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점입가경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한국일보 “진흙탕 협박전”

  • 기자명 윤수현 기자 
  •  
  •  입력 2023.02.13 07:39
  •  
  •  댓글 1

 

[아침신문 솎아보기] 김기현 후보, 안철수 비판하며 “대통령 탄핵” 거론

한국 “진흙탕 협박전… 볼썽사나운 윤심 다툼”

국민 “발언 자체가 자칫 당을 깰 수도”

동아일보 정치부장 “국민의힘 의원들, 공천받지 못할까 침묵”

국민의힘 3·8 전당대회가 본격화되면서 ‘탄핵 공방’이 벌어져 논란이다. 상대 후보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대통령 탄핵’ 발언까지 나온 것이다. 이를 두고 주요 종합일간지들은 13일 “진흙탕 협박전”(한국일보), “관심을 끌기 위한 말이겠지만 지나치다”(국민일보), “갈수록 태산”(한겨레) 등 비판을 내놨다.

김기현 후보는 11일 경기도 중남부 보수정책 토론회에서 안철수 후보가 당대표가 된다면 당정 불화가 생길 수 있으며, 대통령 탄핵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김 후보는 “대선 욕심이 있는 분은 곤란하다.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이 부딪치면 차마 입에 올리기도 싫은 탄핵이 우려된다”고 했다. 과거 안 후보가 이끈 국민의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추진에 동참한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안 후보는 12일 SNS에서 “아무리 패배가 겁난다고 여당 당 대표하겠다는 분이 대통령 탄핵 운운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 어떤 정신상태기에 저런 망상을 할까”라고 반박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위)와 안철수 후보의 SNS 글. ⓒ연합뉴스

한국 “본선도 진흙탕”… 한겨레 “정치사에 보기 드문 퇴행”

이를 두고 한국일보는 사설 <“대통령 탄핵 우려”... 여당 전당대회 본선도 진흙탕> 사설에서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예비경선(컷오프) 후 본선에 진입해서도 여전히 진흙탕 협박전으로 얼룩지고 있다”며 “지금까지 전당대회는 윤심 줄서기와 비윤 찍어내기로 점철됐는데 달라진 게 없다. 끝까지 당의 미래에 대한 비전 경쟁 없이 볼썽사나운 윤심 다툼만 하겠다는 건가”라고 했다.

또 한국일보는 친윤계로 꼽히는 박성중, 이만희, 이용 등이 최고위원 예비경선에서 탈락한 점을 거론하면서 “친윤 세력은 10일 예비경선 결과가 시사하는 바도 살피기 바란다. 당원들 마음을 잡으려면 윤심 이상의 자질을 보여야 한다는 뜻”이라고 했다.

▲2월13일 한국일보 사설.

조선일보는 5면 <金 “대선주자 당선 땐 尹 탄핵 우려”…安·千 “당원 협박”> 보도에서 “여당 전당대회가 대통령 탈당과 분당에 이어 탄핵까지 언급되는 등 진흙탕 싸움이 되어간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김기현 후보 발언은) 구체적 설명은 없었지만 대선 주자가 당대표가 되면 당이 분열되고 상황에 따라 야당과 손을 잡고 대통령 탄핵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며 각 후보의 입장을 전했다.

▲2월13일 국민일보 사설.

국민일보 역시 사설 <느닷없는 ‘대통령 탄핵’ 논란… 이게 여당 대표 선거인가>를 내고 “예비경선이 끝나자마자 당대표 후보들 간에 벌어진 ‘대통령 탄핵’ 논란은 실망스럽다”며 “경쟁자인 안철수 후보가 당대표가 되면 대통령 탄핵이 올 수도 있다는 말로 들렸다. 당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말이겠지만 너무 지나쳤다”고 했다. 이어 “발언 자체가 자칫 당을 깰 수도 있다. 자극적 언어로 관심을 끌려는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라면 집권당 대표를 뽑는 선거답게 품격과 비전을 갖춘 경쟁을 보여주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2월13일 동아일보 칼럼.

윤완준 동아일보 정치부장은 칼럼 <“내년 총선 공천 때 살생부 등장할지도”>에서 국민의힘 내부에서 벌어진 갈등이 내년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내분의 예고편일 수 있다고 했다. 이번 갈등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윤 부장은 “대통령이 사실상 여당을 직할하면서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당의 정책 방향을 통제하는 ‘제왕적 대통령제’가 문제라는 인식도 적지 않다”며 “국민의힘 내 적지 않은 의원들도 전당대회 분란에 ‘이건 정말 아니다’라면서도 내년 공천을 받지 못할까 침묵한다”고 했다.

한겨레는 사설 <당대표 되겠다고 ‘대통령 탄핵’까지 들먹인 ‘윤심’ 후보>에서 “국민의힘 경선에선 지금껏 ‘친윤’ 대 ‘반윤’의 경쟁구도와 줄세우기, 갈라치기만 횡행할 뿐 당의 미래, 보수의 비전을 놓고 다투는 경쟁이 보이지 않는다. 정말 대통령과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당대표가 뽑힌다면, 한국 정치사에 보기 드문 퇴행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썼다.

▲2월13일 한겨레 칼럼.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는 한겨레 칼럼 <증오의 명분으로 이용되는 당파성>에서 “최근 국민의힘에서 당대표 선출을 둘러싸고 벌어진 갈등은 ‘누가 더 잘할 수 있나’ 경쟁이 아니라 ‘누구는 절대 안 돼’라며 찍어내는 제거 ‘경쟁’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며 “왜 그렇게 자신감이 없는 걸까. 아직 정권 출범 1년도 안 됐는데 스스로 무너져 내리고 있는 윤석열과 국민의힘의 한심한 모습은 당파성이 증오의 명분으로 이용돼온 역사의 업보인지도 모르겠다”고 썼다.

▲2월13일 경향신문 8면.

윤미향 벌금형, 경향 “정부가 진보 시민단체의 ‘돈줄’을 죄는 명분”

윤미향 무소속 의원이 10일 후원금 횡령으로 1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횡령 혐의를 제외한 나머지 혐의에 대해선 무죄 판단이 내려졌다. 경향신문은 8면 <진보 시민단체 ‘돈줄 죄기’ 명분…극우 먹잇감 된 수요시위> 보도에서 윤미향 의원의 잘못이 작지 않다면서도 이번 사태가 정치화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경향신문은 “보수진영은 (정의연 사태를) 문재인 정부의 이중성과 운동권 엘리트의 부패를 보여주는 ‘대표적 예시’로 활용했다”며 “정의연 사태는 정부가 진보 시민단체의 ‘돈줄’을 죄는 명분이 됐다. 지난해 12월 전국 243개 지자체는 자체 계획을 수립해 이달까지 시민단체에 지원한 지방보조금 사용 현황을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세금 누수를 줄인다는 명분을 들었으나 진보 성향 시민단체를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관측이 나왔다”고 했다.

또 경향신문은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에 손을 놓았다는 지적이 나온다면서 “정의연 사태 이후 30년 역사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 알리기 운동의 동력은 크게 떨어졌다. 극우단체들은 2020년 6월부터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인근 평화의 소녀상 앞 집회신고를 선점했다”고 밝혔다.

▲2월13일 조선일보 사설.

조선일보는 사설 <윤미향 판결 이용하는 李 대표, 매사가 이런 식>에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정의기억연대 후원금을 유용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미향 의원이 1심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은 데 대해 ‘인생을 통째로 부정당하고 악마가 된 그는 얼마나 억울했을까’라고 했다”며 “마치 무죄이고 횡령 범죄가 별것 아닌 것처럼 윤 의원을 두둔하고 나선 것”이라고 했다. 조선일보는 “(판결은) 윤 의원이 결백하다는 게 아니라 검찰이 입증을 제대로 못했다는 것”이라며 “인정된 사실엔 눈을 감고 자기에게 유리한 쪽만 부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 9일 NYT 튀르키예 대지진 기사(Earthquake in Turkey and Syria One of the Deadliest in Decades) 갈무리.

튀르키예 강진에 종합일간지 특파원 파견

튀르키예 강진 피해가 나날이 커지는 가운데 주요 종합일간지들은 튀르키예에 특파원을 보내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경향신문은 2면 <한밤중 댐 터졌단 말에 대피 소동…가짜뉴스·약탈 등 치안 악화> 보도에서 튀르키예 현지 상황을 전했다. 경향신문은 “강진 일주일째를 바라보는 튀르키예 재난 지역에서 가짜뉴스 성행과 약탈 등 치안이 악화하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며 “독일과 오스트리아 구호대는 치안 불안을 이유로 구조 작업을 중단하기도 했다”고 했다.

▲2월13일 경향신문 2면.

경향신문은 치안 불안에 대해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약탈에 나선 주민들 또한 이번 지진의 이재민인 만큼 일부는 ‘상황이 절박해 약탈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기도 한다”며 “아타이에서 가전제품 판매점을 운영하는 니자메틴 빌메즈는 ‘아기용 물티슈나 음식, 물을 약탈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며 ‘지진이 나고 처음 며칠간은 구호품이 전혀 도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2월13일 한겨레 2면.

한겨레는 지진 피해가 극심했던 카흐라만마라시의 텐트촌을 찾았다. 한겨레는 2면 <이재민들 낮에는 자원봉사, 밤에는 텐트촌서 맹추위 버텨>에서 “해가 뜨면 이재민들은 ‘스스로를 돕는’ 자원봉사자가 된다. 음식이나 물 같은 외부 지원을 배급하는 과정에 손을 보태고 남는 시간엔 구조적업을 돕는다”고 했다. 한겨레는 약탈 등을 이유로 현지 치안이 악화된 측면이 있다면서도 “(현지 주민은) ‘아이들이 있으니까 힘든 얘기, 절망적인 얘기는 하지 않는다’고 조용히, 하지만 단호하게 말했다”고 했다.

▲2월13일 한겨레 2면.

암 진단 받으면 수도권으로 찾아가는 지역민들

한겨레는 암 진단을 받은 지역민들이 치료를 위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찾아가고 있는 현실을 지적한 <인터넷에 ‘명의’ 치면 온통 서울의사… 치료대기 길어 암 악화도> 기사를 8면에 게재했다. 한겨레는 ‘빅5’로 불리는 대형병원 5곳이 암 환자 절반을 치료했다면서 “서울과 지역 간 암 치료 격차가 클 거란 인식 탓에 암 환자가 서울 큰 병원으로 쏠리면서, 진료와 수술 대기 기간이 길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했다. 또 한겨레는 상경치료 대기기간이 평균 3개월이 넘는 만큼 대기 기간이 길어져 암 상태가 악화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겨레는 향후 지역 필수의료 해법에 대해 보도할 예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