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 영역으로 건너뛰기

사무직 공간개선

쉬는 시간에 질문이 하나 들어왔었습니다.

 

질문의 내용인즉슨 '사무직 공간 개선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라는 40대 초반 남성직원의 질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질문을 받은 겸, 어떻게 대답해야할지를 찾아보았습니다. 산안공단도 뒤져봤는데, 제대로 찾는 법은 아직 몰라서 그런지 안찾아지더라구요. 그나마 찾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14장 그 밖의 유해인자에 한 건강장해의 예방
제1절 단말기 조작업무 등의 조치기준

 

제257조 (컴퓨터 단말기 조작업무에 대한 조치)
 

사업주는 컴퓨터단말기의 조작업무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는 다음 각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실내는 명암의 차이가 심하지 아니하도록 하고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2. 저휘도형의 조명기구를 사용하고 창·벽면 등은 반사되지 아니하는 재질을 사용할 것

3. 컴퓨터단말기 및 키보드를 설치하는 책상 및 의자는 작업에 사하는 근로자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4. 연속적인 컴퓨터단말기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는 작업시간 중에 적정한 휴식시간을 부여할 것

 

 

**컴퓨터 단말기 조작 업무의 바람직한 책상 구조**

 
1. 책상은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나 서류받침대 기타 작업에 필요한  기구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넓이를 갖출 것

2. 책상은 가운데 서랍이 없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근로자가 작업중에 다리를 편하게 놓을 수 있도록 다리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것

3. 책상은 바닥면에서 책상 표면까지의 높이가 65센티미터 전후에서 작업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일 것

 

**컴퓨터 단말기 조작 업무의 바람직한 의자 구조**

1. 의자는 안정감이 있어야 하며, 이동 회전이 자유로운 것으로 하되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의 것

2. 의자는 바닥면에서 앉는 면까지의 높이는 35~45 센티미터의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한 것

3. 의자는 충분한 넓이의 등받이가 있어야 하며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 요추부위에서 어깨부위까지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

4. 의자는 작업자의 등이 등받이 닿을 수 있도록 의자 끝부분에서부터 등받이까지의 깊이가 38~42센티미터의 범위로써 팔걸이가 있는 것

5. 의자의 앉는 면은 작업자의 엉덩이가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 되어야 하며 폭은 40~45센티미터인 것

 

** VDT 증후군 유발요인**
(1) 전자파
(2) 컴퓨터 화면의 크기
(3) 밝기
(4) 높낮이 및 색상
(5) 작업시간
(6) 작업의 종류
(7)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8) 실내습도 및 온도
(9) 사무실내의 공기오염

 

 

 

당시에 질문을 받았을때는 노동강도와 쉬는 시간 등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회원 동지들은 그런 질문을 받으면 뭐라고 답하시나요...........!

 

 

----

진철 /

 

제가 공부하는 동네에서 사무직 노동자의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해서 어떤 자세가 가장 이상적인가 이야기를 간혹 하는데요. 교육시간에 언급하신 '노동강도와 쉬는 시간'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인데도 외려 언급하지 않구요.

위에 언급하신 내용이 대부분 맞구요. 컴퓨터 작업과 관련해 몇가지를 보태면요. 의자에 앉았을 때, 팔꿈치의 높이가 책상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해서 어깨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컴퓨터 모니터의 높이와 작업자의 눈 높이를 맞추는 것. 그리고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의자 등받이에 기대지 않고 허리를 곧추 세워서 작업을 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의자에 팔걸이가 있고 없고는 작업에 따라 좋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구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