

    3. ������정치론������: 내란과 폭정의 악순환 57

      (1)자연권 57

      (2) 내란과 폭정의 악순환 61


V. 다중의 능력의 전개 64

    1. ������윤리학������: 공통-되기와 능동성으로의 이행 64

      (1) 공통 개념 64

      (2) 정서모방과 사회적 관계의 형성 67

      (3) 기쁨의 정서와 능동적 변용 70

      (4) 공통-되기 72

      (5) 신에 대한 사랑  76

      (6) 영원하게-되기 78

    2. ������신학정치론������: 양심의 자유와 상상력의 전복적 활용으로서의 보편종교 81

      (1) 상상력의 전복적 활용 81

      (2) 보편종교 85

      (3) 민주주의의 가능성 87

      (4) 스피노자의 그리스도 이해 88

    3. ������정치론������: 절대적 민주주의 90

      (1) 이성과 복종 90

      (2) 정치체제의 분석 92

      (3) 공포스런 존재: 자유로운 다중 96

      (4) 혁명: 영원하게-되기, 신-되기 98

      (5) 민주주의와 소수자의 문제: 여성 참정권 불가론에 대한 재해석 100


VI. 스피노자와 민중신학 103

    1. 스피노자의 현재성 104

      (1) 민주주의의 영원성 104

      (2) 변용과 탈주체성으로서의 주체성: 다중-되기 107

      (3) 탈근대 자본주의 속에서의 다중 112

      (4) 스피노자의 사유에서 “신학”의 한계와 가능성 115

    2. 서남동 ․ 안병무의 민중신학의 재해석 117

      (1) 公과 物: 민중신학적 존재론 117

      (2) 탈-향(脫-向)과 민중의 자기 초월 123

      (3) 종말론적 민중 메시아와 화산맥    127


VII. 결론 13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