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저 평등의 땅에(3)
- 겨울철쭉
- 2010
-
- 윤선애씨 어디가세요 2 (3)
- 겨울철쭉
- 2010
-
- [독서]두보杜甫시선(1)
- 겨울철쭉
- 2009
-
- 노무현추모 비판과 반비판들
- 겨울철쭉
- 2009
-
- 노무현 사망, 사회운동의 패닉(3)
- 겨울철쭉
- 2009
이 책을 읽으시려는 분들은, 전철이나 도서관같은 곳에서는.. 읽지마세요, 낱말 하나하나에 가슴 울먹이다가, 어느 구절에선가 갑자기 울음이 주체할 수 없이 터져나오니까요.
김진숙의 글들.
하지만 김진숙은 글을 쓰는 사람은 아니다. 그의 글은 투쟁사든, 강연이든, 교육이든, 추도사든 그녀의 '말'의 흔적이다. 말은, 보통 하나의 순간에 명멸하지만, 그것이 가진 무게와 진실에 따라서는 순간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준다. 그리 두껍지는 않지만 낱말하나 문장하나의 무게 때문에 쉬이 읽어나갈 수 없고, 눈물과 반성 때문에 며칠을 걸려 읽어야하는 책.
노조가 주최하는 이런저런 교육에 조금 다녀본 사람이라면, 열사 투쟁에, 적어도 열사가 마지막 가는 길에는 함께 했던 사람이라면 이 책 속에서 익숙한 내용의 글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나도 그런 장소들에게 김진숙을 만났다. 노조 간부들, 비정규직 노동자 교육들에서, 김주익, 배달호 열사의 추모식에서 만났다. 어떤 때에는 정신을 빼앗겨서 그녀의 삶과 투쟁에 대한 두시간 가까운 강연을 듣기도 했고, 열사들의 추모식에서는 정말 펑펑 울어버렸다. 창원시청 앞 광장에서 배달호 열사의 추모식이 있을 때, 한진중공업 횡횡한 도크위에서 김주익, 곽재규 열사의 추모식에서.
우리 노동자운동은 87년 이후, 자신의 가능성을 발전시키기보다는 90년대를 거치면서 오히려 자신의 한계 속에만 갇혀왔다. 그래서 87년을 말하는 사람들은 과거의 전투적 투쟁을 회고하지만 과연 그 속에서 우리가 길어올려야할 진실이 무엇인지를 성찰한다기 보다는 '잘나가던 그때'를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김진숙의 글이 하나 하나 영혼에 울리는 것은, 그녀가 우리의 현재에 대해서, '잘 나가던'(혹은 지금도 잘나가고 있다고 믿는) 노동운동이 굳이 외면하거나 침묵하려는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87년의 진실이 그 속에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김진숙은 부산지하철 매표소 비정규직노동자의 단식 투쟁에서 조수원 열사를 기억한다 .배달호 열사의 추모식에서 청소용역 비정규직노동자가 될 지 모르는 부인 황길영 동지를, 유통매장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할지 모르는 두 딸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보수세력에 탄압당지만 꿋꿋하게 싸우는 전교조 선생님들의 투쟁을 소중히 말하면서도, 그들이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을 돌아볼 것을, 화룡점정할 것을 나즈막한 목소리로 주문한다.
이런 점들이 아니라도 책을 읽다보면, 왜 김진숙의 말이 낱말 하나하나에 가슴 울먹이게 하고, 어떤 구절에서 갑자기 눈물을 쏟게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깊은 상처를 건너 영혼이 아름다운 사람이다. 중학생 딸이 새벽신문배달로 사온 털신을 고이 간직한 어미니를 기억하는 사람, 돌아가실 때까지 '복직했냐'를 묻던 아버지를 기억하는 사람,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조카의 아픔을 함께 느끼는 사람.
그래서 마치, 남한의 노둥운동이 경제주의와 합의주의에 빠져서 희망은 이제 없어진 것이 아닌가 몇번이고 돌아보게 되는 지금의 현실에서, 우리에게는 여전히 남아 있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침묵하거나 스쳐 지나는 것일지 모르겠다. 그러나 김진숙의 글에 영혼이 울리는 당신들이 있다면, 여전히 노동자들의 눈물의 역사는 계속된다. 그것은 끝나지 않았다.
"20년 가까이 초지일관 불굴의 신념만으로 버텼겠습니까? 그 폭력 앞에서 한 없이 비굴해지던, 살려만 준다면 글마들 발톱의 때라도 햝을 만큼 비굴해지던 스물여섯의 제 모습이 떠오르면 지금도 스름 끼칩니다.
오히려 그런 모습들 때문에 용기라는 게 얼마나 소중한지, 용기야말로 얼마나 찬란한 자유인지, 뼈가 저리지요. 스스로에게 부끄러워지지 않는 것, 그것만큼 소중한 게 또 있을까요" 239쪽
=====
배달호 열사의 추모제와 눈물들이, 배달호 열사 추모곡인 "호루라기 사나이"가 떠오른다.
댓글 목록
손님
관리 메뉴
본문
김진숙씨는 '항상 긴장하게 만드는 사람'이라는 느낌으로, 자세를 바르게 하고 그의 글을 읽고 말을 들어야 할 것만 같은 생각을 하게 했던 사람입니다. 책을 읽으며(말씀하신 것처럼 버스 안에서 읽다가 아주 낭패 봤습니다), 영혼이 맑고 정말 훌륭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지 않을 수 없더군요. 그리고, 정작 본인은 한진중공업의 유일한 해고자로 남았으면서, 정식이형, 영재형의 부채감을 걱정하고, 부산지하철노조와 전교조에게 훈수두는 이 사람을 여기까지 밀고 온 힘이 무엇이었을까를 생각했습니다. 아래 쓰신 글의 '정념의 거리'라는 맥락의 얘기와 생각이 겹쳐졌는데, 그렇게 많은 싸움에 패배하고 좌절하는 활동가들을 바로 눈앞에서 수도 없이 떠나보냈던 경험을 뚫고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역시 활동을 하면서 가끔은 그 거리가 너무 가까와서 고통스럽고 어떻게 이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 것인가 고민이 들기고 하고, 또 어떨 때는 그 거리가 너무 멀어서 자괴감에 빠지기도 하는 경험을 합니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는 이런 갈등과 고통이 제거될 수 없는 운동의 하나의 고유한 요소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도 되더군요. 그래서, 그런 고통들을 수십년 담고서 살아온 흔적들이 곳곳에 밟혀서 김진숙씨의 글들이 정말 아프게 읽혔고, 또한 혼자서 담아온 것만이 아니라 뭔가 다른 방식으로 그런 문제들과 대면해 왔다는 것이 느껴져서 그게 무엇이일까 고민거리로 남는 것 같습니다.부가 정보
겨울철쭉
관리 메뉴
본문
대중과의 그 '거리'라는 것에서 쉽게 실패하는 것이 지식인 출신의 활동가들인 것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항상 너무 멀거나 너무 가깝거나.김진숙씨는 (책으로 엮인 연설이나 교육 등을 포함해서) 항상 새롭게 싸우는 대중들과 교통 속에서 자신을 재발견-재해석해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자신 뿐 아니라 자신이 속한 운동(집단) 자체를 다시 사고(=반성)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과정이라해서 사람의 고통이라는 것이 어찌되지는 않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우리 대중운동에서 보기 힘든 어떤 사고의 지평에 도달했다는 느낌. 옳다고 글쓰는 것의 문제가 아니라, 대중이 자신의 경험을 대입해서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말하고, 그 자신이 그렇게 실천을 하시니까요. 수많은 깊은 상처를 그런 방식으로 '승화'했다고 표현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저 같은 보통 활동가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