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프라하,동화속 풍경?

지금은  피렌체.
베를린에서, 프라하, 비엔나를 거쳐서, 스위스에 있다가, 남프랑스(아를과 아비뇽)를 지나서 막 이탈리아 도착. 한동안 인터넷이 잘 안되는 유스호스텔 숙소에 주로 있다보니 아주 늦은 여행기를 올린다. 지나간 다른 곳들은 차근차근. 일단 프라하부터.

프라하, 동화같은?

주말에 도착한 프라하에는 무척 많은 사람들이 있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온 관광객들이 많은데, 가까우면서도 물가가 상대적으로 싼 이곳에 주말이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프라하의 舊도심은 중세 건물들을 보전하면서, 마치 ‘동화 속 나라’같다. 너무 아기자기하고 예쁘다.

도시들의 전경

유럽의 도시들을 다니다보면 한 가지 일반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도시의 건물들이 만들어내는 전경들이 고풍스럽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로 뭉뜽그릴 수는 없다. 각 도시들(내가 간 주로 각 국가의 수도)은 그곳이 가장 정치적, 경제적으로 흥기할 당시의 건물들이 주로 전경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런던과 빠리는 19세기의 건물들, 암스테르담에는 17세기의 건물들, 오스트리아에는 합스부르크왕조가 융성했던 18-19세기 건물들이 주로 도시의 전경을 형성한다. 그런 점에서 프라하의 중세적인 풍광은 한때 보헤미아 왕국, 신성로마제국의 수도로 융성했다가 16세기 이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흡수된 이곳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하는 것같다.

중세적인 풍광, 색감

프라하의 유명한 건물들은 주로 그런 시기에 지어진 것들이다. 프라하성, 까렐교, 화약탑 등 주요한 관광지이며 유명한 건물들이 그렇다.

그런데, 이런 풍경들은 왜 ‘동화속’처럼 보일까?
우선, 풍광자체가 미적으로 아름답다. 내가 놀라면서도 의야했던 것은, 정작 많은 곳에서 자연적인 풍경은 한반도와 그리 다르지 않은 곳들도 많은데 왜 이렇게 다른 느낌이 들까했던 점이다. 그것은 주로 그곳의 사람들이 만들어 더한 풍경이 달랐기 때문이었다. 특히, 색감.
(하지만 지금 다녀온 알프스는, 자연적 풍광자체가 다르다는 점은 언급하자)

한반도의 옛 건물들은 주로 자연속에서 튀지않고, 자연과 유사한 색을 사용해서 그 속에 묻히는 방식으로 지어졌다. 그런데, 이 곳은 자연의 색과는 대비되는--주로 보색으로 건물들을 짓고, 그것은 뚜렷하게 드러나고, 풍광 속에서 나름의 미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그렇다고 한반도의 옛 건물들이 아름답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다른 미적 효과를 만든다는 점).

녹색의 산 속에, 하얀벽과 빨간 지붕으로 만들어진 집들이 드문드문 있을 때, 그것은 뚜렷하게 드러나면서 재밌는 색감의 조화를 이룬다.



중세적인 풍광, 동화

한편, 그것이 아름답다는 것에 더해서 '동화 속같다‘는 느낌은 이내 조금 씁쓸함?을 느끼게 했다. 그것은 우리가 어릴 적부터 듣고, 읽고, 영상으로 접했던 ’동화‘가 거의 중세 유럽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 다소 괴기스러운 민담들을 어린이들을 위한 동화로 재창조한 그림형제의 영향이 크긴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어린이’라는 근대적인 개념을 발명하고, 어린이들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관념과 관행을 만들어낸 것이 유럽이라는 점에서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 그들이 만들어낸 어린이라는 개념과 “어린이용”의 여러 가지 것이 그대로 수입되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들도 있었다. (그들은 성장기에 ‘보호’받지만 한편으로는 과소인간으로 절하되고 시민권에서 배제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프라하의 풍광이 동화스럽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프라하라는 도시의 역사와, 어린이와 동화라는 근대적 발명품의 역사와 관련되어 있을 것같다. 이런 역사들이 만나서 “동화같은 도시 프라하”라는 느낌을 만들어내는 것이 흥미롭다.

내가 이 도시에 간 것이 주말이었기 때문이었겠지만 이곳은 마치 말그대로 “관광지”같은 느낌이다. 번잡한 기념품가게, 여행객을 상대로 뭔가 팔아보려는 것들로 가득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곳이 가장 낭만적인 도시라고 말하지만, 내 느낌은 별로 그렇지는 않다. (그러나 무척 아릅답다는 것은 도저히 부인할 수 없다.)

(순전히 개인적인) 내 느낌과 어느 정도는 취향으로, 오히려 낭만적인 곳은 빠리인 것같은데, 어떤 낭만적인 분위기라는 것은 건물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곳의 사람들이 사는 방식이 보여주는 모습에서 만들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점에서 건물들이 만드는 풍광은 어쩌면 덜 아름다울 수 있어도 빠리가 더 낭만적인 도시로 느껴진다. (빠리가 낭만적인 도시로 느껴지는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원인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같다.)

여튼 프라하는 가볼만한 도시. 아름답다.

***

국립박물관 앞에 바슐라프 광장.
이곳은 1968년 ‘프라하의 봄’과 잇따른 소련군의 침공이 이루어진 곳이다. 시간이 늦어져서 박물관에 들어가지는 못했지만, 그 앞에 어쩌면 별로 눈에 띄지않게 거리에 놓여진 십자가를 볼 수 있었다. 바로 프라하 봉기를 촉발했던 Jan Palach, Jan Zajic 두 청년의 분신이 일어난 장소.

다시, 사회주의에 대해서 묻게 된다. 누구를 위한 누구의 사회주의? 인민을 위한, 인민 스스로의? 혹은 사회주의 조국 수호를 위한, 소련에 의한? 그러나 한편으로 두 청년이 원했을 것이 자신이 싸운 이 도시를 북적거리는 관광지로 만드는 자본주의는 아닌 다른 것이었을 수도 있을 텐데.. 지금 이 거리의 사람들은 무엇을 원할까.

이곳에 장미꽃이 놓여있다. 긴 시간이 지나서 이렇게 죽음이 기억된다. 그러고 보니, 수많은 열사들이 사리진 곳에 우리는 변변한 상징도 없구나. 겨우 남아있는 청계천, 전태일 열사의 동판 말고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